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광고소구 유형과 자기 검색도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The Interaction Effects of Online Advertising Types and Self-Monitor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207 - 211  

한상필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유형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의 효과에 조절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 검색도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수도권 소재 1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times}2$ 요인설계로 실험이 실시되었다. 자기 검색도가 낮은 집단은 이미지를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 보다는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에 더 긍정적인 반면에, 자기 검색도가 높은 집단은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 보다는 이미지를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텔레비전과 신문과 같은 전통광고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광고에서도 가설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와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This research paper discusses the results of an article on the effects of moderating role of self-monitoring on response to the two different types of online advertising appeals. It was hypothesized that low self-monitors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brand when exposing advertisements with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고효과가 발생하는 주요 4가지 변인 중에서 두 가지 변인인 온라인광고 소구유형과 개인특성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연구한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매체 연구에서 온라인 광고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통 매체광고를 대상으로 하였던 자기 검색도와 광고소구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된 바 있다.
  •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유형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 의 효과에 조절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 검색도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온라인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제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와 실무적 함의를 포함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유형과 자기 검색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설계는 2 X 2 factorial design으로 이루어졌다.
  •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를 정보광고와 무드광고, 또는 경성광고와 연성광고로 분류하기도 한다[13-17].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광고학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로 온라인 광고유형을 분류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광고에 있어서 광고소구유형과 개인의 특성이 모두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인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해 준 연구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를 제작할 때,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를 전략적으로 선정하는데 있어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에 더 높은 효과를 올릴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자기 검색도가 낮은 집단은 이미지광고 보다 제품광고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다
  • 가설 2; 자기 검색도가 높은 집단은 제품광고 보다 이미지광고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 검색도 이론은 무엇인가? 자기 검색도 이론은 광고효과연구에 있어서 개인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어 가장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한 분야이다[1,2]. 자기 검색도 이론은 개인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외부적 표현 행동의 사회적인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황적인 여건에 따라서 스스로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성향을 말한다[3,4].
검색도가 낮은 사람들은 어떤 행동 성향을 보이는가? 자기 검색도 측정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는 자기 검색도가 낮은 사람들은 (low self-monitors) 주변 상황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관성 있는 행동을 하며 본인의 내적 감정과 태도에 따라 행동하는 성향이 높다[5,6]. 따라서 자기 검색도가 낮은 집단은 자기 검색도가 높은 집단 보다 본인의 태도에 따라 행동하는 일관성을 보인다.
자기 검색도가 낮고 높음에 따라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이와 같은 자기 검색도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의 특성에 따라서 자기 검색도가 낮은 사람들은 광고하는 제품의 본질적 혜택과 품질을 강조하는 제품 광고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데 비해, 자기 검색도가 높은 사람들은 제품을 소비함으로서 자신이 타인들에게 보이는 인식을 강조하는 이미지 광고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한다 [9-11]. 자기 검색이 낮은 소비자들은 본인의 태도와 선유경향에 맞추어 행동하나, 자기 검색이 높은 소비자들은 광고된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데 있어 상황에 투사하려는 성향이 높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B. Lammers. (1991). Moderating Influence of Self-Monitoring and Gender on Responses to Humorous Advertising,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1(1), 57-69. 

  2. J. R. Myers & S. Sar. (2013). Persuasive Social Approval Cues in Print Advertising: Exploring Visual and Textual Strategies and Consumer Self-Monitoring,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19(3), 168-181. 

  3. S. Arslantas & A. Kurnaz. (2017). The Effect of Using Self-Monitoring Strategies in Social Studies Course on Self-Monitoring, Self-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and Science, 3(2), 452-463. 

  4. S. C. Chuang, C. C. Tsai, Y. U. Cheng & Y. C. Sun. (2009). The Effect of Terminologies on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s and Brands: Consumer Product Knowledge as a Moderator,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4(4), 485-491. 

  5. S. W. Ganestad & M. Snyder. (2000). Self-Monitoring: Appraisal and Reappraisal, Psychological Bulletin, 126(4), 530-555. 

  6. M. Snyder. (1974). Self-Monitoring in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0(4), 526-537. 

  7. S. Shavitt, T. Lowrey & S. Han. (1992). Attitude Functions in Advertising: The Interactive Role of Products and Self-Monitor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4), 337-364. 

  8. D. H. Dean. (1999). Brand Endorsement, Popularity, and Event Sponsorship as Advertising Cues Affecting Consumers Pre-purchase Attitudes, Journal of Advertising, 28(3), 1-12. 

  9. I. Hameed, S. Siddiqui, & J. Husain. (2016). Conceptualizing Humor in Advertising: The Moderating Role of Self-Monitoring, Pakistan Business Review, 18(3), 692-709. 

  10. D. S. Stayman, & F. R. Kardes. (1992). Spontaneous Inference Processes in Advertising: Effects of Need for Cognition and Self-Monitoring on Inference Generation and Utilization,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 125-142. 

  11. K. G. DeBono. (1987). Source Expertise, Source Attractiveness, and the Processing of Persuasive Information: A Funct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4), 541-546. 

  12. M. Snyder, & K. G. DeBono. (1987). A Functional Approach to Attitudes and Persuasion, In M.P. Zanna, J.M. Olson and C.P. Herman (Eds.), Social Influence: The Ontario Symposium (vol.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Inc, 107-125. 

  13. S. Okazaki, B. Mueller, & C. Taylor. (2010). Measureing Soft-Sell Versus Hard-Sell Advertising Apeals, Journal of Advertising, 39(2), 5-20. 

  14. S. Okazaki, B. Mueller, & C. Taylor. (2010). Glob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Testing Perceptions of Soft-Sell and Hard-Sell Advertising Appeals Between U.S. and Japanese Consumer,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18(2), 20-34. 

  15. E. Jaafar, & W. Douglas. (2010). Risk and Creativity i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9(5), 657-673. 

  16. C. Lee. (2016). The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and the Future of the Advertising Indust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203-209. 

  17. E. Kim. (201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Behavior for Mobile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4), 149-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