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헬스케어의 혁신확산 요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혁신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Mobile Healthcare's Diffusion of Innovation Factors on Intention to Us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Innovation Propens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153 - 162  

이은천 (경희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조성찬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  이훈영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질병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관리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는 트렌드와 더불어 모바일 헬스케어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의 기술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수용은 다소 부진하다. 이에 모바일 헬스케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수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헬스케어의 혁신 확산 요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이 영향관계에서 혁신 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헬스케어의 상대적 유익성, 적합성, 관찰 가능성,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잡성, 시험 가능성,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혁신 성향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 성향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혁신 확산 요인과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에서 주요한 조절 변수임을 확인하였음에 시사점을 갖는다. 또한 모바일 헬스케어의 공급자 입장에서 소비자의 혁신 성향을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chnology of mobile healthcare is steadily growing, but acceptance of consumers is sluggish. Various studies related to mobile healthcare have been conducted, but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risoners are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diffusion factors of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의 혁신 확산 요인이 소비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이 영향 관계에서 제품 소유 성향과 정보 탐색 성향으로 세분화한 소비자의 혁신 성향의 조절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수요자의 혁신 기술 수용을 확대하는 방안의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혁신확산 요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두 요인의 영향 관계에서 혁신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헬스케어의 혁신 확산 요인이 수용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이 영향관계에서 수용자의 혁신 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의 이용의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향을 혁신 제품에 대한 소유 및 체험을 추구하는 제품 소유 성향과 혁신 제품에 대한 정보 소유를 추구하는 정보 탐색 성향으로 세분화하여 혁신 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연구 문제 2. 모바일 헬스케어 혁신 확산 요인과 이용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혁신 성향은 조절 효과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헬스케어란 무엇인가? 스마트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신체 상태를 기록 및 분석하여 질환의 사전 예측이 가능한 모바일 헬스케어(Mobile Healthcare)는 새로운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주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의료 및 건강 관련 산업과 IT 기술이 융합되어 탄생한 모바일 헬스케어는 의료기관에서 의료진을 통해야만 가능했던 진단 및 관리를 개인의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의료비 절감 및 치료의 효율성 증진, 기초 의료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의 추세는 어떠한가?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질병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관리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는 트렌드와 더불어 모바일 헬스케어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의 기술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수용은 다소 부진하다.
모바일 헬스케어의 기술이용에 대해 미치는 영향요소는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헬스케어의 혁신 확산 요인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이 영향관계에서 혁신 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헬스케어의 상대적 유익성, 적합성, 관찰 가능성,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잡성, 시험 가능성,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혁신 성향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 성향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혁신 확산 요인과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에서 주요한 조절 변수임을 확인하였음에 시사점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Endeavour Partners, L.L.C. (2014). Inside Wearables-How the Science of Behavior Change Offers the Secret to Long-Term Engagement. USA : Endeavour Partners, L.L.C. 

  2. P. Olson. (2014). Wearable tech is plugging into health insurance. USA : Forbes 

  3. P. Y. Chau & P. J. H. Hu. (2002). Investigating healthcare professionals' decisions to accept telemedicine technology: an empirical test of competing theories. Information & management, 39(4), 297-311. 

  4. S. P. Lin. (2011). Determinants of adoption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s, 9(3), 298-315. 

  5. B. Kijsanayotin, S. Pannarunothai, S & S. M. Speedie. (2009). Factors influencing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in Thailand's community health centers: Applying the UTAUT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8(6), 404-416. 

  6. H. S. Yoo, M. Y. Kim & O. B. Kwon. (2008).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ubiquitous computing service acceptance.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3(2), 117-147. 

  7. L. S. Lee, J. S. Jeong & K. Y. Noh.(2017).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445-456. 

  8. Z. Zheng. (2015). User Acceptance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 An Integrated Model of UTAUT and HBM Theory.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9(3), 203-236. 

  9. O. H. Lee & S. W. Ham. (2017).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3), 418-427. 

  10. Y. J. Kim. (2012). Exploratory Study on Acceptance Intention of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Servic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9), 369-379. 

  11. J. N. Sheth (1981). 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 (LDC) in Diffusion Research, Research in Marketing, 273-282. 

  12. Y. S. Ma., D. Y. Yeon & S. H. Park. (2015).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Relationship between Sportwearable Device's Innovation Attribute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6(4), 861-873. 

  13. G. A. Moore (2002). Crossing the Chasm: Marketing and Selling Disruptive Products to Mainstream Customers. New York, United States: Harper Collins. 

  14. Kay, M., Santos, J. & Takane, M. (2011). mHealth: New horizons for health through mobile technologies. World Health Organization, 64(7), 66-71. 

  15. G. Y. Lee & D. M. Lee. (2018). A study on the Future Bathroom Coupled with Smart Healthcare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203-209. 

  16. B. W. Min (2016). An Improvement of Personalized Computer Aided Diagnosis Probability for Smart Healthcare Service Syste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4), 79-84. 

  17. S. J. Yoo & S. Y. Moon. (2016). Diagnosis and prospect of bio-health industry for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economy. Seoul, Korea : KISTEP. 

  18. Rogers, E. M. (1962), Diffusion of Innovation, New York, USA : The Free Press. 

  19. Y. S. Seo & S. S. Lee. (2014). A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by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Comparison on Different Technology Adoption Stages of Smartphone.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7, 89-111. 

  20. S. Emani,, C. K. Yamin, E. Peters, A. S. Karson, S. R. Lipsitz, J. S. Wald, D. H. Williams & D. W. Bates. (2012). Patient perceptions of a personal health record: a test of the diffusion of innovation mode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4(6), e150 

  21. G. Y. Kwon & D. G. Lee. (2013). A Study on the Impa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e Intent of Smart-phone. Korean Business Review, 6(1), 85-107. 

  22. J. Carter (1998). Why settle for 'early adopters'?: The need to focus on 'Innovators'. Admap, 33, 41-43. 

  23. R. E. Goldsmith & C. F. Hofacker,(1991).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3), 209-221. 

  24. J. B. Hartman, K. C. Gehrt & K. Watchravesringkan. (2004). Re-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innovativeness in the context of the adolescent segment: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scale. Journal of Targeting,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Marketing, 12(4), 353-365. 

  25. Y. S. Ma, K.M. Cho., & J. H. Chin. (2014).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mart Sports Wears among Percieved Attributes, Product Attribute and Innovation Resistance.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5(3), 513-526. 

  26. S. U. Yun. (2016). A study of integrative adoption model regarding social TV.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6(2), 145-183. 

  27. K. Lee & S. Khan. (2007). Technology Adoption at the Consumer Level: Focus on Internet Based Communication Technology. AMCIS 2007 Proceedings, 431. 

  28. S. T. Nam, D. G. Kim & C. Y. Jin. (2013). A study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for Smartphone based o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7(5), 1219-1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