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전초 잎의 물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생쥐에서 지질대사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water extract on expression of lipid-related protein expression metabolism in high fat-induced obese C57BL/6 mice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3 no.3, 2018년, pp.63 - 70  

김소영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약리학교실) ,  정미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약리학교실) ,  김유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약리학교실) ,  이은탁 (농업회사법인 (주)이비채) ,  추성태 (농업회사법인 (주)이비채) ,  김미려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약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water extract of Plantago asiatica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PAF) significantly controlled in body weights, adipose tissue weight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obese C57BL/6 mice.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anti-obesity action of PAF, expression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차전초의 성분인 plantamajoside 및 acteoside에 관한 연구로는 항박테리아12), 항산화13) 및 항염증14)등의 작용이 보고되어 있으나, 차전초 잎의 비만억제 작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 등은 비만이 유도된 C57BL/6 생쥐에서 차전초 잎의 열수 추출물(Plantaginisasiaticae Folium, PAF) 투여 시에 체중, 지방 조직 및 혈액의 지질 감소에 대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으며15), 본 연구에서는 PAF의 항비만 기전을 규명하고자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발된 생쥐에 PAF를 투여한 후 지방대사 관련 단백 지표의 변화들을 관찰하여 얻은 유의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PAF의 투여가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발된 생쥐의 비만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그러나 차전초 잎 추출물에 관한 체계적인 항비만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으므로 본 연구자들은 선행연구에서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생쥐에 차전초 잎의 물 추출물(PAF)을 경구 투여한 후,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지질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체중 및 조직 무게의 감소, 혈액 및 간에서의 지질 축적 억제, 췌장 lipase의 억제를 통한 체내 중성지방 배출 증가에 대한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 PAF의 항비만 소재로서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에너지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들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율의 증가는 어떠한 질병들과 관련이 있는가? 9%로 증가하였고, 체질량 지수가 30 ㎏/㎡ 이상인 비만율은 남, 여 모두 증가하였다3). 이러한 비만율의 증가는 단순한 체중 증가 외에 동맥 경화, 비 알코올성 지방간 및 제 2형 당뇨병 등의 성인병 유발을 증가시키며, 뇌졸중, 심근경색 및 심혈관 질환과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4). 비만 치료의 방법은 크게 ‘에너지 흡수(energy intake)억제’ 또는 ‘에너지 소비(energy expenditure)증가’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5).
비만이란 무엇인가?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일일 섭취 칼로리가 점점 증가하는데 반해 운동량이 감소하면서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다.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섭취량이 많아 체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로 유전적, 환경적, 정신적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1). 한국 질병관리 본부에서 발표한 '한국 보건 통계'에 의하면 1998년, 2001년, 2010년 및 2013년의 일일 섭취 칼로리 추세는 각각 2152 kcal, 2107 kcal,2360 kcal 및 2386 kcal로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2).
현재 판매되는 비만 치료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비만 치료제 중에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효능을 가진 약물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비만치료제는 중추 신경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시키거나 위장관에서 지방의 체내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이다7). 특히 식욕억제제의 경우, amphetamine은 남용 가능성, 심혈관계 부작용, 뇌출혈 위험성 등을 이유로 비만치료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phentermine은 교감신경흥분 작용 때문에 고혈압, 빈맥, 초조, 불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이론적으로 의존, 내성의 위험성이 있다8).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보다 안전한 천연 소재를 활용한 비만 치료약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질흡수 감소, 에너지 섭취 감소 및 에너지 소비 증가, 전지방 세포 분화 감소, 지방 생성 감소 기능을 갖는 소재 등이 보고된 바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James OH, Edward LM, Holly TW. Dietary fat intake and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implications for obesity. J Nutr. 2000 ; 130 : 284S-8S.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2016. 

  3. Shin HY, Kang HT. Recent trends in the prevalence of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1998 to 2014. J Epidemiol. 2017 ; 27(9) : 413-9. 

  4. Scott MG.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 89(6) : 2595-600. 

  5. Tseng YH, Cypess AM, Kahn CR. Cellular bioenergetics as a target for obesity therapy. Nat Rev Drug Discov. 2010 ; 9(6) : 465-82. 

