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방기술 기획전문가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Defense Technology PD Syste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117 - 121  

김도헌 (국방기술품질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술발전의 가속화와 기술융합의 시대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국방 분야는 국방과학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하기 위해 투자 확대와 더불어 선택과 집중에 의한 국방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전 양상에 부합하는 신개념 첨단 무기 및 핵심기술에 집중적인 투자와 함께 제한된 예산범위 내 투자 전략도 수립 중에 있다. 민간분야에서는 R&D 정책의 성과 극대화와 기획 관리의 전문성 및 책임성 제고를 위하여 PD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방 분야에서도 과제기획역량 강화 및 민간기술 활용 활성화의 목적으로 국방기술기획 고도화 추진계획 수립 하에 전문성을 갖춘 국방기술PD 제도를 추진 중에 있다. 핵심기술 연구개발의 일관된 기술지원과 개방형 기술기획 제도 개선 및 민 군 간기술 연계성 확대의 필요성을 고려한다면, 국방 분야의 PD제도는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유사 사례를 검토하여 국방기술PD 제도 도입 및 운영 방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국방기술PD 제도에 대한 현황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paradigm shifts in the era of accelerate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convergence, the defense sector is pursuing national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s well as the expansion of investments to develop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to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방고등기술원은 창의·도전적 신기술 개발을 위해 국방기술연구과제 관리자(Program Manager)를 채용하여 활용 중에 있지만, 기술 분야별 R&D 기획-평가-관리 등 R&D 전 주기를 상시 책임 및 운영하는 PD제도는 아직 추진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PD제도 유사 사례를 비교·검토하여, 국방 분야 PD제도 도입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먼저 외부 초빙 PD 인력과 내부 지원 인력과의 조화가 필요하다. 역할/권한 등의 임무 및 기능을 명확히 하여 문화적 장벽을 최소화 하여야 할 것이며, PD제도 운영을 위한 기반 마련과 PD 전문성을 위해 충분한 지원이력 배치 및 출장, 복지 등 별도 지원제도 마련이 필요하고, PD 전략수립 및 과제기획 방법론/틀 등 시스템적 운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방기술기획 고도화 추진계획 수립하에 전문성을 갖춘 국방기술PD 제도를 추진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민간분야에서는 R&D 정책의 성과 극대화와 기획 관리의 전문성 및 책임성 제고를 위하여 PD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방 분야에서도 과제기획역량 강화 및 민간기술 활용 활성화의 목적으로 국방기술기획 고도화 추진계획 수립 하에 전문성을 갖춘 국방기술PD 제도를 추진 중에 있다. 핵심기술 연구개발의 일관된 기술지원과 개방형 기술기획 제도 개선 및 민 군 간기술 연계성 확대의 필요성을 고려한다면, 국방 분야의 PD제도는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 할 수 있다.
국방연구개발 추세는 어떠한가? 기술발전의 가속화와 기술융합의 시대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국방 분야는 국방과학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하기 위해 투자 확대와 더불어 선택과 집중에 의한 국방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전 양상에 부합하는 신개념 첨단 무기 및 핵심기술에 집중적인 투자와 함께 제한된 예산범위 내 투자 전략도 수립 중에 있다.
국방기술 PD제도의 추후 개선 방안으로 보이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국방기술 PD 지원인력의 요구로 관련 인력의 정원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아울러 기술기획 제도 개선사항을 식별 및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R&D 기획범위 확대와 민간-국방 R&D 연계활동 강화, 산업계 민간 전문가 채용 확대 등 PD 전 주기 역할을 강화해야 하고, 다면평가를 통한 PD 성과평가로 PD 처우를 개선해야한다. 더불어 PD 신규분야 도입과 분야 조정에 따른 운영방안을 마련하여야 하고, 과제기획 운영 내실화와 PD제도 운영 관련 규정의 지속적인 개정을 통하여 책임성 강화 및 전반적인 PD제도를 개선하는데 힘을 써야한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방기술기획 업무에 지속적인 기술발전에 따른 첨단 무기체계 소요기술을 대비해야 하고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국방 지능정보사회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중·장기 전략수립과 신규사업/과제 발굴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국방기술PD의 활용과 기대효과는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14-'28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Policy Divisio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 "'17-'31 Core Technology Plan",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3. M. Y. Park, S. H. Lee, H. M. Shen, C. S. Leem, W. J. Kim, "A Study of PD System Effectiveness based on R&D Network Analysi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20, no. 3, pp. 29-4, August 2015. DOI: https://doi.org/10.7838/jsebs.2015.20.3.029 

  4. S. T. Kim, J. B. Park, "A Case Study on the ICT R&D Creative Planners Systems",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 204-205, June, 2015. 

  5. "'15-'29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Action Plan",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6. Paul D. Klimstra, Ann T. Raphael, "Integrating R&D and Business Strategy", The Journal of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vol. 35, pp. 22-28, Jan 2016. DOI: https://doi.org/10.1080/08956308.1992.11670791 

  7. Jyoti, D. K. Banwet, S. G. Deshmukh, "Balanced Scorecar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R&D Organization: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vol. 65, pp. 879-886, November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