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그린스쿨 활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State of utilization of Green School and Suggested Improvement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ase 원문보기

교육녹색환경연구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v.17 no.1, 2018년, pp.1 - 11  

최형주 (한국교육개발원) ,  신화주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후학교를 대상으로 국가수준에서 추진했던 그린스쿨 사업의 추진배경, 추진현황 및 특징과 그린스쿨 학교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그린스쿨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학교에 적합한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해 해외 유사정책에서의 그린스쿨의 개념과 정책 추진배경 및 주요내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그린스쿨 학교와 우리나라 그린스쿨 사업의 벤치마킹 대상이었던 일본 에코스쿨 및 수퍼 에코스쿨 학교의 실태를 조사하여 국내 그린스쿨의 문제점 및 성과를 진단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그린스쿨 사업의 문제점을 정책적 측면, 운영적(유지관리, 활용) 측면에서 진단하고, 향후 학교시설의 에너지 효율화 및 친환경화를 위한 정책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investigating and analysing background, enforcement situation, distinct features and current status of green schools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the government targeting decrepit school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solution for vitalizing green schoo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국가수준에서 노후학교를 대상으로 추진했던 그린스쿨 사업의 현 실태를 진단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그린스쿨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학교라는 교육현장에 보다 적합한 방식으로 안착,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그린스쿨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고, 국내 그린스쿨 및 일본 에코스쿨 사례를 대상으로 현장관찰 및 관계자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그린스쿨 개념 및 개선(안)의 적정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하였다.
  • 국가별 또는 사업별로 규정하고 있는 그린스쿨의 개념은 무엇이며, 교육부에서 추진한 그린스쿨 사업에서의 그린스쿨 개념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육부 그린스쿨 사업에서 정의한 그린스쿨 개념의 한계와 미래사회의 변화 및 요구에 적합한 보다 발전적이고, 새로운 그린스쿨의 개념을 탐색하였다.
  • 국가별 또는 사업별로 규정하고 있는 그린스쿨의 개념은 무엇이며, 교육부에서 추진한 그린스쿨 사업에서의 그린스쿨 개념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육부 그린스쿨 사업에서 정의한 그린스쿨 개념의 한계와 미래사회의 변화 및 요구에 적합한 보다 발전적이고, 새로운 그린스쿨의 개념을 탐색하였다. 아울러 그린스쿨 사업 세부 추진 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그린스쿨에 적용된 핵심기술요소를 파악하고, 실태조사 학교 선정 방향을 탐색하였다.
  • 하지만 기본적으로 노후화된 학교시설의 리모델링(시설개선), 친환경 자재 적용, 생태녹지 공간 조성 등을 통한 교육환경의 개선, 고효율 시스템, 신재생 에너지 등의 에너지 절약시스템 적용을 통한 에너지 절약형 학교로의 변모 등을 도모하기 위한 취지로 추진되었다.2) 특히 그린스쿨 사업은 획일적이고 노후화된 기존 학교시설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여 신설학교와의 수준 격차를 줄이고 자연 친화적이고 현대적인 학교로 개선(교육과학기술부, 2011.10.5.)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3장에서는 국내 그린스쿨 및 일본 에코스쿨 사례를 대상으로 기술요소 적용 현황, 적용기술요소별 유지관리 현황, 교육, 사회적 활용 현황 등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그린스쿨이 갖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그린스쿨 사업 또는 유사사업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 국내 그린스쿨에 적용된 분야별 기술요소의 유지관리 현황을 살펴보았다.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경우 비록 다양한 설비가 적용되지는 않았지만 사업 이후 현재까지의 설비 가동 현황을 살펴보면 태양열 급탕 설비를 제외하고는 모두 비교적 높은 활용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노후학교를 대상으로 국가수준에서 추진했던 그린스쿨 사업의 주요 내용과 실제 그린스쿨 학교 사례 조사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그린스쿨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학교에 적합한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그린스쿨 사업 또는 그린스쿨 유사 사업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어떤 전략과 지원이 필요한지 그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 정책의 일관성 및 지속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 추진된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점을 다시 정책에 반영하여 관련 정책을 끊임없이 개선, 발전시키는 선순환 구조가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그린스쿨 사업이 추진된 지 5년 이상 지난 시점에서 그린스쿨 학교 사례조사를 토대로 보다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그린스쿨 사업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는 데 무엇보다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추진한 그린스쿨은 어디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가?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추진한 그린스쿨 사업에서 규정하고 있는 그린스쿨은 주로 기존 노후 학교의 시설, 환경 개보수를 통한 에너지 절감이라는 건축적 측면의 시설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에 반해 해외 그린스쿨은 국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 직접적인 시설 개보수를 통한 자연친화적이고 에너지 절감적인 교육 환경개선을 포함하되, 시설 또는 설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적인 성격의 사업이 아니다.
학교 건물에 온실가스 배출 감축 및 에너지 절약 관련 기술을 적용시키는 것이 유리한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건물은 건축구조가 단순하고 규모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 스케줄 및 사용인원이 비슷하다는 측면에서 상업용 건물보다는 에너지 절약기술을 적용하기에 용이(박기현, 2014: 2)하다. 또한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고 에너지 소비패턴이 정형화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용이(이향연, 2016: 520)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온실가스 배출 감축 및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면서도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학교환경 조성을 위한 국가차원의 정책적 노력은 반드시 지속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해외에서 추진하는 학교시설에 특화된 에너지절감 사업 사례에는 무엇이 있나? 미국의 에너지스마트스쿨(EnergySmart Schools),일본의 에코스쿨(Eco-School) 등과 같이 일부 선진국들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학교건물의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해 학교시설에 특화된 에너지절감 사업을지속적으로 추진 해오고 있다. 상기 국가들보다 다소 늦은 출발이긴 했으나 우리나라도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신설학교와 시설격차가 심한 노후화된 학교를 친환경적으로 개보수하는 초․중등 그린스쿨(Green School)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 그린스쿨(Green School) 사업을 위한 대통령 업무보고, 2008.12.27. 

  2.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 그린스쿨(Green School) 사업 추진계획(안), 2009. 

  3.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초.중등학교 그린스쿨 사업 내실화 방안, 2011.10.05. 

  4. 김민경, 신동홍, 에너지 성능 향상을 위한 학교건물 개보수 정책 추진 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3권, 제3호, 2012. 

  5. 박기현, 국공립 학교건물 Retrofit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6. 서울특별시교육청, 생태학교 및 에너지 학교 조성 지침, 2002. 

  7. 이향연, 그린스쿨과 비그린스쿨 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6호, 2016. 

  8. 전라북도교육청, 2009년도 녹색학교 조성사업 시행지침, 2009. 

  9.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통계 핸드북, 2016. 

  10. 허성주, 이선영, 환경교육 매체 개념을 적용한 환경친화적 초등학교 시설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1. 文部省, 環境を考慮した學校施設 (エコスク一ル) の整備について(平成 8年 3月), 1996. 

  12. 인도네시아 그린스쿨 발리 웹사이트, https://www.greenschool.org 

  13. 학교알리미 웹사이트, http://www.schoolinfo.go.kr 

  14. Ontario school boards(2010), Green schools; Resource guide.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