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1 no.2, 2018년, pp.95 - 102
백종순 (자윤한의원)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spontaneous pregnancy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Methods: The 28-year-old patient who was diagnosed premature ovarian failure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Hyangbujapalmul-tang-gagam), acupuncture and moxib...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조기난소부전이란? | 조기난소부전(Premature Ovarian Failure, POF)이란 40세 이전에 6개월 이상 월경이 없으면서 1개월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이 40 mIU/mL 이상 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1) . 조기난소 부전은 발병률이 비교적 높은 질환으로 40세 이전을 기준으로 100명당 1명, 30세 이하는 1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며1), 특히 2차성 무월경 증상이 나타나는 여성의 4~18%가 조기난소부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2). | |
조기난소부전에 대해 景岳全 書․婦人規에서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 한의학 문헌에서는 조기난소부전에 대해 ‘經閉’, ‘女子不月’ 등 월경이 중단된 증상을 위주로 기술하고 있다. ≪景岳全 書․婦人規≫에서는 經閉를 血枯와 血隔 으로 구분하여 隔은 邪氣가 隔滯되어 血 이 逆하게 된 것이고, 枯는 衝任脈이 虧 敗되어 그 흐름이 源泉的으로 단절된 것으로 설명하였다5). | |
조기난소 부전의 발병률은? | 조기난소부전(Premature Ovarian Failure, POF)이란 40세 이전에 6개월 이상 월경이 없으면서 1개월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이 40 mIU/mL 이상 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1) . 조기난소 부전은 발병률이 비교적 높은 질환으로 40세 이전을 기준으로 100명당 1명, 30세 이하는 1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며1), 특히 2차성 무월경 증상이 나타나는 여성의 4~18%가 조기난소부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2). |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Fourth Edition. Seoul:Koryeo Medical publisher. 2008:563-70, 970-2.
Anasti JN. Premature ovarian failure: an update. Fertil Steril. 1998;70:1-15.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compilation committee.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3. Seoul:Eisungdang. 2007:238-2.
Kalantaridou SN,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 endothelial dysfunction and estrogen-progestogen replacement. Trends in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6;17:101-9.
Jang GB. Buingyu. Seoul:Beobinmunhwasa. 1999:74-8.
Cho HJ,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 28 case series. J Korean Obstet Gynecol. 2004;17(4):149-57.
Nippita TA, Baber RJ. Premature ovarian failure: a review. Climacteric. 2007;10:11-22.
Tibiletti MG, et al. The idiopathic forms of premature menopause and early menopause show the same genetic pattern. Hum Reprod. 1999; 14:2731-4.
Visser JA, et al. Anti-Mullerian hormone: a new marker for ovarian function. Reproduction. 2006;131:1-9.
La Marca A, et al. Anti-Mullerian hormone (AMH) as a predictive marker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Hum Reprod Update. 2010; 16:113-30.
Alipour F, et al. Comparison of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AMH and FSH in Diagnosis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Disease Markers. 2015:1-4. Available from:URL:http://dx.doi.org/10.1155/2015/585604.
Huh JS, et al.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n clinical aspects in premature ovarian failur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2011;17(3): 160-5.
Women's Health Initiative Investigators. Risk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JAMA. 2002;288(3):321-33.
Bu S. Bucheongjunamyeogwa. Taipei: Munhwadoseogongsa. 1969:95-6.
Jeonguk Hanigwahak Sasangeuihakgyosil. Gaejeongjungbo Sasangeuihak. Seoul: Jipmundang. 2004:203-23.
Herbal medicine professors of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al medicine. Seoul:Youngrimsa. 2005:156, 465, 65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