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보건계열학과 대학생의 4차 산업혁명 인식 및 준비도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reparation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of Some 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2, 2020년, pp.291 - 299  

조혜은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사를 준비하는 보건계열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도와 준비도를 조사하여 보건계열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4차 산업에 대한 전반적 인식도는 2.74로, 관련 용어 인식은 3D프린팅(3.59)이 높았고 신경망기계학습(2.33) 인식이 가장 낮았다. 전공별로 물리치료학(3.00) 전공 학생의 인식이 높았고 치기공학(2.37) 전공 학생의 인식이 가장 낮았으며 사물인터넷에 대한 전공별 인식도에 차이가 있었다(p=0.024). 4차 산업혁명 관련 준비를 '한다' 54.5%이었고 준비가 어려운 이유로는 '흥미부족'(42.9%)이 높았으며, 교육경험은 50.6%, VR&AR 게임경험은 60.9%에서 '있다'고 응답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나타날 변화로 '일자리 감소'(38.7%), 요구되는 역량은 '창의역량'(50.6%)이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인식도와 준비도를 높일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법 적용 등의 변화가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type curriculum in health. The awareness and preparation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surveyed on 280 college students in health departments preparing medical technicians. A self-written structured quest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종 의료기사를 준비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도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준비도를 조사하여 보건계열의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6종 의료기사를 준비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도와 준비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4차 산업혁명 인식도가 낮았고, 전공별로 공통적으로 인식이 부족한 분야는 신경망 기계학습으로 관련 분야의 인지 향상을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것이며, 준비도는 절반정도의 수준이었으나 여학생의 준비도는 평균 이하로 낮아 4차 산업혁명 시대 준비를 위한 정보제공 및 관련 교육이 시급할 것이다.
  •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산업혁명의 주요 분야인 보건의료분야 중 6종 의료기사를 준비하는 보건계열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도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준비도를 조사하여 보건계열의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 I. Kang. (2018).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ne Volume. Seoul : Chaegdeuluijeongwon Publishing. 

  2. K. M. Schwab.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 Saelounhyeonjae Publishing. 

  3. Y. S. Shin et al. (2017). Ap plan to reorganize the health car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4. Y. D. Park et al. (2019). Medical related laws. Seoul : DaehanNarae Publishing. 

  5. E. J. Kim. (201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9), 248-259. DOI : 10.5392/JKCA.2018.18.09.248 

  6. Sue Z. Beers. (2017). Teaching 21st Century Skills: An ASCD Action Tool. Seoul : Academypress Publishing. 

  7. D. O'Halloran. (2015).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Unleashing the Potential of Connected Products and Services. Switzerland : World Economic Forum. 

  8.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revised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urriculum overview. Seoul : Ministry of Education. 

  9. J. W. Byun. (2017). A stud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impact on cultural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Industry Studies, 17(3), 109-118. 

  10. S. S. Jo. (2016). The Futur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Future of Future Education, Media and education, 6(2), 152-185. 

  11. Y. S. Yoo. (2019).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Preparedness for Social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3), 566-575. DOI : 10.5392/JKCA.2019.19.03.566 

  12. N. R. Kim, S. H. Park, K. W. Jeon & J. M. Pyo. (2017).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7(4), 101-121. 

  13. E. C. Hwang. (2018). Recogn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ician and Women's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3(11), 159-165. DOI : 10.9708/jksci.2018.23.11.159 

  14. M. O. Chang, M. Y. Jung. (2019). The Study of Awareness and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6), 47-57. DOI : 10.5392/JKCA.2019.19.06.047 

  15. H. S. Choi, Y. J, Lee & S. H Jeon. (2017).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 for the 4th Revolu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9(2), 51-57. 

  16. J. H. Lee & Y. S. Kim. (2018). Awareness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dental hygienists for future medical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131-139. DOI : 10.15207/JKCS.2018.9.10.131 

  17. Y. H. Yang, J. S. Kim & S. H. Jeong. (2020). Prediction of dental caries in 12-year-old children using machine-learning algorith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4(1), 55-63. DOI : 10.11149/JKOH.2020.44.1.55 

  18. S. K. Baek, J. H. Park, K.S. Hong & H. J. Park.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verity-adjusted mortality prediction model for discharged patient with acute stroke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1), 126-136. DOI : 10.5762/KAIS.2018.19.11.126 

  19. P. J. Song, H. S. Ryou. (2016). A Study on VR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2(4), 21-25. DOI : 10.20465/KIOTS.2016.2.4.021 

  20. M. Y. Lee. (2019).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Basic Medical Class Applying Virtual Reality(VR).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3(7), 531-537. DOI : 17.10.2184/JKEIA.2019.10.13.7.531 

  21. S. S. Nam. (2017). Influence of VR game type on the Evaluation of Device/ Perceived characteristics, Presence and Enjoyment.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2. J. S. Tark. (2018). The effects of creativity convergence program utilizing virtual reality creation platform on cre- 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21st century skills and learning interest about social subject.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3. H. J. Kim. (2019). A Study on the Impact of Art Education Program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4.0 Era on the Creative Capability of Adolescents: Focused o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3(2), 162-175. DOI : 10.24231/rici.2019.23.2.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