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궤도 및 교량 안전성을 고려한 열차 증속가능 속도대역 평가
Evaluation on Allowable Vehicle Speed Based on Safety of Track and Railway Bridg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2, 2018년, pp.145 - 151  

방은영 (동양대학교 철도건설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track-bridge interac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 analytical model considering the track structure, thereby taking into account the linear conditions (R=650 m, cant variation $160{\pm}60mm$)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bridge. As a result of the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검토에서는 설정캔트를 기준으로 부족캔 트량의 범위를 변수로 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캔트 변화에 따른 교량상 곡선궤도의 열차주행안정성을 검토하였다. 탈선계수에 의한 평가는 곡선부 열차 주행 시 탈선계수의 값을 허용한계치와 비교하여 탈선 계수에 따른 열차의 올라탐 탈선에 대한 열차주행안정 성을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선구간 보다 상대적으로 궤도측면에서 불리한 조건인 곡선부 교량상 궤도 및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 및 동적안정성 확보 여부를 평가하고자, 교량 및 궤도구조 측면에서 주행 가능한 열차의 속도대역을, 이론 및 해석적으로 예측함으로써 향후 운행선 속도 향상 시 고려하여야 할 검토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열차속도 향상 시 교량과 궤도의 구조적 안전성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증속가능 속도대역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다 안전측의 해석을 위해 상대적으로 축중의 크기가 큰 새마을호의 열차제원과 특성을 사용하여 교량상 곡선궤도의 캔트량 변화에 따른 곡선부 내, 외측 레일의 윤중과 횡압을 정량적으로 검토하 였다. 또한, 열차주행안정성 평가의 기준이 되는 동적 윤중감소율과 탈선계수를 산정하고 기준치와의 비교및 검토를 통하여 해당구간의 선형조건에서 열차주행 안정성을 만족할 수 있는 열차의 제한속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주행 열차의 속도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열차주행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매개변수는 궤도 선형조건 중 곡선반경과 캔트이며, 이중 곡선반경의 변화 또는 변경은 운행조건에서 가능성이 매우 적은 고정된 선형조건이나 캔트의 경우 운행선 궤도관리 및 운영조건을 비롯하여 운행열차 하중에 의해서도 동적으로 변화가 가능한 매개변수이다1,2).
  •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동적 안정성 검토를 위해 3차원 격자해석을 수행하였다. 격자해석은 교량의 상판과 거더를 환산단면 특성을 갖는 이상화된 보로 구성하여 격자구조로 나타낼 수 있고, 상판의 형태에 대해서도 제한이 없어 사교나 곡선교, 또는 불규칙한 교량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윤중감소율, 횡압한도, 탈선계수 및캔트변화 등을 고려한 열차의 주행안정성을 평가하는 기존 연구 1,2) 를 바탕으로, 궤도와 교량의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증속가능한 속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교량과 궤도의 상호작용을 해석하였다. 예제 대상교량 으로 SBarch 합성거더교를 사용했고, 상부 궤도구조는 자갈궤도형식으로 하였다3-6) .
  • 본 연구에서는 합성거더 철도교의 동적해석 및 곡선 궤도의 궤도부담력 및 열차의 주행안정성 해석을 수행 함으로써 교량 구조측면 뿐만 아니라 궤도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열차주행 가능속도 대역을 평가하였다.
  • 이에 본 검토에서는 운행조건에서의 윤중 감소에 따른 열차주행안정성 확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열차속도 및 캔트 변화(160±60 mm)에 따른 정, 동적 윤중감소량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곡선부에 있어서의 윤중을 어떻게 구하는가? 곡선부에 있어서의 윤중은 열차 하중을 정상분과 변동분의 합으로서 표현한다. 곡선 통과 시 내외궤의 윤중 정상분은 차체의 경사를 고려하여 차륜/레일 접촉 점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의 합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곡선 통과 시 내외궤의 윤중 정상분의 차체 경사는 무엇과 등가하는가 곡선 통과 시 내외궤의 윤중 정상분은 차체의 경사를 고려하여 차륜/레일 접촉 점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의 합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이 때 차체 경사에 의한 중심이동에 의한 중력성분의 모멘트팔이 변화하게 되는데, 차체 경사량은 초과 원심력(캔트부족량 Cd)에 비례하기 때문에 차량중심고 HG 가 유효중심고 \(\mathrm{H}_{G}^{*}\) 까지 상승한 경우와 등가로 간주 된다. 따라서 곡선부에서 윤중 정상분은 식(1) 및 식(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1,2) .
해석모델을 구성은? 1에 표현하였다. 레일과 침목은 3차원 프레임요소 (Frame element)로 구성하고 레일과 침목의 요소간 절점을 레일패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프링요소(Spring element)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되는 레일패드의 스프링 강성을 부여하고 도상자갈은 침목요소를 구성하는 절점과 도상깊이 및 도상자갈의 스프링강성을 고려한 스프링요소를 연결하여 도상자갈을 해석모델에 반영하였다 1)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J. Y. Choi, J. H. Kim, J. S. Chung and S. G. Lee, “Evaluation of Train Running Safety for Direct Fixation Concrete Track on Light Rapid Trans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2, No. 5, pp. 41-46, 2017. 

  2. J. Y. Choi, "Qualitative Analysis for Dynamic Behavior of Railway Ballasted track," Technical University of Berlin, Ph.D thesis, 2014. 

  3. J. H. Kang, Y. S. Won, K. S. Kim and H. J. Lee, “SBarch Composite Girder Long Span 105m Highway Bridge, After Demonstration By Supporting Sbarch,”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8, No. 1, pp. 41-44, 2016. 

  4. Y. S. Won, K. S. Kim, H. J. Lee and J. H. Kang, “Development and Design of SBarch Steel Composite Gir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Vol. 7, No. 1, pp. 31-37, 2016. 

  5. Y. S. Won, K. S. Kim and J. H. Kang, “SBarch Composite Girder Long Span Railway Bridge, After the Static and Dynamic Full-Scale Loading Test,”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7, No. 2, pp. 63-67, 2015. 

  6. S. W. Cho, D. G. An, D. W. Kim, Y. S. Kim, H. J. K and D. S. Jin, “Applications of New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teel.(Reducation of The Amount of Steel Applied Into SBarch Composite Girder),”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3, No. 3, pp. 72-7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