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 경기도 광역영역의 부지지진응답 특성 및 연계 지진 취약지역 분석
Regional Assessment of Seismic Site Effects and Induced Vulnerable Area in Gyeonggi-do, South Korea, Using GI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4 no.5, 2018년, pp.19 - 35  

김한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조형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남지현 (경기연구원 공간도시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경주지진과 포항지진과 같이 중규모 이상 지진이 빈번이 발생함에 따라 피해기능성이 커질 수 있는 중서부 도시 지역들에 대한 종합적 지진재해 대책 수립의 필수기본 정보인 지역적 부지고유 지진응답 공간정보 예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정량적 부지고유 지반응답 특성 파악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상 확장영역 내 전략적 지반조사 자료의 확보 및 연계적 부지특성 파악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진취약지역 도출 및 부지고유 지진응답특성 분석을 위한 위사결정 프레임웍을 제시하였다. 시추조사 자료 및 수치표고모델 등의 지표피복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지반지진공학적 연계활용을 위한 GIS 플랫폼 기반의 Geo-Data를 구축하였다. 지구통계학적 공간보간 기법의 최적화 설계를 통해 지층분포 특성 및 연계 취약도 성분 도출을 위한 지반 공간그리드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진지반응답 매개변수의 공간구역화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경기도 지역의 정량적 부지효과를 고려한 경기도 맞춤형 지진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기저 정보로서 활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cessity of predicting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which is essential information for the comprehensive earthquake disaster countermeasures, is increasing for the mid-west urban areas where the earthquake-induced damages can be increased due to frequent occu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행정구역의 지진취약지역 도출을 위해 부지응답특성 분석 의사결정 프레임웍 기반의 부지분류를 수행하였다. 먼저, 합리적인 지반공간정보 구축을 위해 경기도 행정구역을 포괄하는 확장 연구영역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행정영역 전체 부지조건 파악을 위해서 경기도 지역의 시추조사 자료,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자료, 건축물 대장, 행정구역도, 지질도 등의 포괄적 지층 및 지표 정보(Geo-Data)를 우선적으로 협조, 수집하였다(Fig. 2). DEM은 경기도 행정영역 전반에 걸쳐 5m 간격의 공간격자망 구조로 구성되었으며, 최대 1,464m 표고를 갖으며, 평균표준편차는 6.
  • 를 기준으로 공간그리드 정보를 토대로 일관성 있고 비교적 보수적인 경기도 지역 부지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행정영역 전체를 포괄하는 대상 영역에 대해 지역적 지진취약성 분석과 내진성능 파악 활용을 위해 공간 GIS프레임을 기반으로 구축된 지반 및 지표특성 정보를 토대로 부지응답 매개변수 기준의 구역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개정된 현행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2017)의 지반분류체계를 적용 및 검증하였다.
  • 이를 위해 GIS 기반의 지구통계학적, 지반공학적 분석 알고리즘(Sun and Kim, 2017)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전국 대도시 영역의 시범적 지반정보화 및 부지응답 특성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발생 시 인구 및 산업 시설이 밀집되어 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경기도 영역에 대한 지층 구성 및 동적 지반특성과 그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지반 특성 자료에 대한 공간 DB 구축 및 부지응답 평가를 실시하였다.
  • 현장시험 또는 실내시험을 통해 확보된 지반동적특성 분석자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크게 심도별 탄성파 속도를 측정한 탄성파 시험 정보, 전단강도 및 감쇠비에 대한 공진주 시험 정보, 반복 응력에 대한 응력비를 산정한 반복삼축 시험 정보로 구분하였다. 이와 함께, 광역 영역의 지형 및 지질 특성에 따른 부지효과를 고려하고자 동일한 공간좌표체계를 토대로 DEM의 표고, 경사도 정보와 지질도의 지질분류, 단층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지표정보 기반의 부지분류 체계 수립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각 지층별 대표 지반동적특성은 국내 다양한 지역에 대해 종합적인 지반조사를 수행하여 VS의 정량적 값은 Sun et al.(2014)에 의해 제시된 바 있으며, 매립토는 190m/s, 퇴적토는 280m/s, 풍화토는 350m/s 그리고 풍화암은 650m/s로 가정하였으며, 이는 경주 및 홍성지역의 지층 구조와 VS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검증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암반의 상태는 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풍화도가 낮아지고, 경도가 커짐에 따라 강성이 커질 수 있다 할지라도, 연암부터 보통암까지의 공학적 기반암(Engineering bedrock)의 대표 전단파속도는 1,300m/s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통계학적 공간분석 단계의 2가지 분류는? 지구통계학적 공간분석 단계는 공간밀도 분석과 지반 공간그리드(geotechnical spatial grid) 구축 방법으로 분류된다. 공간밀도 분석은 2차원 공간좌표상 비균질하게 분포하는 시추조사 정보의 공간 밀집도를 분석하는 단계로서 실질적인 지반지진공학적 취약도 분석 이전에 대상지역 내 시추조사 자료의 분석 적합성의 사전검토 단계이다.
최종 단계의 지진취약 지역 분석 결과를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상 가시화에 필요로 하는 것은? 끝으로 가시화 단계에서는 각 단계별로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중간 또는 최종 단계의 지진취약 지역 분석 결과를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상 가시화한다. 이를 위해 GIS 플랫폼을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각 자료별 공간레이어 구성, 그리고 다중 공간레이어의 중첩 분석이 필요하다.
공간밀도 분석의 개념은? 지구통계학적 공간분석 단계는 공간밀도 분석과 지반 공간그리드(geotechnical spatial grid) 구축 방법으로 분류된다. 공간밀도 분석은 2차원 공간좌표상 비균질하게 분포하는 시추조사 정보의 공간 밀집도를 분석하는 단계로서 실질적인 지반지진공학적 취약도 분석 이전에 대상지역 내 시추조사 자료의 분석 적합성의 사전검토 단계이다. 또한 지구통계학적 공간보간 기법을 적용하는 데 있어 시추조사 정보의 공간적 상관도를 베리오그램 모델링을 통해 검토, 고려하며 이를 통해 최적의 공간보간 기법을 선정하여 적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H.S., Kim, H.K, Shin, S.Y., and Chung, C.K. (2011), "Appli- cation of Statistical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o Soil Stratification", J.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7, No.7, pp.59-68. 

