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 분석 기반 지진 위험도 정보를 활용한 우리나라 지진 취약 지역 평가
Assessment of Regional Seismic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based on Spatial Analysis of Seismic Hazard Information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6, 2019년, pp.573 - 586  

이선영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  오석훈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역을 대상으로 공간 분석 기반 지진 위험 지도를 작성하고 지진 취약 지역을 평가하였다. 지진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지진 활동 위험과 관련된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 및 단층 특성, 지진 피해 위험과 연관된 기반암 심도 정보가 이용되었다. 각 지표는 정규 크리깅, 선 밀도 및 가변적 지역 평균 기반 단순 크리깅과 같은 GIS 및 지구 통계학 기법을 활용하여 공간 정보로 구축되었다. 구축된 세 가지 공간 정보는 연구 목적, 자료의 해상도 및 정확도에 따라 가중치를 할당하여 통합되었다. 지진 활동 위험 지표인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와 단층 선 밀도의 경우 데이터의 불확실성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경향성 만을 반영하고자 먼저 가중 합한 후, 지진 피해 위험 지표인 기반암 심도 분포와 통합되었다. 이를 통해 세 가지 공간 자료의 분석에 기반한 지진 위험 지도가 작성되었으며, 우리나라 남동부와 북서부 지역이 지진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진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진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ismic hazard map based on spatial analysis of various sources of geologic seismic information was developed and assessed for regional seismic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The indicators for assessment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eismic damag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구축된 데이터들이 공간적 변동성을 가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산정하고 가중 합하여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목적, 자료의 정확도, 해상도에 따라 가중치를 산정하여 단계적으로 통합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지진 피해 저감을 위한 대비에 목적을 두고,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지진 위험 지도를 작성하고 분석하였다. 고려된 특성은 크게 두 부문으로 나뉘며 지진 활동 위험 관련 지표의 경우 PSH와 단층 특성을, 지진 피해 위험 연관 지표의 경우 기반암 심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진 활동 및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학적 요인을 지표로 선정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지진 위험 지도를 작성하고 평가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해 선정된 세 가지 지표는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Probabilistic seismic hazard, PSH), 단층, 기반암 심도 정보이다.
  • 공간 정보로 구축된 지표들을 통합 시, 데이터의 공간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연구 목적과 데이터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산정하고 가중 합(Weighted sum)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직관적 해석이 가능한 우리나라 전체 지역에 대한 지진 위험 지도를 제작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 위험도 분석인 결정론적 기법과 확률론적 기법의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지진 위험도 분석은 수행 기법에 따라 크게 결정론적 및 확률론적 기법으로 나누어 진다. 결정론적 방법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 지진지반운동을 선택하며, 확률론적 방법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어떤 기간에 대한 특정 지반 가속도를 초과할 확률을 계산한다(Cornell, 1968; Algermissen et al., 1982; Abrahamson, 2006).
지진 위험도 분석의 두 가지 종류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지진 위험도 분석은 수행 기법에 따라 크게 결정론적 및 확률론적 기법으로 나누어 진다. 결정론적 방법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 지진지반운동을 선택하며, 확률론적 방법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어떤 기간에 대한 특정 지반 가속도를 초과할 확률을 계산한다(Cornell, 1968; Algermissen et al.
한반도에서 지진 피해 대응 방안을 수립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환태평양 지진대와 같은 판 경계에 위치한 국가들에 비해 유라시아 판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한반도는, 지진 활동이 활발하지 않고 진원지 및 빈도가 매우 불규칙하여 지진 발생을 시공간적으로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Lee, 1988; Lee, 1998;Shin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brahamson, N. (2006) Seismic hazard assessment: problems with current practice and future developments. Proceedings of the First European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and Seismology, Keynote Lecture. 

  2. Abudeif, A.M., Abdelmoneim, A.A. and Farrag, A.F. (2017). GIS-based multi-criteria earthquake hazards evaluation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a nuclear power plant site, west Alexandria, Egypt.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76, n.23, 796. 

