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 조계동 송계별업(松溪別業) 정원 복원을 위한 경관해석
A Study on the Landscape Interpretation of Songge Byeoleop(Korean Villa) Garden at Jogyedong, Mt. Bukhansan near Seoul for the Restoration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4, 2018년, pp.1 - 17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송석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전공) ,  조장빈 ((사)한국산서회) ,  심우경 (심 청 효문화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17C 중반 북한산 조계동(曹溪洞)에 조영된 송계별업장소성과 별업의 정원상 및 경관상을 추적하여 송계별업 원림의 복원을 전제로 한 경관해석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송계별업은 인조의 3남이자 효종의 아우인 인평대군 이요가 인조 24년에 조성한 왕가별업이다. 본제는 직선거리로 약 7km 떨어진 건덕방 타락산 아래의 궁집 석양루로서, 대군이라는 조영주체의 신분적 특수성 때문에 송계별업 또한 단청 및 건물의 제도가 매우 화려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의 장소정체성이자 핵심경관은 구천은폭으로 중국 여산폭포에 비견되는 다층의 폭포를 갖는 관폭과 청음의 공간이었으며, 별업 멸실 이후에는 왕릉 부석장으로 역할과 부석금표처의 장소이미지가 더해졌다. 조계동천을 중심으로 한 송계별업 내원은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한담과 창벽 등의 자연경관과 비홍교, 보허각, 영휴당 그리고 계당 등의 인공요소가 절묘하게 조화되었다. 또 현존하는 '송계별업'과 '구천은폭' 바위글씨는 별업원림의 조영자와 영역성을 상징하는 경관언어이자 장소 표식으로, 보허각을 중심으로 비홍교, 창벽, 한담 등의 경물명을 바위에 세기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특히 시각적 종점의 역할을 하는 구천은폭은 캐스캐이드형의 다단폭포로서 그 하부는 말구유 형상의 절리상 포트홀의 지형경관적 특성을 보인다. 한편 외원은 별업 정문과 행랑채 성격을 갖는 공간과 내 외원 양자를 연결시켜주는 계당과 돌다리 그리고 기거를 목적으로 한 영휴당 등으로 구분된다. 영휴당에서는 보허각만 관망되는 반면 보허각에서는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영휴당 등 사방의 조망이 가능하도록 한 이원적 조망 틀짜임이 읽혀진다. 또한 비홍교에서 구천은폭과 창벽 그리고 한담을 상호 부감 앙시하게 되며, 비홍교를 건너 보허각에 올라 구천은폭과 조계동천을 바라보는 단계적 행위를 체험케함으로써 속세에서 선계로 이행되는 시각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erpret the landscape of Songge Byeoleop(Korean villa) garden at Jogyedong, Bukhansan near Seoul which was built in the mid 17C. to restor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surve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ongge Byeoleop garden was a royal villa, construc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17C 중반 삼각산 조계동에 건립한 송계별업의 장소성과 별업원림의 정원 구성 및 경관상을 추적함으로써 향후 송계별업 복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첫째, 17C 중반 북한산 조계동(曹溪洞)에 건립한 왕가별업의 장소성을 추적하고자 하며 둘째, 고시문과 고지도, 바위글씨 그리고 현지 건물터 등의 현황분석을 통해 이곳에 조성되었던 별업 원림의 흔적 등 정원 면모를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셋째, 별업 원림의 정원구성 및 경관상을 재구성함으로써 향후 송계별업 복원의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첫째, 17C 중반 북한산 조계동(曹溪洞)에 건립한 왕가별업의 장소성을 추적하고자 하며 둘째, 고시문과 고지도, 바위글씨 그리고 현지 건물터 등의 현황분석을 통해 이곳에 조성되었던 별업 원림의 흔적 등 정원 면모를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셋째, 별업 원림의 정원구성 및 경관상을 재구성함으로써 향후 송계별업 복원의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또 그곳 반대편으로는 약 80m2의 공간에 다수의 석축 흔적이 발견되는데 이곳은 별업의 관리를 위해 보관 및 숙소 등 행랑채 성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된다 (Figure 9i). 송계별업의 전반적인 관리는 조계사(曹溪寺)에서 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그러나 별업의 안전관리 등을 위해서는 접근성이 좋은 이곳에 관리 부속공간이 있었을 것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
  • 38세의 많지 않은 나이로 생을 마칠 때까지 다수의 연행사 임무를 수행해야만 했다. 약소국의 사신으로 겪어야 했을 수모와 무력감, 또 거의 일 년에 한 번꼴로 이루어졌던 사행은 그의 죽음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 분명하다. 그는 제자백가(諸子百家)에 정통하였고 시서화에 능해 세종의 아들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에 비유되기도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왕족이나 사대부가 별업을 지은곳은 어디인가? 수기안인(修己安人)의 능력을 갖춘 왕족(王族)이나 사대부 (士大夫)는 자신이 거처하는 본제(本第)와 조금 떨어지고, 산수경관이 수려한 혈(穴)자리에 별업(別業)을 조성하여 향유하였다. 조선시대 별업은 조상을 모신 장소, 제자를 양성하기 위한 장소, 벗과 교우하기 위한 장소 그리고 자신의 이상향 구현을 위한 수양처 등을 목적으로 조영되었다.
별업 조영의 목적은 무엇인가? 수기안인(修己安人)의 능력을 갖춘 왕족(王族)이나 사대부 (士大夫)는 자신이 거처하는 본제(本第)와 조금 떨어지고, 산수경관이 수려한 혈(穴)자리에 별업(別業)을 조성하여 향유하였다. 조선시대 별업은 조상을 모신 장소, 제자를 양성하기 위한 장소, 벗과 교우하기 위한 장소 그리고 자신의 이상향 구현을 위한 수양처 등을 목적으로 조영되었다. 그런 가운데 조선 유학자들은 성리학적 관념인 격물치지(格物致知), 유물유칙 (有物有則) 등을 통해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 그 의미를 원림(園林)에 투영함으로써 이상세계를 추구하였다.
조선 유학자들의 별업 조영 목적은 무엇인가? 조선시대 별업은 조상을 모신 장소, 제자를 양성하기 위한 장소, 벗과 교우하기 위한 장소 그리고 자신의 이상향 구현을 위한 수양처 등을 목적으로 조영되었다. 그런 가운데 조선 유학자들은 성리학적 관념인 격물치지(格物致知), 유물유칙 (有物有則) 등을 통해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 그 의미를 원림(園林)에 투영함으로써 이상세계를 추구하였다. 지방 사족의 원림 조영은 소유관계가 명확한 재산인 토지에 구현되는 심미적 행위이며, 원림은 이용자의 의식에 따라 그 형상과 의미가 쉽게 달라지기도 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Lim, H. S.(2016). A study on Mu-Gi-Yeon-Dang in Chirwon: history of family and construction of garden.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 Oh K. H.(2009). History: The reexamination of the explanation of Imanishi Reu(今西龍) on the name of Sam gak san(三角山) in the 1910's. J. of Korean thought and culture. 47(-): 111-132. 