  6. Song MY, Lim SK, Wang JH, Kim HJ. The root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prevents obesity and glucose intolerance and increases energy metabolism in mice. Int J Mol Sci. 2018 ; DIO: 10.3390/ijms19010278. 

  7. Daneschvar HL, Aronson MD, Smetana GW. FDAapproved anti-obesity drugs in the United states. Am J Med. 2016 ; 129(8) : 879.e1-6. 

  8. Kang JG, Park CY. Anti-obesity drugs: a review about their effects and safety. Diabetes Metab J. 2012 ; 36 : 13-25. 

  9. Yun JW. Possible anti-obesity therapeutics from nature - A review. Phytochemistry. 2010 ; 71 : 1625-41. 

  10. Saad B, Zaid H, Shanak S, Kadan S. Herbal-derived anti-obesity compounds and their action mechanisms. Anti-diabetes and Anti-obesity Medicinal Plants and Phytochemicals. 2017 ; 129-44. 

  11. Ye CL, Jiang CJ. Optimization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Plantago asiatica 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arbohydr Polym. 2011 ; 84 : 495-502. 

  12. Ravn H, Brimer L. Struture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ntamajoside, a caffeic acid sugar ester from Plantago major subs major . Phytochemistry. 1988 ; 27(11) : 3433-7. 

  13. Tundis R, Bonesi M, Menichini F, Loizzo MR, Conforti F, Statti G, Pirisi FM, Menichini F. Antioxidant and anti-cholinesterase activity of Globularia meridionalis extracts andisolatedconstituents. NatProdCommun. 2012 ; 7 : 1015-20. 

  14. Danae CO, Sugeyla BG, Jaime RBB, Rola AA, Veronica R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iridoids and verbascoside isolated from Castilleja tenuiflora. 2013 ; 18(10) : 12109-18. 

  15. Kim SY, Jeong MJ, Kim YJ, Lee UT, Choo ST. Effect of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water extract on body fat loss in high fat-induced obese C57BL/6 mice. Kor J Herbol. 2018 ; 33(2) : 59-68. 

  16. Turel I, Hanefi H, Erten R, Oner AC, Cengiz N, Yilmaz O. Hepat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lantago major L. Indian J Pharmacol. 2009 ; 41(3) : 120-4. 

  17. Park SJ, Sihn EH, Kim CA.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ago asiatica L. Korea J food Preserv 2011 ; 18(2) : 212-8. 

  18. Hu JL, Nie SP, Wu QM, Li C, Fu ZH, Gong J, Cui SW, Xie MY. Polysaccharide from seeds of Plantago asiatica L. affects lipid metabolism and colon microbiota of mouse. J Agric Food Chem. 2014 ; 62(1) : 229-34. 

  19. Huang DF, Xie MY, Yin JY, Nie SP, Tang YF, Xie WM, Zhou C.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the seeds of Plantago asiatica L. J Ethnopharmacol. 2009 ; 124(3) : 493-8. 

  20. Yin JY, Nie SP, Zhou C, Wan Y, Xie MY.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purified from the seeds of Plantago asiatica L. J Sci Food Agric. 2009 ; DOI 10.1002/jsfa.3793. 

  21. Hwang JT, Kwon DY, Yoon SH.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 potential target for the disease prevention by natural occurring polyphenols. N Biotechnol. 2009 ; 26 : 17-22. 

  22. O'Neill HM, Holloway GP, Steinberg GR. AMPK regulation of fatty acid metabolism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implications for obesity. Mol Cell Endocrinol. 2013 ; 366 : 135-51. 

  23. Hawley SA, Davison M, Wood A, Davies SP, Besi RK, Carling D, Hardie DG. Characterization of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from rat liver, and identification of threonine-172 as the major site at which it phos-phorylates and activate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J Biol Chem. 1996 ; 271 : 27879-87. 

  24. Kong CS, Kim JA, Kim SK. Anti-obesity effect of sulfated glucosamine by AMPK signal pathway in 3T3-L1 adipocytes. Food Chem Toxicol. 2009 ; 47 : 2401-6. 

  25. Spiegelman BM, Flier JS.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2002 ; 104 : 531-43. 

  26. Andersson U, Filipsson K, Abbott CR, Woods A, Smith K, Bloom SR, Carling D, Small CJ.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lays a role in the control of food intake. J Biol Chem. 2004 ; 279 : 12005-8. 

