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통해 본 왕의 위락활동 유형과 변천
A Study on the Types and Changes of the King's Amusement Activities through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4, 2018년, pp.39 - 49  

강현민 ((주)정신건설)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김현욱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마일초 (우석대학교 대학원) ,  한서정 (우석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제왕들의 위락활동과 변천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궁중 안팎 외부공간에서 행해진 왕의 위락활동은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회형은 회례연, 진연(進宴), 풍정(豊呈), 진찬(進饌), 양로연, 사신연, 수연(壽宴), 곡연(曲宴) 등이었고, 강무형은 활쏘기, 격구, 사냥 등이며, 유희형은 나례(가면놀이), 처용무, 풍두희(?頭戱), 그리고 화산붕(불꽃놀이), 꽃놀이(賞花), 투호, 수박희(手搏戱), 낚시, 뱃놀이, 각투(角鬪), 상희(象戱), 잡희 등이었다. 위락 활동은 고려시대 답습기[1기, 태조~세조(예종)], 확립기[2기, 군사문화가 성리학 문화로 전환되었고 연회의 규례가 제도화, 성종~중종]. 단절기[3기, 임진왜란 등 불안한 정세 속에서 침체, 단절 초래, 성종~현종]. 중흥기[4기, 위락 문화 재정비, 수준 높은 왕실 문화의 자긍심 표출, 숙종~정조]. 그리고 쇠퇴기[5기, 세도정치로 왕권이 추락하면서 위락 활동이 급격히 퇴조, 순조~순종] 등 5단계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왕들의 사냥 관련 기사는 600건 이상 추적 되는데, 태종, 세종, 세조 등은 각 100여회 이상이었다. 사냥 대상은 호랑이, 곰, 사슴과 노루, 표범, 멧돼지, 매 등 이었고, 한양의 동북쪽 산림지역에서 주로 행해졌는데, 산수풍광이 수려하고 지리에 익숙한 풍양, 철원지역 등 북방의 정세와 안전을 살피기 위한 방안, 그리고 풍양이궁(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장소성 등과 밀접하게 연계된다. 단오절 세시풍속으로 대중에 확산된 격구놀이는 조선 초 왕과 신하들의 최상류층 마상격구로부터, 중기이후 무과시험의 마상격구와 상류층의 보상격구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 확산되어 겨울철 남성들의 집단유락문화로 전승되는 과정이 추적된다. 특히, 강무형 위락문화는 봄(활쏘기), 여름(투호), 가을(활쏘기), 겨울(격구) 등 심신수양을 겸한 4계절 행위요소로 작용되었다. 한편, 조선시대 왕과 왕비들의 연향과 같은 위락 활동은 공식적 의례의 경우 내정(內庭)에서, 비공식적 관유(觀遊)의 경우 궁궐 후원이나 별궁에서, 특수 연회의 경우 모화관과 태평관, 기로소 등 별원(別園)에서, 활쏘기의 경우 성균관 사단에서, 사냥의 경우 금표가 설치된 강무장(금원과 원유)에서, 매사냥의 경우 한강변 광나루에서, 격구의 경우 보격구 중심으로 내정이나 별궁에서 다양하게 행해졌다. 즉, 외조, 치조, 연조, 후원의 범위를 넘어서 별원과 금원, 원유 등 한양에서 최대 100리 범위 까지를 활동영역으로 설정하는 위락문화 확장성(정(庭)${\rightarrow}$원(園)${\rightarrow}$원(苑)${\rightarrow}$원유(苑?))을 추적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수준 높은 기록문화의 추적을 통해, 역대 왕들의 위락문화를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고, 위락 활동(진찬, 회례연, 양로연, 대사례, 사신연 등은 물론 사냥, 활쏘기, 격구, 투호, 처용무, 낚시, 뱃놀이, 불꽃놀이 등) 전모와 장소성, 그리고 상징적 의미, 역사적인 전승과정과 위락문화 등을 복합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s a book recording the Joseon Dynasty's historical facts in an annalistic format. The King's amusement activities through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Ye-ak(禮樂) system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king'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행해진 왕들의 위락활동 유형과 목적을 추적하였으며, 통시적으로 작용된 위락활동의 각 왕별 변천사와 특수성, 그리고 장소성 등을 전수조사, 분석하여 시기에 따른 차별성, 활동 영역의 정치사회적 연계성 측면 등을 도출코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정(豊呈)이란 무엇인가? ‘풍정(豊呈)’은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음식은 물론 가무 등을 행한 잔치 의식을 말하는데, 의식 주관을 위해 풍정도감을 설치했다. 왕조실록에 의하면 세종과 세조, 연산군과 중종 때 풍정이 많이 거행되었다.
위락문화의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위락문화는 상대적으로 폐쇄된 내부공간보다 열려진 외부공간 영역에서 다양한 활동과 내용을 갖고 펼쳐졌다. 인간의 기본적인 위락 활동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재충전하는 목적이었으며, 사회통념이 개입되었고 장소는 문화를 창출하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였다.
왕의 활쏘기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왕의 활쏘기는 대사례(大射禮, 힘과 덕행을 살펴 인재를 선발하는 공식적 활쏘기)와 연사례(燕射禮, 궁중의 비공식적 활쏘기)로 분류된다. 1477년 성종 8년에 왕이 성균관에서 선성 (先聖)들에게 참례하고 명륜당에서 과거시험을 치른 후 사단 (射壇)에서 대사례를 행하였는데, 조선 최초의 사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Park, J. B.(2003). Histor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ungkyunkwan Case Study in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Educational History. 13(-): 33-58 

  2. Ahn, T. W.(2014). A Study on the Yeonhya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Doctoral thesis, Dongguk University. 

  3. Kim, J. S.(2003).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s Collection. Korean Studies. Article 113. 

  4. Hong, K. S.(2006). Sports of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5. Choi, W. Y.(2011). A Historical Review of the Guguhei and the Conquest: Focusing on the palace,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6. Hong, H. S.(2015). Jeongjo's Enjoyment of the Palace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lnstita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4): 10-25. 

  7. Joseonwangjosillog(http://sillok.history.go.kr) 

  8. Kyeongkugdaejeon 

  9. Shin, M. H.(2014). Unique Customs and Play in Court. May issue of Cultural Assets. 

  10. Shin B. J.(2011).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Classification of King. History of Joseon Dynasty History. 

  11. National Central Library(2012). The Court Ceremony of the Joseon Dynasty also 3. 

  12. Hong, H. S.(2015). An Emergence of Tigers and Leopards in the Palace During the Joseon Period from the Environmental Historical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lnstita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6(3): 1-15. 

  13. Kang, H. M.(2016). A Study on the Kings's Amusement Activities through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octoral thesis of Woosuk University. 

  14. Deugjungjeongeosad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