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해랍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의 납약에 대한 고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escrptions as Napyak of Eonhaenapyakjeongchibang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nseon Dynasty.-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6 no.2, 2018년, pp.171 - 181  

연지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김정민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금가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장아령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김상찬 (대구한의대학교 글로벌방제연구센터) ,  송지청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Napyak has known as the herbal medicine, that kings of the Joseon dynasty bestowed on the royal officers around the last day of the each year.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on Napyak but those are focused the meaning itself, bibliographical studies on Unhaenapyakjeungchibang(which i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납약의 실제 사용례를 찾아보던 중 『朝鮮王朝實錄』과 『承政院日記』에 『언해납약증치방』 처방과 동명(同名)의 처방들이 다수 등장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동명의 처방이라고 해서 반드시 『언해납약증치방』의 처방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무리일 수는 있으나 국가기록에 등장하는 처방들이 어의(御醫) 허준의 저서인 『언해납약증치방』의 처방명과 무관하지는 않을것이므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언해납약증치방 처방을 토대로 납약의 실제 사용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납약의 일반적인 정의는 무엇인가? 납약(臘藥)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는 “납일(臘日)에 즈음하여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하는 약의 하나로, 납제(臘濟)라고도 한다.”1)는 것이다.
납약이 가진 여러 의미는 무엇인가? 3. 납약은 세시풍속의 의미로 왕이 납일에 신하에게 하사한 약이라는 좁은 의미뿐만 아니라, 왕을 포함한 모든 백성들의 응급질환에 대처하기 위해 만들어진 약의 의미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납약 연구 대상 의서로 '언해납약증치방'을 규정해도 문제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 연구에서 납약 연구 대상 의서로서 『언해납약증치방』이 주로 언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조선 중기 허준의 저작이라 판단되는 언해납약증치방은 납약을 다루고 있는 대표적 전문의서로 규정하여도 문제가 없으리라 판단한다. 왜냐하면 『언해납약증치방』은 납약을 전면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납약의 증상에 따른 사용방법과 복용법 등 자세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해납약증치방』에 수록된 37종 처방들은 당시 운용되던 납약들 중 많이 이용되고 알려진 대표적인 납약들이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5450&cid40942&categoryId32175 search date : May, 26th, 2018 

  2. Seo KS. A review of Nabil custom and its extinc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J. of Historical Research. 2016;63:67-94. 

  3. Kim HG. The Annual Customs and Affliction in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J. of Korea Society For Historical Folklife Studies. 2010;33:187-233. 

  4. Seo GS, Park MH. Nabil and Its Function in the Chosun Dynasty. Jindanhakbo. 2014;122: 89-177. 

  5. Shin DW. Napyak, Un hae nap yak zung chi bang, and Hur jun. J.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History. 2000;13(2):23-8. 

  6. Lee HS. A Study of Eunhae Bukonsinbang and Eunhae Napyakjungchibang in the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The Korean Cultural Studies. 2008;14:233-71. 

  7. Lee JH. Bibliographic Study of Existing Nabyakjeungchibang and Eonhaenabyakjeungchibang.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2013; 56:353-69. 

  8. Kim SK. Crud Drugs of the Rhee Dynasty.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cy. 1981;12(1):76. 

  9. Kim SS. The Actual management of the Central Medical Institutions in 16-17 Century.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2003;20:65-100. 

  10. Kim SK. Hangukeuihakdaegye Vol. 41. Seoul. Ryeogang Press. 1992. 

  11.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y.go.kr 

  12.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nseon Dynasty. http://sjw.history.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