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The Pre-service Teachers'Conceptions of the Question 'Why Should Students Learn Scienc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1 no.1, 2018년, pp.55 - 62  

장명덕 (공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학생들은 왜 과학을 공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유로운 서술식 응답의 분석을 통해 그들의 과학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과학의 내재적 가치 중시 관점과 외재적 가치 중시 관점에 대한 응답 비율은 거의 같았고 이들의 응답은 매우 다양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이 제시한 과학학습의 가치가 거의 다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최하위 범주의 세부항목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로서의 미래 시민 육성에 관한 것에 대한 응답 비율은 매우 낮았다. 둘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약 30%는 내재적 가치 또는 외재적 가치 중 어느 하나에 편향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과학을 왜 배워야하는가에 대한 학생의 질문에 대해 어느하나의 가치 관점에 치우진 설명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과학의 본유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두 관점 모두를 포함한 균형 잡힌 인식의 기회가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the necessity of science learning. The eighty five student teachers in their second year of stud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freely wrote their thoughts on a question'Why should students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는 질문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유로운 서술식 응답의 분석을 통해 그들의 과학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 ’라는 질문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유로운 서술식의 응답 결과의 분석을 통해 이들의 과학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 ”에 자유롭게 응답하였다. 이 문항은 정용재와 송진웅(2002)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으로 예비교사들의 자유롭고 다양한 생각을 여과 없이 얻기 위해서 그리고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가치나 정당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과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ybee와 DeBoer(1993)는 과학을 가르치는 목적으로 어떤 것들을 제안하였나? Bybee와 DeBoer(1993)는 과학을 가르치는 목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 (1) 개인적 발달(지적 발달, 심미적 감상, 진로 의식 등); (2) 사회적 효율성과 효과성(안정된 사회 질서의 유지, 경제적 생산력 그리고 각종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일반 시민 양성); (3) 과학 그 자체의 발달(다음 세대의 새로운 과학적 발견기반으로서 과학 문화의 전달); 그리고 (4) 국가 안보(기술적으로 뛰어나고 강력한 군대,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인력, 국가 경쟁력으로서 과학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일반 시민)를 제안했다.
‘우리는 왜 과학을 가르치고 배워야하는가?’라는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교육의 역사를 살펴볼 때, 우리의 과학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교육의 정당화는 우리가 어떤 종류의 과학을 가르쳐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영향에 미친다(DeBoer, 1991). 따라서 과학교육 관련자라면 ‘우리는 왜 과학을 가르치고 배워야하는가?’라는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본유적(intrinsic) 가치란 무엇인가? Wellington(2000)은 과학교육의 정당화와 관련하여 크게 세 가지 측면의 가치, 즉 본유적 가치, 시민권 가치 그리고 공리적 또는 외재적 가치를 제안했다. 본유적(intrinsic) 가치는 자연 현상에 대한 이해, 인간에 대한 이해, 흥미와 재미 및 지적 자극, 문화 유산의 일부 등과 같은 과학에 내재한 가치를 말한다. 시민권(citizenship) 가치는 올바른 의사결정에 필요한 지식이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지식 제공 등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9]. 

  2. 이수영(2011). 초등학생의 과학-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2(1), 99-117. 

  3. 이춘우, 박경철(1990). 중학생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조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 22, 31-68. 

  4. 임승출(1994). 과학의 본성과 과학 교육에 대한 국민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임희준(2014).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과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5(3), 227-238. 

  6. 정용재, 송진웅(2002). 계통도 분석법을 통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06-819. 

  7. Bennett, J. (2003).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 guide to recent research and its applications. London: Continuum. p.16. 

  8. Bybee, R. W., & DeBoer, C. E. (1993). Research on goals for science curriculum. In D.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357-387).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10.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7). Assessing scientific, reading and mathematical literacy: A framework for PISA 2006. Retrieved November 2008 from http://www.oecd.org/dataoecd/63/35/37464175.pdf. 

  11. Thomas, G. & Durant, J. (1987). Why should we promot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In: M. Shortland (ed.). Scientific Literacy Papers. Oxford: Department of External Studies, 1-14. 

  12. Wellington, J. (2000). Teaching and learning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London: Routledge [재인용: 조희형, 최경희(2001). 과학교육 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