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기구 유무와 옷 길이 차이에 따른 건설현장 작업복의 온열생리반응
Thermo-physiological Responses by Presence of Vents and Difference in Clothing Length for Construction Site Working Clothe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0 no.2, 2018년, pp.202 - 209  

김성숙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  김희은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rmo-physiological responses according to the design change of construction site working clothes (control (C) working clothes; prototype (P) working clothes). We measured rectal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micro-climate within the clothes and sweat rate. In the evalua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착용되는 기존의 작업복(Control 작업복, C 작업복)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패턴을 개선한 작업복(Prototype 작업복, P 작업복)을 착용한 후 직장온, 피부온, 의복 내 기후, 발한량의 온열생리 반응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 전 구간에 걸쳐 P 작업복 착용 시의 직장온은 C 작업복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P 작업복 착용 시의 가슴 피부온, 대퇴 피부온, 의복 내 기후, 발한량에 의한 온열생리 반응은 C 작업복 착용 시보다 작업에 더욱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착용되는 일반적인 작업복에 대하여 작업 동작에 따른 활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유량과 길이를 달리하고 생리적 쾌적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벤틸레이션 요소인 겨드랑이의 무와 바지 옆솔기의 슬릿을 추가한 작업복을 착용한 후 온열생리반응을 비교분석하여 작업능력 및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반응의 고찰을 통하여 면혼방 소재로 가능한 기능적 작업복을 개발하고 착용현장의 적용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복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요건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작업복은 여러 가지 작업환경에 필요한 적절한 보호 성능을 지닌 의복을 뜻하며, 인체의 근접 환경인 작업복에 대한 요구 조건도 작업특성에 맞게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다. 작업복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요건으로는 쾌적성, 심미성, 안전성, 내구성, 관리 편의성 등을 들 수 있으며, 작업 종류의 세분화에 따라 작업복의 기능성도 함께 중요시 되고 있다. 작업복이 갖추어야 할 기본 기능으로는 생리적 기능성, 동작 기능성, 내구성, 착탈 용이성, 장식성 등을 들 수 있는데, 생리적 기능성 측면에서 우수한 작업복은 방한, 방서, 방우, 방풍 외에 작업에 따라 생기는 열이나 땀을 발산·흡수할 수 있어야 하며, 보호구 부착 등 신체 보호를 위해 무겁고 두꺼워진 작업복을 착용함으로 발생하는 신체적 피로나 불쾌감을 최소로 하여야 한다.
산업재해의 업종별 피해 규모는 어떠한가? 산업재해는 근로자의 상해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며 나아가 국가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모든 업종에서는 재해율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5년 고용노동부 산재통계에 따르면 건설업의 업종별 산재사망자가 49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제조업이 428명, 광업이 417명이었다. 건설업은 여타산업이나 일반제조업과 달리 일회성, 주문생산, 작업 현장의 이동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안전 관리가 어려워 발생하는 재해의 강도가 다른 산업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편이다(Che, 1995; Cho, 2009; Jung & Yu,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P. S., Slocum, A. C., & Keyserling, W. M. (1994). A model for protective clothing effects on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6(4), 6-14. doi:10.1108/09556229410054495 

  2. Amorim, F. T., Vimieiro-Gomes, A. C., Machado-Moreira, C. A., Magalhaes, F. C., Rosa, M. S., Prodo, L. S., & Rodrigues, L. O. C. (2006). Is sweat rate during steady state exercise related to maximum oxygen uptake?. Journal of Thermal Biology, 31(6), 521-525. doi:10.1016/j.jtherbio.2006.05.006 

  3. Atmaca, I., & Yigit, A. (2006). Predicting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skin temperature and skin wettedness. Journal of Thermal Biology, 31(5), 442-452. doi:10.1016/j.jtherbio. 2006.03.003 

  4. Bae, H. S., Park, H. W., Park, G. A., & Kim, J. K. (2010). The wearing conditions of working clothe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process in industry site: With reference to machinery, automobile, shipbuilding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378-1391. doi:10.5850/JKSCT.2010.34.8.1378 

  5. Bae, H. S., & Kim, M. Y. (2012). The work environment and wearing conditions of industrial protective clothing and shipbuilding worksho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5), 512-522. doi:10.5850/JKSCT.2012.36.5.512 

  6. Che, J. D. (1995). A study on the efficiency plan of safety management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spo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 Cho, J. W. (2009). A study on causal effects of safety training and safetyawareness of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affecting industrial inci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8. Choi, J. W., Mun, J. S., Kim, J. A., Won, J. I., & Park, H. C. (2000). Health hazardous substances in construction work in Korea.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10(1), 74-83. 