  27. Minokoshi Y, Kim YB, Peroni OD, Fryer LG, Muller C, Carling D, et al. Leptin stimulates fatty-acid oxidation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Nature 2002 ; 415 : 339-43. 

  28. Hardie DG, Hawley SA, Scott JW. AMP-activated protein kinase-development of the energy sensor concept. J Physiol. 2006 ; 574 : 7-15. 

  29. Dietschy JM, Turley SD, Spady DK. Role of liver in the maintenance of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homeostasis in different animal species, including humans. J Lipid Res. 1993 ; 34 : 1637-59. 

  30. McGarry JD, Brown NF. The mitochondrial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system-From concept to molecular analysis. Eur J Biochem. 1997 ; 244 : 1-14. 

  31. Clouet P, Henninger C, Bard J. Study of some factors controlling fatty acid oxidation in liver mitochondria of obese Zucker rats. Biochem J. 1986 ; 239 : 103-8. 

  32. Brown MS, Goldstein JL. The SREBP pathway: regulation of cholesterol metabolism by proteolysis of a membrane-bound transcription factor. Cell. 1997 ; 89 : 331-40. 

  33. Kolehmainen M, Vidal H, Alhava E, Uusitupa MIJ.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c (SREBP-1c) expression in human obesity. Obes Res. 2001 ; 9(11) : 706-12. 

  34. Horton JD, Goldstein JL, Brown MS. SREBPs: activators of the complete program of cholesterol and fatty acid synthesis on the liver. J Clin Invest. 2002 ; 109 : 1125-31. 

  35. Ji C, Chan C, Kaplowitz N. Predominant role of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SREBP) lipogenic pathways in hepatic steatosis in the murine intragastric ethanol feeding model. J Hepatol. 2006 ; 45 : 717-24. 

  36. Kalupahana NS, Claycombe KJ, Moustaid-Moussa N. (n-3) fatty acids alleviate adipose tissue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mechanistic insights. Adv Nutr. 2011 ; 2(4) : 304-16. 

  37. Harms M, Seale P. Brown and beige fat: development, function and therapeutic potential. Nat Med. 2013 ; 19(10) : 1252-63. 

  38. Palou A, Pico C, Bonet ML, Oliver P. The uncoupling protein, thermogenin. Int J Biochem Cell Biol. 1998 ; 30 : 7-11. 

  39. Petrovic N, Shabalina IG, Timmons JA, Cannon B, Nedergaard J. Thermogenically competent nonadrenergic recruitment in brown preadipocytes by a $PPAR{\gamma}$ agonist.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8 ; 295 : 287-96. 

  40. Francesc V, Roser I, Marta G. PPARs in the control of uncoupling proteins gene expression. PPAR Res. 2007 ; DIO:10.1155/2007/74364. 

  41. Festuccia WT, Blanchard PG, Richard D, Deshaies Y. Basal adrenergic tone is required for maximal stimulation of rat brown adipose tissue UCP1 expression by chronic PPAR-gamma activation.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10 ; DIO:10.1152/ajpregu.00821. 

  42. Peng Z, Borea PA, Varani K, Wilder T, Yee H, Chiriboga L. Adenosine signaling contributes to ethanol-induced fatty liver in mice. J Clin Invest. 2009 ; 119 : 582-94. 

  43. Memon RA, Tecott LH, Nonogaki K, Beigneux A, Moser AH, Grunffld C, Feingold KR. Up-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 ${\alpha}$ ) and PPAR- ${\gamma}$ messenger ribonucleic acid expression in the liver in murine obesity: troglitazone induces expression of PPAR- ${\gamma}$ -responsive adipose tissue-specific genes in the liver of obese diabetic mice. Endocrinology. 2000 ; 141(11) : 4021-31. 

  44. Spiegelman BM. PPAR- ${\gamma}$ : adipogenic regulator and thiazolidinedione receptor. Diabetes. 1998 ; 47: 507-14. 

  45. Jones JR, Barrick C, Kim KA, Lindner B, Fujimoto Y. Deletion of $PPAR{\gamma}$ in adipose tissues of mice protects against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Proc Natl Acad Sci USA. 2005 ; 102 (17) : 6207-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