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날개카나리새풀(벼과)
An Unrecorded Alien Species in Korea: Phalaris paradoxa L. (Poacea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1, 2018년, pp.52 - 55  

류태복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이승은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김덕기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최동희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김남영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에서 국내 벼과 미기록 외래식물인 날개카나리새풀(Phalaris paradoxa L.)을 발견하였다. 이 종은 유럽 지중해 원산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에 분포하는 동속 식물인 갈풀, 카나리새풀, 애기카나리새풀, 흰줄갈풀에 비해 6개의 불임성 소수가 1개의 임성 소화를 감싸고, 포영상부에 치아상의 날개가 발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국명은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날개카나리새풀로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unrecorded alien species plant, Phalaris paradoxa L. (Poaceae) was found in Andeok-myeon, Seogwipo-si, Jeju island, Korea. It is native to the Mediterranean region of Europe, and it is currently found worldwide. Phalaris paradoxa is distinguishable from related taxa (P. arundinacea, P. canarien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에 대하여 국명을 새롭게 부여함과 동시에,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다. 국내에 자생하는 근연 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도해 및 사진을 첨부하여 근연 분류군간의 분류형질의 차이를 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관찰표본: Andeok-myeon, Seogwipo-si, Jeju-do, Korea, 26, Apr. 2016, NIE20160009; Andeok-myeon, Seogwipo-si, Jeju-do, Korea, 26, Apr. 2016, NIE20160010; Andeok-myeon, Seogwipo-si, Jeju-do, Korea, 26, Apr. 2016, NIE20160011(Fig. 1, Fig. 2).
  •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에서 발견된 갈풀속의 미기록 외래식물 날개카나리새풀(Phalaris paradoxa L.)에 대하여 국명을 새롭게 부여함과 동시에,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다. 국내에 자생하는 근연 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도해 및 사진을 첨부하여 근연 분류군간의 분류형질의 차이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풀속의 특징은? 갈풀속(Phalaris)은 전 세계에서 22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ldini, 1995; Barkworth et al., 2007). 대부분의 갈풀속 식물은 북반구 온대지역의 고유종이며, 특히 유럽의 지중해지역과 미국 남서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Baldini, 1993; Tucker, 1996).
갈풀속의 생육특성은? 갈풀속은 매우 넓은 생육범위를 보이며, 습지에서부터 건조한 초지까지 발달한다(Baldini, 1993; Baldini, 1995). 날개카나리새풀은 경작지, 해안 또는 길 가장자리 등 인간간섭 영향이 미치는 서식처에서 생육한다.
갈풀속의 미기록 외래식물 날개카나리새풀의 위험성은? 외국 선행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날개카나리새풀은 제주도의 주요 경작지 잡초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날개카나리새풀은 말에 독성을 야기하는 트립타민 알칼로이드(tryptamine alkaloid)가 함유되어 있고, 호주에서 말 중독 등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Bourke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ldini, R.M. 1993. The genus Phalaris L. (Gramineae) inItaly. Webbia 47:1-53. 

  2. Baldini, R.M. 1995. Revision of the genus Phalaris L.(Gramineae). Webbia 49:265-329. 

  3. Barkworth, M.E., L.K. Anderton, K.M. Capels, S. Long andM.B. Piep. 2007. Manual of Grasses for North America. Intermountain Herbarium and Utah State Univ. Press, Logan,USA. p. 640. 

  4. Biological Records Centre, 2016. Research for plant information. http://www.brc.ac.uk/plantatlas/ (Accessed Oct. 1. 2016). 

  5. Bourke, C.A., S.M. Colegate, S. Slattery and R.N. Oram, 2003.Suspected Phalaris paradoxa (paradoxa grass) poisoning inhorses. Aust. Vet. J. 81(10):635-637. 

  6.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in South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528 (inKorean). 

  7. Dellow, J.J. and B.R. Milne. 1986. Control of Phalaris paradoxa in wheat. Aust. Weed. 31:22-23. 

  8. Finot, V.L. and J.A. Pedreros. 2012. Phalaris paradoxa L. (Poaceae: Phalaridinae), a new introduced weed species in Central Chile/Phalaris paradoxa L. (Poaceae: Phalaridinae), nueva maleza introducida en Chile central. Gayana. Botanica 69:193-196. 

  9. Hitchcock, A.S. 1950. Manual of the Grasses of United State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USA). p. 1051. 

  10. Jauzein, P.H. and J. Montegut. 1982. Graminees (Poaceae) Nuisibles en Agriculture. Versailles. Societed'Editions. Champignons et nature. Aubervillier. France. pp1-538. 

  11. Kim, J.H., J.S. Kim, G.H. Nam, C.Y. Yoon and S.Y. Kim. 2014. Two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Lolium rigidum Gaudin (Poaceae) and Oenothera rosea L'Her. ex Aiton (Onagraceae). Korean J. Plant Res. 27(4):326-332. 

  12. Kim, J.W. 2006. Vegetation Ecology (2nd ed.). World Science, Seoul, p. 340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600 (in Korean). 

  14. Lee, S.E. 2009.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plant communities at the potential floodplain in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Korea. 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 Univ. of Keimyung, Daegu, Korea. p. 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Y.K. 2004.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South Korea. 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 Univ. of Keimyung, Daegu. Korea. p. 1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im, Y.S., W.B. Seo, Y.M. Choi and J.O. Hyun. 2014. First record of naturalized species Trifolium resupinatum L. (Fabaceae)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7(4):333-336. 

  17. Saavedra, M., J. Cuevas, J. Mesa-Garcia and L. Garcia-Torres. 1989. Grassy weeds in winter cereals in Southern Spain. Crop Prot. 8(3):181-187. 

  18. Senseman, S.A. 2007. Herbicide Handbook. Ninth Edition, Weed Science Society of America. Lawrence, USA. p. 458. 

  19. Shimizu, T. 2003. Naturalized Plants of Japan. Heibonsha Ltd. Pub. Tokyo. p. 337. 

  20. Stone, R.D., W.B. Davilla, D.W. Taylor, G.L. Clifton and J. C. Stebbins. 1988. Status Survey of the Grass Tribe Orcuttieae and Chamaesyce hooveri (Euphorbiaceae) in the Central Valley of California. Technical report prepared for the Office of Endangered Speci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Sacramento, California. p. 124 

  21. Tucker, G.C. 1996. The genera of Pooideae (Graminea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Harvard Pap. in Bot. 9:11-90. 

  22. Weeds of Australia. 2016. Biosecurity Queensland Edition. Research for plant information. http://keyserver.lucidcentral.org/weeds/data/03030800-0b07-490a-8d04-0605030c0f01/media/Html/search.html?zoom_query (Accessed Oct. 1. 2016). 

  23. Wu, Z.L. and S. Phillips. 2006. Phalaris Linnaeus, Sp. Pl. 1: 54. 1753. Flora of Chi. 22:335-336. 

  24. Zuloaga, F.O., O. Morrone and M. Belgrano. 2008. Catalogo de las Plantas Vasculares del Cono Sur. Vol. 1: Pteridophyta, Gymnospermae, Monocotyledoneae. Monographs in Systematic Botany 107,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issouri (USA). p. 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