  9. Choi, J. W., & Park, J. H. (2007). Working clothes and working environment of workers at a construction site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1), 1520-1529. doi:10.5850/JKSCT.2007.31.11.1520 

  10. Cooper, J. M., & Glassow, R. B. (1972). Kinesiology (3rd ed.). Missouri: Mosby. 

  11. Havenith, G., Fogarty, A., Barlett, R., Smith, C. J., & Ventenat, V. (2008). Male and female upper body sweat distribution during running measured with technical absorbent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4(2), 245-255. doi:10.1007/s00421-007-0636-z 

  12. Inoue, Y., Nakao, M., Araki, T., & Murakami, H. (1991).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weating responses of older and younger me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1(6), 641-710. doi:10.1152/jappl.1991.71.6.2453 

  13. Inoue, Y., Nakao, M., Okudaria, S., Ueda, H., & Araki, T. (1995). Seasonal variation in sweating responses of older and younger men.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and Occupational Physiology, 70(1), 6-12. 

  14. Inukai, Y., Sugenoya, J., Kato, M., Nishimura, N., Nishiyama, T., Matsumoto, T., Sato, M., Ogata, A., Taniguchi, Y., & Osada, A. (2005). Effects of body posture on local sweating and sudomotor outflow as estimated using sweat expulsion. Autonomic Neuroscience: Basic and Clinical, 119(1), 48-55. doi:10.1016/j.autneu.2005.02.002 

  15. Joo, D. Y., Kim, S. K., & Jeong, D. H. (2003). Effects of moderate 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core temperature and skin temperature. Korea Sports Research, 14(5), 77-90. 

  16. Jung, J. Y., & Yu, H. J. (2013). A study for construction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activation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8(1), 47-51. doi:10.14346/JKOSOS.2013.28.1.047 

  17. Ke, Y., Li, J., & Havenith, G. (2014). An improved experimental method for local clothing ventilation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44(1), 75-81. doi:10.1016/j.ergon.2013.10.009 

  18. Kim, H. E., & Lee, A. R. (2012). Analysis of thermography on skin temperature during exerc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4(1), 130-135. doi:10.5805/KSCI.2012.14.1.130 

  19. Kim, K. H., & Park, G. H. (1999). Effect of uniform style and temperature change on physiological responses during submaximal exerc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System, 6(2), 52-57. 

  20. Kim, S. S., & Kim, H. E. (2006). A research study on construction field worker's working unifo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8(2), 203-208. 

  21. Lee, H. J., Eom, R. I., & Lee, Y. G. (2017). Evaluation of wearing comfort and ease of working pants for improved mo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4), 752-770. doi:10.5850/JKSCT.2017.41.4.752 

  22. Lee, M. K., & Ryoo, S. H. (1997). Wear sensation in accordance with clothing shapes of aerobic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System, 4(4), 57-68. 

  23. Nakayama, T., Ohnuki, Y., & Kanosue, K. (1981). Fall in skin temperature during exercise observed by thermograph. The Japanese Journal of Physiology, 31(5), 757-763. 

  24. Nam, S. N. (1994). The heart rate and rectal temperature study of the different fabric sportswear during 60% $VO_2$ maximal exerc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System, 1(1), 23-29. 

  25. Nielsen, R. (1991). Work clot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7, 77-85. 

  26. Park, G. A., Park, H. W., Bae, H. S., & Kim, G. K. (2011). The analysis on work clothes' clothing comfort and wearer mobility of welding and grinding workers in the machin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2), 145-159. 

  27. Park, G. A., & Lee, W. K. (2012). Men's work clothes jumper patternmaking and its appearance evaluation through 3-D clothing simul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1), 103-120. doi:10.12940/jfb.2012.16.1.103 

  28. Park, H. W., & Park, G. A. (2008). The actual condition and preference of the working uniform design in the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2), 134-152. 

  29. Yang, J., Weng, W., Wang, F., & Song, G. (2017). Integrating a human thermoregulatory modal with a clothing model to predict core and skin temperatures. Applied Ergonomics, 61, 168-177. doi:10.1016/j.apergo.2017.01.014 

  30. Yeon, S. M. (2004). Effect of slit ventilation system in sportswear on physiological respon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