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산 임당 유적 출토 목제유물의 연대분석 및 수종분석에 따른 고기후환경 해석
Dating Wooden Artifacts Excavated at Imdang-dong Site, Gyeongsan, Korea and Interpreting the Paleoenvironment according to the Wood Identification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3, 2018년, pp.241 - 252  

이광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  서정욱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한규성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산 임당 유적은 발굴된 층위와 출토된 유물을 근거로 2-4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유적지에서 출토된 목주 6점에 대해 추정된 연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륜연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6점의 목주는 서로 일치하지 않아 각각 다른 시기에 벌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6점의 목주 중 2점에 대해 위글매치법(wiggle matching)으로 방사성탄소연대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각각 A.D. 94-135년과 A.D. 224-289년으로 재확인되었으며, 이는 전술의 추정연대와 일치하였다. 또한 목제유물의 수종 결과, 비교적 서늘한 환경에서 생장하는 수종(헛개나무, 피나무, 느릅나무 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당시의 기후가 현재보다 서늘했다고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estimated that the Imdang-dong site of Gyungsan was constructed in the 2nd to 4th century based on excavated layers and artifac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sult using the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six wooden pillars excavated at the site. As a result, it was proven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산 임당 목주로부터 확인된 시기의 식생 및 기후를 추정하고자 현재 경상북도의 식생환경과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고환경 연구자료들과 비교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현재 식생에 대한 자료는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 경상북도편 (Forestry Research Institute, 1995)을 이용하였으며, 확인된 수종들의 분포역, 기후대 등에 대한 자료는 한반도 수목 필드가이드(Chang et al.
  • 8%를 차지하였다(Table 5). 경산 임당 유적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경상북도의 현재 식생환경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경상 북도의 혼효림에서 분포하고 있는 수종은 16과 24속 40종으로 확인되었으며(Forestry Research Institute, 1995), 이 중 참나무속, 소나무류가 88.
  • 따라서 유적에서 발굴된 목제유물의 정확한 연대를 분석한다면, 유적의 정확한 형성 및 폐기된 시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목주에 대해 연륜연대분석 및 방사성 탄소연대분석(wiggle matching)을 실시하여 유적의 건축물에 사용된 목주의 벌채시기를 확인하고, 목제 유물에 대한 수종분석 결과로 당시의 식생 및 기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목주 들에 대해 정확한 벌채시기를 확인하여 유적의 형성 및 활동 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당시의 식생 및 기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목주 들에 대해 정확한 벌채시기를 확인하여 유적의 형성 및 활동 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당시의 식생 및 기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경산 임당 유적에서는 다수의 유물 제작에 사용된 수종으로, 유물 제작을 위한 목재의 이동이 없었다고 가정한다면 현재보다 서늘한 기후였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경산 임당 유적에서 확인된 수종에 대해 현재 수종의 분포역을 연구한 다른 자료를 확인해보았다.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Lee, 1997)에서는 위의 결과와 유사한 분포역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도분포 범위를 이용하여 여러 수종의 식생대를 확인한 연구(Yim, 1977)에서도 경산 임당 유적에서 확인된 느릅나무가 한대에 포함된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사성탄소연대로부터 보정연대를 측정하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가? 따라서 이러한 국제방사성 탄소 보정곡선(IntCal)과 보정(calibr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사성탄소연대로부터 보정연대를 얻어낼 수 있다. 그러나 위글(Wiggle)이라 부르는 짧은 주기 의 변동은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오차가 발생되어 연륜연대분석을 바탕으로 일정간격의 연륜시료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연대를 산출해 내는 위글매치법(wiggle matching)이 적용되고 있다(Bronk Ramsey et al., 2001).
연륜연대분석법이란 무엇인가? 목재의 연대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연륜연대분석법과 방사성탄소연대분석법이 있다. 연륜연대분석법은 수목의 나이테(이하 연륜) 패턴을 이용하여 연륜 하나 하나에 절대연도를 부여하는 것이다(Schweingruber, 1983). 절대연대가 명확한 현생목을 기점으로 연륜 연대기(연륜폭을 그래프로 작성한 시계열그래프)를작성하게 되며, 현생목의 경우 수령이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목조건축물과 목제유물에서 확보한 연륜패턴으로 연대기를 확장시켜 표준연륜연대기를 만들게 된다(Park et al.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이란 무엇인가?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은 방사성탄소 14C의 반감기로부터 얻어지는 하나의 모델 연대로서, 보정곡선 (calibration curve)을 통해 실제 연대로 보정되며, 이렇게 얻어진 실제 연대를 보정연대(calibrated age)라 부른다(Reimer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nk Ramsey C, van der Plicht J, Weninger B. 2001. 'Wiggle matching' radiocarbon dates. Radiocarbon 43(2A): 381-389. 

