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자점 기술과 III-V 화합물 반도체 기반의 평판 집광형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 투명 태양전지 기술 원문보기

태양광발전학회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v.4 no.1, 2018년, pp.16 - 22  

한철종 (전자부품연구원 디스플레이소재부품 연구센터) ,  김지용 (전자부품연구원 디스플레이소재부품 연구센터) ,  이정민 (전자부품연구원 디스플레이소재부품 연구센터)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양자점을 이용한 새로운 응용분야로써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광농축 태양 전지(Quantum dot-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에 대해 소개하고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해 기술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자점이란 무엇인가? 양자점(quantum dot)은 반도체의 나노미터 크기 결정으로 그 크기가 화합물의 Bohr radius보다 작아 exciton 이 confinement 되는 현상을 보이는 소재를 의미한다. 광학 소재로써의 양자점은 기존 건식 제조공정의 낮은 생산성을 극복할 수 있는 습식 제조공정의 등장으로 탄력을 받게 되었다.
III-V 화합물반도체 기반 태양전지가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생긴 이유는 무엇인가? III-V 화합물반도체 기반 태양전지는 고효율과소자 안정성, 신뢰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고가라는 단점 때문에 그 응용이 제한되어 왔다. 그러나 저가의 렌즈를 이용한 집광 기술과 III-V 태양전지 기술의 접목은 발전 단가를 기존 실리콘, CdT, CIGS 등의 상업화된 태양전지 등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집광기술은 렌즈를 이용한 입사광과 평행한 광축을 갖는 일반적인 의미의 집광 시스템으로 III-V 태양전지와 광추적기, 렌즈를 포함한 광학계 등으로 구성되어 주로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에 적합한 기술이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진행 된 양자점 연구의 대표적인 예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이와 달리 광축과 수직인 집광기술과 밴드갭 조절을 통한 파장 선택형 III-V 태양전지의 응용기술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진 양자점 연구를 태양전지에 적용한 다양한 응용기술 및 제품 중 대표적인 예로 투명 광농축 태양전지(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 LSC)기술을 꼽을 수 있다. 투명 광농축 태양전지란 형광체가 분산된 투명 도광판의 엣지 부분에 태양전지를 결합함으로써, 투명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M. G. Debije and P. P. C. Verbunt, Adv. Energy Mater, 2, 12, (2012). 

  2. J. Yoon, L. Li, A. V. Semichaevsky, J. H. Ryu, H. T. Johnson, R. G. Nuzzo and J. A. Rogers, Nature Comm., 2, 343, (2011). 

  3. F. Meinardi, H. McDaniel, F. Carulli, A. Colombo, K. A. Velizhanin, N. S. Makarov, R. Simonutti, V. I. Klimv and S. Brovelli, Nature Nanotechnology, 10. 878, (2015). 

  4. H. Li, K. Wu, J. Lim, H.-J. Song and V. I. Klimov, Nature Energy, 1, 16157, (2016). 

  5. I. Coropceanu and M. G. Bawendi, Nano Lett., 14, 4097,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