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 연구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7, 2017년, pp.445 - 456  

이이삭 (한림대학교 인터랙션디자인학과) ,  이상현 (한림대학교 인터랙션디자인학과) ,  정재선 (한림대학교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소) ,  노기영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바일 헬스케어 앱은 기기로서의 특성도 가지지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영역의 관리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해당 콘텐츠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심리적 요인으로서 도구적 효능감, 정보적 효능감, 건강정보지향, 유희성과 반응성이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 II)를 바탕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지속사용의도를 설명하는 다양한 외생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적 효능감과 도구적 효능감은 용이성과 유용성을 매개하여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희성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매개하여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속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지향과 반응성은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구적 관점, 정보적 관점, 유희적 관점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연구 및 제작의 필요성에 대한 접근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e healthcare apps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not just as software, but also as significant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We examin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factors (e,g., instrumental efficacy, informational efficacy,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playfulness, and responsiveness) o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앱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효능감을 기기의 측면과 정보의 측면으로 구분하고,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유희성, 반응성, 건강정보추구성향을 사용하여 앱의 수용 및 지속적인 이용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사용 동기와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를 발전시킴으로서 모바일 헬스케어 앱 관련 연구에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나아가, 이와 같은 가설들을 바탕으로, 건강정보지향과 반응성이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헬스앱의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에 자기효능감을 구분하고, 유희성과 건강정보지향, 반응성을 사용한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통해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사용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자기효능감을 정보적 효능감과 도구적 효능감으로 구분한 각 효능감의 영향력이 독립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으로 보여줌으로서 이론적으로 자기효능감의 확장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적 효능감, 도구적 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수용을 확장시키고 도구적 관점, 정보적 관점, 유희적 관점의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접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실제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지속사용의도를 설문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는데 후속연구에서는 실질적인 앱의 사용량 혹은 사용기간 등을 측정하여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지속사용 여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잠재요인 타당성 분석을 위해 측정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가 χ2df = 2.
  • 그러나 아직까지 헬스케어 앱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속사용에 미치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앱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효능감을 기기의 측면과 정보의 측면으로 구분하고,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유희성, 반응성, 건강정보추구성향을 사용하여 앱의 수용 및 지속적인 이용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가설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희성, 정보적 효능감, 기기적 효능감이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헬스케어 앱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H1: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인지된 용이성은 지속사용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인지된 유용성은 지속사용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정보적 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도구적 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유희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유희성은 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건강정보지향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반응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수용에서 기기적 측면과 함께 정보이해가 수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유희성의 역할이다.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모바일 헬스는 그 분야가 매우 넓은데, 최근 주로 사용되는 운동, 다이어트, 식단관리 등의 모바일 헬스케어 앱은 제공정보나 디자인의 중요성과 같이 흥미로운 정보제공 방식도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즉, 개인의 건강정보에 대한 능동적인 정보추구 성향은 모바일 헬스케어 앱이 제공하는 건강정보가 유용하다고 인식하는데 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정보지향이 인지된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기기적 사용 측면의 효능감으로서 도구적 효능감과 해당 기기가 제공하는 정보이해의 측면에서 정보적 효능감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효능감이 인지된 용이성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 이후 기술에 대한 판단만을 고려하는 기존 TAM 이론에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회적 영향력[22], 몰입[23, 24]과 같은 변인이 적용되는 등 기술적 관점 및 개인의 인지적 관점과 기기의 특성에 대한 관점이 추가되면서 기술수용이론은 확장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수용 모델의 변인인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 외에 사회적 변인들을 추가하여 기술수용 모델을 확장시켰고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헬스 앱 사용의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임을 가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의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헬스의 장점은 무엇인가? 건강정보의 제공이나 건강증진 프로모션 등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는 스마트 기기 및 바이오센서의 발전과 융합으로 인해 급성장을 하고 있다[6,7,8]. 모바일 헬스는 의료산업의 단점인 시간적, 공간적 제약 등을 보완할 수 있고, 비용 또한 기존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9,10] 이는 모바일 헬스케어 영역에 대한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주로 스마트폰 앱의 형태로서 제공되며, 사용자에 따라 의료진의 질병에 대한 진단, 처방과 관련된 정보제공, 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및 모니터링과 그밖에 의료관련 교육용으로 제공된다[11,12].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이란 무엇인가? 주로 컴퓨터 기술과 서비스,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술을 채택하는 데 중요한 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고, 이를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이라는 두 가지 행동 변인의 차원으로 나누었다. 인지된 용이성은 어느 특정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신체적 혹은 정신적으로 많은 노력이 동반되지 않아도 어렵지 않다고 생각하는 주관적 믿음을 의미한다. 인지된 유용성은 자신의 업무 수행에 있어 어느 특정 기술을 사용함으로 인해 향상시킬 수 있다고 믿는 정도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는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이 관련된 것으로 특정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개인의 직무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주관적인 믿음 정도를 말한다[20].
WHO가 정의하는 모바일 헬스는?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활성화 되고 있는 영역 중 하나로 모바일 헬스를 들 수 있다[4].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모바일 헬스를 모바일을 통한 헬스 콜센터, 응급재난 안내 콜센터, 진료 예약 안내, 환자 데이터 기록과 같은 통신과 컴퓨팅 기술을 사용한 영역, 환자 모니터링, 원격 진료, 환자 데이터 기록, 의사결정 지원과 같은 전문 의료영역, 건강정보 제공, 건강증진 프로모션과 같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비전문인에게 효율적인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영역 등을 포함하여 정의하였다[5]. 건강정보의 제공이나 건강증진 프로모션 등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는 스마트 기기 및 바이오센서의 발전과 융합으로 인해 급성장을 하고 있다[6,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MI Espicom, "The world Medical Markets Forecasts 2020", 2015. 

