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실태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Infection Control practices in accordance characteristic of Dental institutions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roun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299 - 307  

성미애 (경북대학교 치위생학과) ,  윤성욱 (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본 연구는 치과의료기관의 감염관리실태의 규명과 감염예방을 위해 대구, 경북지역 2012년, 2017년 2개 년도 동일한 114개의 치과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실태와 오폐수처리 및 기구소독을 설문조사하였다. 감염관리실태 8문항 평균 3.37이며 '환자의 질병병력 기록'은 95.5%로 높고 '오폐수시설이 있는 경우' 1.8%로 낮았다. 오폐수처리 및 기구소독의 9항목 평균 4.87이며 '메탈트레이 소독' 94.7%로 높고, '타구통 폐기물을 폐기물통에 보관 후 위탁처리' 17.5%, '로 낮았다. 일반적인 특징과 치과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실태와 오폐수처리 및 기구소독은 2012년보다 2017년이 높았으며, 치과위생사, 대학졸업이상, 환자상담 및 관리, 병원급 이상, 치과의사 수(치과위생사 수, 체어 수, 환자 수)는 많은 경우 높았다. 총괄적으로 치과 특성을 고려하여 감염관리를 하여야 할 것이며 병원규모와 관계없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 research of infection control, wastewater management, and instrument disinfec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 at Daegu, Gyeongbuk Province In 2012 and 2017, the same 114 dental clinics to identify the infection management behavior and prevent infection of dental medical institu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 경북의 치과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진료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감염관리실태를 진료기관 특성에 따른 실태와2012년과 2017년의 변화된 실태를 조사함으로서 치과진료실 내 감염성 질환자로부터 오염될 수 있고 교차감염의 위험이 있는 치과기구와 오폐수시설 등에 대한 치과감염관리의 문제점과 심각성을 규명하여 감염예방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감염방지를 위한 관심과 실천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의의는 치과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실태와 오폐수처리 및 기구소독을 조사함으로서 진료환경이 다른 경우 감염관리실태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여 그 문제점을 알고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일부지역에 편의 표본추출에 의해 선정하였기에 다른 지역의 치과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실태와 차이점이 있을 것이며, 본 연구와는 다른 변수의 진료환경이 감염관리실태에 미치는 요인들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향후 다각적인 면에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더욱 심도 깊게 이루어져 본 연구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재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염관리이란 무엇인가? 감염관리란 진료기관에서 환자와 직원, 방문객 및 기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감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예방하거나 감소하기 위한 관리방법을 의미한다[1]. 이러한감염관리는 치료를 중심으로 하는 과거와는 달리 현대에는 진료환경이나 진료실내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의 부각으로 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로서 그 중요성이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2].
치과에서 교차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이유는? 치과의료기관은 병원체의 중요한 진원지인 구강 내질환을 발치, 치주 및 근관치료 등의 치료를 하면서 혈액이 노출되는 치료가 많으며, 치과용 유니트(dental chairunit, DCU)의 초음파치석제거기(ultresonic), 고속핸드피스(high-speed handpiece), 공기물사출기(air-watersyringe)등을 통한 에어로졸. 분진의 발생으로 의료진, 환자에게 교차감염의 위험성 높은 의료기관이다[3]. 치과를 방문하는 환자 중 감염성 질환에 대한 사전조사는 보통 병력 청취를 통해 분류하고 있지만 정보신뢰성에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환자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시는 정확하게 질병을 추적하기가 어려워 교차감염에 대한 위험성이 높음을 간과할 수 없다.
감염관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방법을 치과종사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이유는? 현대의 환자들은 매스컴으로 인해 감염관리 정보를 알게 됨으로서 감염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감염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14] 반해 국내 치과종사자들은 감염의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며[15]. 치과의료기관의 감염에 대한 관리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감염예방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져야할 치과 종사자들과 병원의 역할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치과종사자에게 감염관리에 대한 올바른지식과 방법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감염관리를 실천함으로서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W. E. Schecler, D. Brimhall, A. S. Buck, B. M. Farr, C. Friedman, R. A. Garibaldi, P. A. Gross, J. A. Harris, W. J Jr. Hierholzer, W. J. Martone, L. L. McDonald & S. L. Solomon. (1998). Requirements for infratructure and essential activities of infection control and epidemoology in hospitals: A consensus penel report. Society for Healthcare Epidemoology of America. Am JInfect Control, 26(1), 47-60. DOI: 10.2307/30142002 

  2. H. S. Oh. (2005). (A)Study on the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and model in Korea, a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3. S. S. Hae & M. S. Lee (2013).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t dental hospital and its validity verfication, J Dent Hyg Sci, 13(3), 113-11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sr book. 60th 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113-115 

  5. K. M. Kim, J. Y. Jung & Y. S. Hwang. (2007). A study on the state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 J Korean Soc Dent Hyg, 7(3), 213-228. 