  2. Kim, H.S. and Sum, C.K. (2016), "Visible Assessment of Earthquake- induced Geotechnical Hazards by Adopting Integrated Geospatial Database in Coastal Facility Areas", Joru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20, No.3, pp.171-180. 

  3. Sun, C.K. and Kim, H.S. (2016), "Site Classification for Incheon According to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Parameters by Esti- mating Geotechnic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J.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9, No.4, pp.1-15. 

  4. Borcherdt, R.D. (1994), "Estimates of Site Dependent Response Spectra for Design (Methodology and Justification)", Earthquake Spectra, Vol.10, pp.617-653. 

  5. Chun, S.H., Sun, C.K., and Chung, C.K. (2005), "Application of Geostatistical Method for Geo-Layer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25, No.2C, pp.103-115. 

  6. Chung, C.K., Kim, H.S. and Sun, C.G. (2014), "Real-time Assess- ment Framework of Spatial Liquefaction Hazard in Port Areas Considering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Computers and Geotechnics, Vol.61, pp.241-253. 

  7. Esri (2006), ArcGIS 9: Using ArcGIS Desktop, ESRI Press. 

  8. FEMA (2003), HAZUS-MH Technical Manual,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9. Green, R.A., Olson, S.M., Cox, B.R., Rix, G.J., Rathje, E., Bachhuber, J., French, J., Lasley, S., and Martin, N. (2011), "Geotechnical Aspects of Failures at Port-au-Prince Seaport during the 12 January 2010 Haiti Earthquake", Earthquake Spectra, Vol.27, No.S1, pp.S43-S65. 

  10. Hoult, R.D., Lumantarna, E., and Goldsworthy, H.M. (2017), "Soil Amplification in Low-to-moderate Seismic Regions",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Vol.15, No.5, pp.1945-1963. 

  11. Issaks, E.H. and Srivastva, R.M. (1989), An Introductions to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2. Kim, D.S., Chung, C.K., Sun C.G., and Bang, E.S. (2002), "Sit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patial Earthquake Ground Motion of Kyeongju",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 22, No.5, pp.371-387. 

  13. Kim, H.S. and Chung, C.K. (2016), "Integrated System for Site- specific Earthquake Hazard Assessment with Geotechnical Spatial Grid Information based on GIS", Natural Hazards, Vol.82, No.2, pp.981-1007. 

