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workers in Health and Medical Industry in preparation for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43 - 52  

김선정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연선 (대구보건대학교 호텔외식산업학부) ,  김지훈 (대구보건대학교 보건환경과) ,  이정화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장경은 (대구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사회변화에 따른 대학의 신수요 창출을 위한 성인학습자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교육 분야와 이직분야, 교육요구 관련 문항을 도출, 보건의료산업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7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하였으며, 그 결과 바이오 의료기기, 고령친화산업, 환경 안전, 임상심리사, 외식산업(커피분야)등이 향후 필요한 교육 분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분야별 관련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2017년 8월 19일부터 9월 2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분야별 변화 그리고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on awarenes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ing much debated recently and sugges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adult learner in order to create a new demand of university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Based on earlier researches, the surve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대비 신수요 창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하기 위하여 1차로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간호사, 치과위생사, 노인복지시설종사자, 환경안전시설종사자, 그리고 커피산업종사자) 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인식 및 4차 산업혁명 관련 희망교육·이직분야, 그리고 교육여건에 대해 분석 하고, 2차로 이를 바탕으로 관련 직종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4차 산업혁명 관련 업계의 신수요 창출분야와 전망, 요구되는 직무능력, 교육내용 등 신수요 창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여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수요창출을 위한 성인학습자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Fig.
  • 본 연구는 보건의료 산업분야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한 4차 산업혁명 관련 인식 및 희망교육·이직분야, 교육 요구 및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신수요창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전문대학에서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의 측면에서는 전문능력을 향상시켜 고용을 안정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전문대학의 측면에서는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지역사회의 성인학습자에게 전문성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시사점이 있겠다.
  • 본 연구는 보건의료산업분야의 간호사, 치과위생사, 노인복지시설종사자, 환경안전시설종사자, 커피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인식 및 희망교육· 이직분야, 교육요구 등을 분석하고 둘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희망분야의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수요창출을 위한 성인학습자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보건 의료산업분야(병원, 치과병․의원, 노인요양시설, 보건환경 관련업체, 외식업체 등) 재직자를 대상으로 총 250부중 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35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한 전문가 심층인터뷰는 상위 5개의 직업 군(의료기기관련전문가, 치매관련 고령친화산업전문가, 커피산업전문가, 보건환경전문가, 임상심리사)의 관련 업무경력 10년 이상 현직 전문가 3명씩을 임의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 따라서 4차 산업혁명 관련 새로운 사회변화와 대학교육프로그램의 차별화가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들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인식 및 희망이직직업 그리고 교육 요구도에 대한 조사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간호사, 치과위생사, 노인복지시설종사자, 환경안전시설종사자, 그리고 커피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4차 산업관련 인식 및 4차 관련 희망교육·이직분야, 교육여건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희망분야의 전문가 그룹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해당 분야의 변화와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고 셋째,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수요창출을 위한 성인학습자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교육정보 공유를 통한 on-line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육과정을 고용노동부의 근로자직업능력개발훈련과 연계하여 교육비 부감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일반 성인 학습자 중 고용보험 가입자인 재직자는 무료나 40%의 본인부담금을 내고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9 대 혁신 기술로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그 중에서도 헬스케어 산업은 규모가 크고 산업 내 비효율성이 높아 더욱 큰 영향을 받을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 산업을 아우르는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종합전략을 논의 중이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9 대 혁신 기술로 빅데이터, 자동화 로봇, 시뮬레이션, 수평·수직적 소프트웨어통합, 산업인터넷, 사이버보안, 클라우드, 3D 프린팅, 가상현실이 논의되고 있다.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대학 구조개편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더욱이 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하여 대규모의 대학 구조개혁을 요구받고 있다. 2018년부터 대입정원과 입학 자원의 역전현상이 일어나고, 2020년 이후에는 대입자원과 입학자원 사이의 초과 정원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많은 대학이 정원 미달과 학과 폐지 및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다. 교육부는 ‘대학특성화사업’,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 등으로 대학의 구조개편을 유도하고 있다[6].
ICT와 헬스케어 기술의 융합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4차 산업혁명으로 말미암아 ICT와 헬스케어 기술의 융합은 고령화와 만성질환자 증가에 따라 늘어나는 미충족 의료수요를 충족시키고, 건강지출의 효율성을 제고할 뿐 아니라 헬스케어 패러다임 변화를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 J. Byun. (2017). Rhetoric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ealth and Medical. Medical and Society, 6, 31-49. 

  2. S. Klaus.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ortfloioPenguin. 

  3. G. H. Lee & S. Xu. (2017). A Legal Studyon the Utilization of BigData in Medical Field. Culture Media and Entertainment Law, 11(2), 155-188. 

  4. C. I. Jo. (2017). A Study on the Legislative Framework and Regulations regarding ITC Convergence in Healthcare Field with a focus on the Telemedicine. Journal of Social Science, 43(2), 1-22. 

  5. S. J Park. (2017). A Study on Design ICT-Medicine Convergence Curriculum by USing NCS.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12(6), 869-878. 

  6. H. H. Jung., Y. Y. Choi & S. W. Lee.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nge of Paradigm in health industry, KHIDI Brief. 

  7. J. K. Yoon. (2017). The Crisis of Korean Universities and the Project of Rearranging University System in Korea.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99, 201-226. 

  8. H. J. Lee. (2010). New Directions of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case study of USA and Japan.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6(1), 1-24. DOI :10.26857/JLLS.2010.05.6.1.1 

  9. M. Chung.(2017). Corporate Awareness and Implication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 Hyundai Research Institute. 

  10. H. J. Kim., J. J. Kim & I. K. Yeo.(2016). New Occupatio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2017 New career research. Seoul :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11. G. S. Hwang.(2005). A Study on Lifelong Education Needs of Industry Workers in the City Area. The gr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12. Y. N. Jo.(2001). The Quantitative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7(2), 307-329. 

  13. KBIZ. (2016.12) Awarenes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b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ttp://kbiz.or.kr 

  14. J. Y. Kim. (2017.5). The Effects and Countermeasures of the Public Sector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ttps://www2.deloitte.com 

  15. Y. G. Choi. (2017). The Prediction of Future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uture Horizon, 33, 32-35. 

  16. C. W. Nam. (2017). Exploring the Direction of Paradigm Shift of Busan City's Fu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8(3), 29-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