  2. B. W. Min, "An Improvement of Personalized Computer Aided Diagnosis Probability for Smart Healthcare Service Syste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6, No. 4, pp.79-84, 2016. 

  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Midto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Medical Device Industry", 2015. 

  4. G. J. Kim and J. S. Han, "Chronic Disease Management using Smart Mobile Device", Vol.12, pp.335-342, 2014. 

  5. M. Kay, J. Santos, and M. Takane. "mHealth: New horizons for health through mobile technologies." World Health Organization, Vol. 13, pp. 66-71, 2011. 

  6. S. H. Lee and S. S. Yu,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Current Status and Outlook",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Vol. 26, No. 17, pp.1-23, 2014. 

  7. I. K. Seo and S. H. Lee, "An Efficient Hospital Service Model of Hierarchical Property information classified Bioinformatics information of Pati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5, No. 4, pp.17-23, 2016. 

  8. Y. Su. Jeong, "User Authentication Key Establishment Scheme based on Color Model for Healthcar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3, pp. 115-121, 2017. 

  9. Institute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Mobile healthcare trends and implications at home and abroad", pp.35-38, 2015. 

  10. E. J. Jung, "Mining based Mental Health and Blood Pressure Management Service for Smart Health",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1, pp. 13-18, 2017. 

  11. A. S. M. Mosa, I. Yoo and L. Sheets.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care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Vol. 12, No. 1, pp. 67, 2012. 

  12. J. Choi, D. J. Park and G. Y. Noh, "The effect of Attributes of Exercise/Fitness Apps on App Usage: A Convergence Perspective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6, pp.327-339, 2015. 

  13. B. R. Wang, J. Y. Park and I. Y. Choi,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doption of 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10, pp.396-404, 2011. 

  14. Y. B. Shim, Y. J. S, J. M. Kim, S. H. Kim and D. H. Sung,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 to use the medical application (M-APP) of smart phone of hospital nurse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 22, No. 2, pp. 249-262, 2012 

  15. J. Cho,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of Determining Continuous Use of Health Apps on Smartphones Application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Vol. 18, No. 1, pp.212-241, 2014. 

  16. A. B. Becker, "Political humor as democratic relief? The effects of exposure to comedy and straight news on trust and efficacy",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19, No. 5, pp. 235-250, 2011. 

  17. D. J. Park, J. Choi and D. J. Kim, "The Influence of Health Apps Efficacy, Satisfaction and Continu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7, pp.137-145, 2015. 

  18. Y. N. Choi, K. H. Kim and S. R. Oh, "Structural Model for Users's Accepting Smart Health Care Services by Moderating the User Typ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9, pp.541-554. 2015. 