  3. Song, S. H., Jo, J. B., Rho, J. H. and Sim, W. K.(2017). A basic study on the restoration of prince Inpyung(麟坪大君)'s Songgeabyulup in Mt. Bukhansan. Proceedings of fal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2017. pp.42-45. 

  4. Choi, J. N.(2013). The enjoyment of kagok and an response to by prince Inpyung(麟坪大君). J. of Korean classical poetry 31(-): 375-403. 

  5. Kim, J. T.(2015). Representation of royal friendship, The rise and decline of Seokyang-lu.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70(-): Taehaksa. 106-123. 

  6. Lee S. M.(2017). A study on the selection process of quarry and the quarry Jogyedong in royal tombs in the late Joseon period.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6(3): 51-62. 

  7. Choi, J. N.(2011). A study on the mutation aspects of climbing Baegun-peak(白雲峰) sijo and their actuality. Jindanhagbo(震檀學報) 11(-): 215-241. 

  8. Seo, D. I.(2012). A study on filial piety culture oriented byeoleop type byeolseo in Joseon dynasty. Doctoral thesis of Sang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9. Shin, S. G.(1989). Theory of transformation in Chinese Tang and Song dynasty. Lecture of Chinese history III. Department of oriental histor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JISIK-SANUP Publications Co. 

  10. Park, H. S.(2011). Zen and scholar-offcial's garden, China. Publishing hou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Shinjungdongkukjegish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Vol. 3 Hanseongbu(漢城府)' 

  12. Chunjeongseonsaengmunjib(春亭先生文集)Vol. 5. Hywoojeonggi(喜雨亭記) 

  13. Song-gyejib(松溪集) 

  14. Gosanyugo(孤山遺稿) 

  15. Injosillog(仁祖實錄) 

  16. Choi, J. N.(2013). The enjoyment of Kagok and an response to by prince Inpyung.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31(-): 375-403. 

  17. Yeongjo-Eojejemun(英祖御製祭文) 

  18. https://ko.wikipedia.org/wiki 

  19. http://encykorea.aks.ac.kr 

  20. Joo, N. C.(2004) Gung-jip: Looking for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2. Seoul IIjisa: pp.9-11. 

  21. Joo, W. I.(2013). A Study on process of change & formation considering historical contexts of corresponding area In "Ehwa-jang(梨花莊)". Journal of Korea Living Environment 11(3): 251-262. 

  22. Dongguk-yeojibigo(東國輿地備考) 

  23. https://namu.wiki 

  24. http://kyujanggak.snu.ac.kr 

  25. Jeongjosillog(正祖實錄) 

  26. Lee, H. D.(2014). The study on symbol of water and acculturation in the landscape paintings. Doctoral thesis of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7. Wolsajib(月沙集) 

  28. http://www.ohmynews.com 

  29. Yeossichunchu(呂氏春秋) 

  30. Park, K. and Kim, J. Y.(2014). A study on waterfall classification by form and processes.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21(4): 85-96. 

  31. http://www.geosociety.org 

  32. Songjadaejeon(宋子大全) 

  33. Yagsanmango(藥山漫稿) 

  34. Mumyeongjajib(無名子集) 

  35. Yeondogihaeng(燕途紀行) 

  36. Gieonbyeoljib(記言別集) 

  37. Seonghojeonjib(星湖全集) yusamgagsangi(遊三角山記) 

  38. Nangogjib(蘭谷集) 

  39. Kim, S. S. writing, Kim C. H. Translation(2007). Korean translations Jayeondangyugo(國譯 自然堂遺稿). Jeonju Shina publisher : pp.197-199. 

  40. Changseoljaeseonsaengmunjib(蒼雪齋先生文集) 

  41. Samyeonjib(三淵集) 

  42. Sog-eumcheongsa(續陰晴史) 

  43. Sonjaejib(損齋集) 

  44. Yuhajib(柳下集) 

  4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hyana69 

  46. Song, H. K.(2013). The walk of our beautiful picture: Seonbi spirit, See in Korean painting. Pajoo Thaehaksa: pp.212-224. 

  47. Lee, J. S.(2016). Jeong Seon'Bihong Bridge at Jang-An-Sa Temple, Geum Gang Mountain. KSCE Journal of Korea Civil Engineering 64(10): 94-101. 

  4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2347&cid42635&categoryId42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