  14. Kim, H.S., Chung, C.K., and Kim, H.K. (2016), "Geo-spatial Data Integration for Subsurface Stratification of Dam Site with Outlier Analyse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75, No.2, pp.168. 

  15. Kim, H.S., Sun, C.G., and Cho, H.I. (2017), "Geospatial Big Data- Based Geostatistical Zonation of Seismic Site Effec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Vol.6, No.6, pp.174. 

  16. Kim, J.K. (2011),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eismic Source and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Recent Earthquake near the Backryoung Island",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ol.14, No.4, pp.274-281. 

  17. Kassaras, I., Papadimitriou, P., Kapetanidis, V., and Voulgaris, N. (2017), "Seismic Site Characterization at the Western Cephalonia Island in the Aftermath of the 2014 Earthquake Se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Engineering, Vol.8, No.7. 

  18. Kramer, S.L. (1996),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Prentice Hall: New Jersey. 

  19. Lee, S.H., Sun, C.G., Yoon, J.K., and Kim, D.S. (2012), "Develop- ment and Verification of a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for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Vol.16, No.6, pp.795-819. 

  20. McPherson, A. and Hall, L. (2013), "Site Classification for Earthquake Hazard and Risk Assessment in Australi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103, No.2A, 1085-1102. 

  21. MOCT. (1997), Study of Seismic Design Guideline (II).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pp.492 

  22. NIBS. (1997), Earthquake Loss Estimation Technology HAZU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 C. 

  23. Pitilakis, K., Riga, E., and Anastasiadis, A. (2013), "New Code Site Classification, Amplification Factors and Normalized Response Spectra based on a Worldwide Ground-motion Database",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Vol.11, No.4, pp.925-966. 

  24. Rodriguez-Marek, A., Bray, J.D., and Abrahamson, N.A. (2001), "An Empirical Geotechnical Seismic Site Response Procedure", Earthq. Spectra, Vol.17, No.1, pp.65-87. 

  25. Song, R., Li, Y., and Lindt, J.W. (2014), "Impact of Earthquake Ground Motion Characteristics on Collapse Risk of Post-mainshock Buildings Considering Aftershocks", Engineering Structures, Vol. 81, pp.349-361. 

  26. Sun, C.G. (2010), "Suggestion of Additional Criteria for Site Cate- gorization in Korea by Quantifying Regional Specific Characteristics on Seismic Response", Geophys. Geophys. Explor, Vol.13, No.3, pp. pp.203-218. 

  27. Sun, C.G. (2012), "Applications of a GIS-based Geotechnical Tool to Assess Spatial Earthquake Hazards in an Urban A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65, No.7, pp.1987-2001. 

  28. Sun, C.G., Kim, D.S., and Chung, C.K. (2005), "Geologic Site Conditions and Site Coefficients for Estimating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the Inland Areas of Korea", Engineering Geology, Vol.81, No.4, pp.446-469. 

  29. Sun, C.G., Chung, B.S., Kim, J.H., Hong, S.K., and Kim, K.S. (2010), "Implementation of an Earthquake Alarming System Based on Acceleration Monitoring at Coastal LNG Receiving Terminals", J. Korean Soc. Eng. Geology, Vol.20, No.3, pp.339-348. 

  30. Sun, C.G., Kim, H.S., Chung, C.K., and Chi, H.C. (2014), "Spatial Zonations for Regional Assessment of Seismic Site Effec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56, pp.44-56. 

  31. Sun, C.G. and Kim, H.S. (2017), "GIS-based Regional Assessment of Seismic Site Effects Considering the Spatial Uncertainty of Site-specific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in Coastal and Inland Urban Areas", Geomatics, Natural Hazards and Risk, Vol.8, No. 2, pp.1592-1621. 

  32. Sun, C.G., Cho, H.I., Kim, H.S., and Kim, D.S. (2018), "Assessment of New Korean Site Classification and Design Response Spectra", Geotechnique Letters, pp.1-31. 

  33. Wills, C.J., Petersen, M., Bryant, W.A., Reichle, M., Saucedo, G.J., Tan, S., Taylor, G., and Treiman, J. (2000), "A Site-conditions Map for California based on Geology and Shear-wave Velocity",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90, No.6B, pp.187-208. 

  34. You, K.H., Lee, S.H., Choo, S.Y., and Jue, K.S. (2004),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ock Mass Classes using the Information off a Tunnel Center Line", Tunnell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Tunnelling Association, Vol.6, No.2, pp.10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