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기난소부전 진단 후 한방치료를 통해 자연임신에 성공한 환자 1례의 임상증례보고
A Clinical Study on One Case of a Spontaneous Pregnancy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1 no.2, 2018년, pp.95 - 102  

백종순 (자윤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spontaneous pregnancy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Methods: The 28-year-old patient who was diagnosed premature ovarian failure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Hyangbujapalmul-tang-gagam), acupuncture and mox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받은 환자에게 한약을 투여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기난소부전이란? 조기난소부전(Premature Ovarian Failure, POF)이란 40세 이전에 6개월 이상 월경이 없으면서 1개월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이 40 mIU/mL 이상 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1) . 조기난소 부전은 발병률이 비교적 높은 질환으로 40세 이전을 기준으로 100명당 1명, 30세 이하는 1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며1), 특히 2차성 무월경 증상이 나타나는 여성의 4~18%가 조기난소부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2).
조기난소부전에 대해 景岳全 書․婦人規에서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한의학 문헌에서는 조기난소부전에 대해 ‘經閉’, ‘女子不月’ 등 월경이 중단된 증상을 위주로 기술하고 있다. ≪景岳全 書․婦人規≫에서는 經閉를 血枯와 血隔 으로 구분하여 隔은 邪氣가 隔滯되어 血 이 逆하게 된 것이고, 枯는 衝任脈이 虧 敗되어 그 흐름이 源泉的으로 단절된 것으로 설명하였다5).
조기난소 부전의 발병률은? 조기난소부전(Premature Ovarian Failure, POF)이란 40세 이전에 6개월 이상 월경이 없으면서 1개월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이 40 mIU/mL 이상 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1) . 조기난소 부전은 발병률이 비교적 높은 질환으로 40세 이전을 기준으로 100명당 1명, 30세 이하는 1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며1), 특히 2차성 무월경 증상이 나타나는 여성의 4~18%가 조기난소부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Fourth Edition. Seoul:Koryeo Medical publisher. 2008:563-70, 970-2. 

  2. Anasti JN. Premature ovarian failure: an update. Fertil Steril. 1998;70:1-15. 

  3.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compilation committee.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3. Seoul:Eisungdang. 2007:238-2. 

  4. Kalantaridou SN,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 endothelial dysfunction and estrogen-progestogen replacement. Trends in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6;17:101-9. 

  5. Jang GB. Buingyu. Seoul:Beobinmunhwasa. 1999:74-8. 

  6. Cho HJ,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 28 case series. J Korean Obstet Gynecol. 2004;17(4):149-57. 

  7. Jang SB, et al. A clinical study on 1 case of infertility patient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J Korean Obstet Gynecol. 2014;27(3):135-42. 

  8. Park EY, et al. A clinical study on 2 cases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by serum hormone assay.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1):109-20. 

  9. Ko JE, Lyou MS. Two cases of oriental medicine on premature ovarian failure by checking ultrasonography and serum hormone assay.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1):116-26. 

  10. Nippita TA, Baber RJ. Premature ovarian failure: a review. Climacteric. 2007;10:11-22. 

  11. Tibiletti MG, et al. The idiopathic forms of premature menopause and early menopause show the same genetic pattern. Hum Reprod. 1999; 14:2731-4. 

  12. Visser JA, et al. Anti-Mullerian hormone: a new marker for ovarian function. Reproduction. 2006;131:1-9. 

  13. La Marca A, et al. Anti-Mullerian hormone (AMH) as a predictive marker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Hum Reprod Update. 2010; 16:113-30. 

  14. Alipour F, et al. Comparison of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AMH and FSH in Diagnosis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Disease Markers. 2015:1-4. Available from:URL:http://dx.doi.org/10.1155/2015/585604. 

  15. Huh JS, et al.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n clinical aspects in premature ovarian failur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2011;17(3): 160-5. 

  16. Women's Health Initiative Investigators. Risk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JAMA. 2002;288(3):321-33. 

  17. Bu S. Bucheongjunamyeogwa. Taipei: Munhwadoseogongsa. 1969:95-6. 

  18. Jeonguk Hanigwahak Sasangeuihakgyosil. Gaejeongjungbo Sasangeuihak. Seoul: Jipmundang. 2004:203-23. 

  19. Herbal medicine professors of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al medicine. Seoul:Youngrimsa. 2005:156, 465, 6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