  19. M. K. Chang and W. Cheung,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use internet/ WWW at work:A confirmatory study",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 39, No. 1, pp.1-14, 2001. 

  20. J. S. Lee and M. Y. Lee,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IP-TV with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Broadcasting & Communication, Vol. 7, No. 1, pp.100-113, 2006. 

  21. H. J. Yun and S. C. Moon. Factors Affecting Intension to Use Tablet PCs : Moderating Effects of Smart Phone Use, KABS, No. 79, pp.169-202, 2006. 

  22.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 46, No. 2, pp.186-204, 2000. 

  23. R. Agarwal and E. Karahanna,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Vol. 24, No. 4, pp.665-694, 2000. 

  24. M. Koufaris,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low Theory to Online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3, No. 2, pp.205-223, 2002. 

  25.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997. 

  26. H. Verkasalo, C. Lopez-Nicolas, F. J. Molina-Castillo and H. Bouwman, "Analysis of users and non-users of smartphone application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 27, No. 3, pp.242-255, 2010. 

  27. S. Lim, L. Xue, C. C. Yen, L. Change, H. C. Chan, B. C. Tai, H. B. L.. Duh and M. Coolani, "A study on Singaporean women's acceptance of using mobile phones to seek health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Vol. 80, No. 12, pp.189-202, 2011. 

  28. B. Yu and H. H. Kim, "A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GUI Design - Focused on the Exercise Application",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5, No. 1, pp.223-233, 2015. 

  29. J. D. Kim and S. D. Park, S. J. Lim and S. P. Hwang, and S. G. Lee, Information Visualization for Mobile Healthcare", The Journal of Korean Ins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19, No. 12, pp.99-110, 2012. 

  30. S. Sohn, Y. J. Choi, H. S. Hwang. "Understanding Acceptance of Smartphone among Early Adopters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5 No. 2, pp. 227-251, 2011. 

  31. S. Y. Kim, S. H. Lee and H. S. Hwang, "User Acceptance of Social Network Games on Smart Devices: An Extension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Vol. 16, No. 5, pp. 173-184. 2011. 

  32. B. O. Jeong,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on Intention to Use Tourism Application: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30, No, 1, pp.101-121, 2016. 

  33. J. W. Lee, J. D. Kim and A. Ji, "A Present Condition of Smartphone Health Applications", Korean Soc Design Sci, Vol. 10. pp.210-211, 2010. 

  34. M. J. Dutta-Bergman, "Primary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Comparisons in the domain of health attitudes, health cognitions, and health behaviors", Health Ccommunication, Vol. 16, No. 3, pp.273-288. 2004. 

  35. D. J. Park, M. S. Kim and J. Choi,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ttitud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on Personal Health Behavior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Vol. 17, No. 3, pp.379-413, 2013. 

  36. Y. N. Li, K. C. Tan and M. Xie, "Measuring web-based service quality," Total Quality Management, Vol. 13, No. 5, pp.685-700, 2002. 

  37. M. Wolfinbarger and M. C. Gilly, "eTailQ: Dimentionalizing, measuring and predicting etail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 79, No. 3, pp. 183-198, 2003. 

  38. D. U. Kim and J. S. Oh, "A Structure on Mobile Service Quality"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Vol. 7, No. 3, pp. 51-82, 2006. 

  39. J. O. Lee, J. Whang, S. and Kang, S. Lee, "Extended TAM for Accepting Mobile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Attributes : The Case of Cellular Phon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 13, No. 1, 39-66, 2006. 

  40. C. D. Norman and H. A. Skinner, "eHEALS: the eHealth literacy scal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 8, No. 4, pp.27, 2006. 

  41. D. W. Russell, J. H. Kahn, R. Spoth and E. M. Altmaier,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45, pp.18-29, 1998. 

  42. E. K. Yun and H. A. Park, "Consumers' diseas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in Kore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19, pp.2860-2868, 2010. 

  43. F. D. Davis, R. P. Bagozzi, and P.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 35, No. 8, pp. 982-1002, 1989. 

  44. V. Venkatesh, M. G. Morris, G. B. Davis and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 27, No. 3, pp. 425-478,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