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산 임당 유적 출토 목제유물의 도구흔적 분석을 통한 목재 가공 방법의 해석
Interpretation of Wood Processing Method by Tool Trace Analysis for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Imdang-dong Site, Gyeongsan, Korea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3, 2018년, pp.260 - 269  

이광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  한규성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2-4세기로 추정되는 목제유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도구흔적을 분석하여 목제유물의 제작도구와 제작방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97점의 목제유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도구흔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유물의 제작에 자귀, 끌, 송곳, 손칼, 도끼 등 다양한 도구가 이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갈이틀과 갈이칼의 흔적이 확인됨으로써, 이 시기에 선삭가공 방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삭가공으로 용기류 목제유물 제작 시 눈질과 선질을 혼합하여 사용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제작하고자 하는 용기류 목제유물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적합한 가공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ate the tools and the method of making wooden artifacts by analyzing the trace of tools on the surface of wooden artifacts estimated to be from the 2nd to the 4th centu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ce of tools on the surface of 97 items of wood arti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 완성품으로 목제유물 표면에는 도구흔적, 사용흔적이 잔존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당시 사용되었던 도구 및 가공방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산 임당 유적의 목제유물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도구흔적 및 사용흔적을 관찰하여 목재의 가공도구를 추정하고, 목제유물의 가공방향을 확인하여 당시 목제유물의 가공방법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총 346점의 목제유물 중 97점에 대해 도구흔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용기류의 가공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87점의 용기류 목제유물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용흔적이 남아있는 목제유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흔적은? 사용흔적은 목제유물 제작 이후 발생되는 흔적으로 사용흔적이 남아있는 목제유물은 완성품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목제유물의 정확한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흔적 중 가장 많이 관찰되는 것이 마모흔적으로, 목제품이 완성된 후 사용되면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흔적이다. 경산 임당 유적의 목제유물의 경우 발굴된 후 10여년간 수침환경에서 보관되어, 유물들 사이의 마찰, 포장으로 인한 표면변화 등으로 인해 마모흔적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경산 임당 유적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처음으로 확인된 나무 갑옷틀을 포함한 용기류, 농공구류, 생활구류, 무기류 등 총 346점의 목제유물이 출토되었다. 대부분 완성품으로 목제유물 표면에는 도구흔적, 사용흔적이 잔존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당시 사용되었던 도구 및 가공방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출토된 목제 유물 관찰 결과 나온 도구흔적 5가지는 무엇인가? 도구흔적을 관찰한 결과, 도구흔적은 모두 5가지로, 자귀, 끌, 송곳, 손칼, 도끼 순으로 관찰되었다.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목제유물들은 대부분 완성품으로 1차 가공(벌채 및 쪼갬)에 주로 사용되는 도끼 흔적은 1점의 목제유물에서 관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ng, S.H., Park, B.S., Koo, J.O., Jung, E.D. 2004.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Relics Excavated in Jedeok Bay, Jinhae.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2(5): 20-28. 

  2.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The Report for Excavation of Sungsan-sansung, Haman IV. 

  3. Han, S.H. 2005. Species Identification and Tool-Trace Analysis of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Sabi Era, Baekje,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4. Han, S.H., Park, W.K. 2005. Tool-Trace Analysis of Wooden Artifacts Excavated from Sabi Era, Baekje, 2005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Meeting : 9-13. 

  5. Higashimura, J. 2013. Wooden living tools in ancient Japan, Research Results and Future Tasks for wooden artifacts of Ancient Korean and Japan, International symposium of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6. Jung, S.O. 2013. Review of wooden containers and living tools excavated in ancient Korea, The Library for Wooden Artifacts of Korea II. 

  7. Kim, S.C., Lee, Y.H., Lee, H.S. 2006. Conservation for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Imdang, Kyungsan,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ol 7:53-62. 

  8. Kim, S.J. 2010. The study of the utilization patterns of wooden in the Galmae_ri sites,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68: 45-65. 

  9. Lee, W.K., Kim, K.J., Kim, D.K., Lee, K.M. 2005. A Study on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tools in Korea, R01-2003-000-11711-0. 

  10. Nagasaka, K. 1997. Tool and Technology I, A Study of Yayoi Culture 5(2), Yushan Publishing Co., Ltd. 

  11.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89. Korean lacquerware of 2 thousand years, pp. 215. 

  12. Park, W.K., Kim, S.K., Kim, Y.J. 2007. Tree-Ring Dating for Korean Wood Furniture: A Case Study on Medicine Cabinet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5(6): 57-64. 

  13. Park, W.K., Yoon, D.H., Park, S.H. 2006.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Coffin Woods Excavated at Ma-Jeon Relic in Jeon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4(6): 12-20. 

  14. Yeongnam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08. The ancient wetland site at Yimdang-dong, Gyeongsan I-III, Research Report of Antiquities Vol. 155. 

  15. Yeongnam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14. The ancient wetland site at Yimdang-dong, Gyeongsan (Wooden artifacts), Research Report of Antiquities Vol. 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