  2. Chang, C.S., Kim, H., Gil, H.Y. 2012. A field guide to korean woody plants, DESIGNPOST. 

  3. Forestry Research Institute. 1995. Hardwood forest inventory report, Research Data of Forestry Research Institute 112. 

  4. Kim, S.C., Lee, Y.H., Lee, H.S. 2006. Conservation for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Imdang, Kyungsan,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ol 7:53-62. 

  5. Kim, Y.J. 2003. Dating of the 17th-Century Korean Buildings Using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S. et Z.,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6. Kim, Y.O. 1998. Climate Change, Minumsa. 

  7. Kong, W.S. 1996. The Distribution of Dicotyledons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0(1): 1-18. 

  8. Lee, B.H. 2007. Species of the Archaeological Woods Excavated in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Dynasty,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9. Lee, C.B. 1974. Dendrology, Hyangmunsa. 

  10. Lee, C.B. 2003. Illustrated plant book of Korea, Hyangmunsa. 

  11. Lee, D.W. 2004. Korea traditional ecology, Science books. 

  12. Lee, K.H. 2017. Identification of Woodworking Methods and Estimation of Paleoenvironment by analysis of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Imdang-Dong Site (2-4C), Korea, Docto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3. Lee, P.W. 1997. The characters and uses of Korean Wood, Publishing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4. Park, S.J., Lee, W.Y., Lee, W.H. 1987. Timber organization and identification, Hyangmunsa. 

  15. Park, W.K., Kim, S.K., Kim, Y.J. 2007. Tree-Ring Dating for Korean Wood Furniture: A Case Study on Medicine Cabinet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5(6): 57-64. 

  16. Park, W.K., Kim, Y.J. 2005. Tree-Ring Dating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s: A Case Study on Cabinet and Chest,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3(3): 1-10. 

  17. Park, W.K., Kim, Y.J., Kim, S.K., Youn, M.Y., Kim, S.K. 2010. Tree-Ring Dating and Radiocarbon Dating of Sungryemun Signboard, Proceeding of the 31th 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of Cultural Heritage, 82-85. 

  18. Park, W.K., Lee, K.H. 2007. Changes in the Species of Woods Used for Korean Ancient and Historic Archite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6(1): 9-28. 

  19. Park, W.K., Son, B.H., Han, S.H. 2003.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Used for Tongmyungjeon Hall of Changkyung Palac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2(3): 53-63. 

  20. Park, W.K., Yoon, D.H., Park, S.H. 2006.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Coffin Woods Excavated at Ma-Jeon Relic in Jeon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4(6): 12-20. 

  21. Reimer, P.J., Baillie, M.G.L., Bard, E., Bayliss, A., Beck, J.W., Bertrand, C., Blackwell, P.G., Buck, C.E., Burr, G., Cutler, K.B., Damon, P.E., Edwards, R.L., Fairbanks, R.G., Friedrich, M., Guilderson, T.P., Hughen, K.A., Kromer, B., McCormac, F.G., Manning, S., Bronk Ramsey, C., Reimer, R.W., Remmele, S., Southon, J.R., Stuiver, M., Talamo, S., Taylor, F.W., van der P;icht, J., Weyhenmeyer, C.E. 2004. IntCal04 Terrestrial Radiocaebon Age Calibration, 0-26 Cal Kyr BP. Radiocarbon 46: 1029-1058. 

  22. Schweingruber, F.H. 1983. Tree Rings.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44-165. 

  23. Son, B.H., Kim, J.H., Nam, T.K., Lee, K.H., Park, W.K. 2011.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 Elements in Daesungjeon of Jipyeong Hyanggyo, Yangpyeong,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9(3): 213-220. 

  24. Yeongnam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14. The ancient wetland site at Yimdang-dong, Gyeongsan (Wooden artifacts), Research Report of Antiquities Vol. 212. 

  25.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 177-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