$\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의료원장의 의사결정 유형, 공공 기업가정신 및 경영성과
The Decision-Making Types, Public Entrepreneurship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Local Public Hospital Director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1, 2018년, pp.1 - 11  

이정우 (대전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김노사 (에덴메디 여성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making types, public entrepreneurship,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local public hospital director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dependent variables of directors' decision-m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둘째, 경영성과와 상관관계가 있는 공공 기업가정신의 하위 요인을 규명한다.
  • 셋째, 경영능력을 지닌 지방의료원장의 선임을 비롯하여 경영능력 신장을 위한 기본적 정보에 관해 고찰한다.
  • 이 연구를 통해 첫째, 지방의료원장의 의사결정 유형을 포함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영자 능력이란 무엇인가? [1]을 비롯한 많은 연구자는 경영자 능력과 경영성과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경영자 능력이란 동종 산업의 경영자와 비교하여 기업의 자원을 수익으로 전환시키는 상대적인 효율성을 의미하는데[1], 구체적으로는 기업의 재무, 투자, 영업활동 과정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안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결정은 경영자의 역할인 동시에 책무이며, 성과와 목표달성에 책임을 지는 행위이므로 결과적으로 경영자 능력은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뿐 아니라 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무형자산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2].
경영환경에서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 능력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의사결정 능력이 강조되는 이유는 의사결정이란 단순히 어떤 사안에 관한 조치뿐만이 아니라 그 결정을 실행하는 과정까지를 포함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즉 최고경영자의 개인적인 성향, 교육적 배경, 그동안 축적된 경험, 조직 내의 지위 등은 최종적인 의사결정과 전략적 선택에 영향을 주므로 최고경영자의 특성은 배당정책이나 투자의사결정 과정에 반영되어 기업의 지속적인 수익 창출력이나 성장가능성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6].
Kwak은 경영마인드를 어떻게 설명하였는가? 이처럼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이 경쟁우위를 확보하여 생존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적절한 시기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경영자 역량과 함께 조직의 사명과 비전에 정확히 정렬된 경영마인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이미 폭넓게 자리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Kwak[3]은 경영마인드는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단어이지만 체계적으로 개념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영마인드와 기업가정신을 정확히 나누어 설명하기 힘들지만 기업가정신은 경영마인드 보다 좀 더 창업가적 기질을 내포하는 개념이므로 경영마인드는 기업가정신의 하부 구성요소라고 하였다. 기업가정신도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정의되면서 아직까지 통일된 개념이 정립되지는 못하였지만 지금까지 연구결과물에 제시된 구성요소인 ‘혁신’, ‘기회’, ‘위험감수’, ‘실천’, ‘진취성’ 등을 감안하면 기업가정신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원이나 능력에 제약받지 않고 기회를 포착하고 추구하는 과정, 사고방식 및 행동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 Demerjian, B. Lev, S. McVay(2012), Quantifying managerial ability:A new measure and validity tests, Management Science, Vol.58(7);1229-1248. 

  2. C.Y. Ko, J.H. Park, H. Jung, K.H. Yoo(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Managerial Ability by DEA on Firm Performance, Management Accounting Association of Korea, Vol.13(1); 165-200. 

  3. M.R. Kwak(2005), The Influence of Business Management Class on The Business Mind and Career Maturity, The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pp.31-33. 

  4. C.S. Seo, Y.H. Yu, H.J. Yoon, S.H. Cho(2012), A Study on the Ways to Vitalize Entrepreneurship Center in University,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pp.5-28. 

  5. R. Menaker, R.S. Bahn(2008), How perceived physician leadership behavior affects physician satisfaction, Mayo Clinic Proceedings, Vol.83(9);983-988. 

  6. H.J. Ban(2015), The Interaction Effect of CEO Characteristics and Dividend Payout on Investment Expenditures, Korea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Vol.59;237-258. 

  7. S. Phillips, N. Pazienza, H. Ferrin(1984), Decision-Making Styles and Problem-Solving Appraisa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1(4);497-502. 

  8. S. Scott, R. Bruce(1995), Decision-making Style :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New Measu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55(5);818-831. 

  9. E.J. Kim, J.I. Kim, S.K. Nam, G.K. Roh(2011), General Decision Making Style(GDMS) Scale, Decision Making Style, Decision Making Competency, Shortend GDMS Scale, Validation Study,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12(4);751-770. 

  10. J.A. Schumpeter(1973),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pp.38-42. 

  11. J.G. Covin, D.P. Slevin(1986),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rganizational-level entrepreneurship scale, in Ronstadt et al.(Eds.),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Babson College, MA : Wellesley, pp.628-639. 

  12. M.H. Morris, F.F. Jones(1999), Entrepreneurship in established organizations : The case of the public sect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24(1);71-91. 

  13. J. Schnellenbach(2007), Public entrepreneurship and the economics of reform, Journal of Institutional Economics, Vol.3(2);183-202. 

  14. G. Currie, M. Humphreys, D. Ucbasaran, S. McManus(2008),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the English public sector : paradox or possibility?, Public Administration, Vol.86(4);987-1008. 

  15. G.T. Lumpkin, G.G. Dess(1996),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s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135-172. 

  16. D.W. Lyon, D.G. Lumpkin, and G.G. Dess(2001), Enhanc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Research : Operationalizing and Measuring a Key Strategic Decision Making Process, Journal of Management, Vol.26(5);1055-1085. 

  17. K.Y. Kwak(2013), The Effects of Glob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with in Supply Chain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SMEs,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pp.90-96. 

  18. A.R. Lim(2015), The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p.91-93. 

  19. J.H. Yang, J.W. Lee(2017),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Local Public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1(3);1-11. 

  20. Y.Y. Yu(2013), The effect of autonomy of local state-owned company to its management outcome, The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pp.91-93. 

  21. M.S. Lee(2001), Political Appoint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Executive Officers of Government-Invested Enterpris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35(4);139-156. 

  22. P.F. Druker(1990), Managing The Non-Profit Organization : Practices and Principles, New York : Haper Collins Publishers, Inc., pp.55-56. 

  23. Y.S. Ahn(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Public Hospital,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pp.220-221. 

  24. C.G. Kwack(1999), Restructuring of the Public Corporations Productivity Increase and Government-business relation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10(2);319-337. 

  25. R.J. Monsen, K.D. Walters(1983), Nationalized Companies, McGraw-Hill, p.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