  6. J. K. Kang. E. S. Kim & K. M. Kim. (2002). Study on the Infection Control and Dental waste Disposal in Dental Clinic Located in Seoul City, J Dent Hyg Sci, 2(2), 105-113. 

  7. J. S. Kim. (1994).?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J Korean Soc Dent Hyg, 32(6), 422-426. 

  8. H. S. Moon. (1992).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of dentists. J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16(1), 53-73. 

  9. Y. N. Park. H. H. Min & H. J. Lee. (2006).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n Dental Waste Treatment of dental hygienes, J Korean Soc Dent Hyg, 6(1), 37-46. 

  10. H. S. Park, J. Y. Bae, Y. A. Lee & M. J. Jo. (2007). A Study on Recognition of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Staff. J Dent Hyg Sci, 7(4), 247-262. 

  11. W. G. Kokn, A. S. Colins, J. L. Cleveland, J. A. Harte, K. J. Eklund & D. M. Malvitz. (2003). Guidelines for infections control in dental health-care settings. Centers for Diaease Control and Prevention, 38-40. 

  12. K. O. Yun. (2013).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dex in Dental Office. J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8(2), 3-35. 

  13. E. G. Son & H. Y. Jung, (2016). Survey on Need for Awareness and Education on Infection for Local Dental Workers in Specific Regions, Korean Journal of Clinical Dental Hygiene, 4(2), 1-10. 

  14. M. R. Bae. J. H. Chun. J. H. Lee. (2013). Analysis of selection criteria of consumers for dental clinic. J Korea Contents Soc, 13, 271-277. DOI : 10.5392/JKCA.2013.13.03.271 

  15. H. S. Park, J. Y. Choi, S. S. J. S. Kim, B. K. Choi & H. K. Jang. (2008).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by Dental Hygienists -With Reference to Seoul and Incheon, Gyeonggi Province-. J Dent Hyg Sci, 8(4), 275-281. 

  16. O. S. Han & J. R. Lee. (2013). A Study on Awareness and Degree of Practice about Infection Control by Dental Hygienics Students in Some Ares, J Dent Hyg Sci, 13(4), 410-417. 

  17. H. N. Yoo & K. H. Kang. (2013).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ental Treatment Infection Control Standards of Dental Hygienis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649-656. DOI: 10.14400/JDMP.2013.11.12.649 

  18. J. H. Kim. G. W. Kim. (2013). Recognition of Medical Consumer over the Infection Control of Dental Clinic,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306-312. DOI : 10.5392/JKCA.2013.13.11.306 

  19. H. S. Park, J. Y. Bae, Y. A. Lee & M. J. Jo. (2007). A Study on Recognition of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Staff. J Dent Hyg Sci, 7(4), 247-262. 

  20. S. Y. Choi. H. K. Jung. M. Y. Kwon.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medical care service qualit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visit. J Korean Corp Manag Assoc, 13(2), 51-65. 

  21. Y. S. Yim. (2008). Status and Practice of Infeation Control among Dental Hygienists,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2. Y. N. Park. (2017).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clinical training,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5(11), 307-315. DOI: 10.14400/JDC.2017.15.11.307 

  23. D. R. Choi. S. H. Kim. (2015). The Study on Organization, Infection Controller, Patient Infection Control of Dental Clinic in Certain Areas. J Dent Hyg Sci, 15(4), 399-406. DOI : 10.17135/jdhs.2015.52.4.399 

  24. Y. S. Nam. (2008). Analysis on Relevant Factors in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in Dental Clinics-(Focusing on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8(3), 189-198. 

  25. B. Y. Kim. J. M. Park & E. J. Park. (2014). A study on the impacts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dental hygienists' perceptions for hepatitis type B and their practices to prevent infection, J Korean Academy Prosthodontics, 52(2), 287-297. DOI : 10.4047/jkap.2014.52.4.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