  3. Ahn, J.K., Baek, W.H., Choi, J.S. and Kwak, D.Y. (2018) Investigation of Pohang Earthquake Liquefaction Using 1D Effective-Stress Site Response Analysis. Journal fo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4, n.8, p.37-49. 

  4. Algermissen, S.T., Perkins, D.M., Thenhaus, P.C., Hansen, S.L. and Bender, B.L. (1982) Probabilistic estimates of maximum acceleration and velocity in rock in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Open File Report 82-1033, United States, 99p. 

  5. Choe, J.G. (2013) Geostatistics. Sigma Press, Korea, 418p. 

  6. Cornell, C.A. (1968) Engineering seismic risk analysi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58, p.1583-1606. 

  7. CRPC (2017) Convergence Research Review. Convergence Reserch Policy Center, Korea, 63p. 

  8. Cutter, S.L., Boruff, B.J. and Shirley, W.L. (2003) Social vulnerability to environmental hazards. Social Science Quarterly, v.84, n.2, p.242-261. 

  9. FEMA (2012) Hazus -MH 2.1 Technical Manual.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718p. 

  10. Frigerio, I., Ventura, S., Strigaro, D., Mattavelli, M., De Amicis, M., Mugnano, S. and Boffi, M. (2016) A GIS-based approach to identify the spatial variability of social vulnerability to seismic hazard in Italy. Applied Geography, v.74, p.12-22. 

  11. Goovaerts, P. (1997)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483p. 

  12. Goovaerts, P. (2000) Geostatistical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elevation into the spatial interpolation of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v.228, n.1-2, p.113-129. 

  13. Han, J.-G., Keon, S.-G. and Hong, K.K. (2013) Seismic Analysis of Ground for Seismic Risk Assess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Geohynthetics Society, v.12, n.4, p.33-141. 

  14. Han, J.H. and Kim, J.S. (2019) A GIS-Based Seismic Vulnerability Mapping and Assessment Using AHP: A Case Study of Gyeongju,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5, n.2, p.217-228. 

  15. Kang, S.Y., Kim, K.-H., Kim, D.C., Yoo, H.-S, Min, D.-J. and Suk, B.C. (2007) A Preliminary Study of the Global Application of HAZUS and ShakeMap for Loss Estimation from a Scenario Earthquake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0, n.1, p.47-59. 

  16. Kang, T.-S. and Yoo, H.J. (2018) Suggestion on Seismic Hazard Assessment of Nuclear Power Plant Sites in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1, n.2, p.203-211. 

  17. Kim, H.-S., Sun, C.-G., Cho, H.-I. and Nam, J-H. (2018) Regional Assessment of Seismic Site Effects and Induced Vulnerable Area in Gyeonggi-do, South Korea,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4, n.5, p.19-35. 

  18. Kim, S.G. and Lee, S.K. (2000) Seismic Risk Map of Korea Obtained by Using South and North Korea Earthquake Catalogue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4, n.1, p.13-34. 

  19. Kim, S.K. and Song, M.J. (1995) A probabilistic Seismic Risk of the Korean Peninsul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5, n.1, p.45-58. 

  20. Koh, J.H., Kwon, J.H. and Choi, Y.S. (2005) Error Assessment of Attitude Determination Using Wireless Internet-Based DG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3, n.3, p.239-249. 

  21. Kyung, J.-B., Kim, M.-J., Lee, S.-J., and Kim, J.-K. (2016) An Analysis of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 Probabilistic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n.1, p.52-61. 

  22. Lee, D.-B. (2017) Evaluation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for life line facilities and earthquake disaster risk in urban regions. Ph.D.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p.1-222. 

  23. Lee, K.H. (1988) Earthquakes in Geology of Korea. Kyohaksa, Korea, 269-297p. 

  24. Lee, K.H. (1998) Historical earthquake data of Korean. Journal of the Korea Geophysical Society, v.1, n.1, p.3-22. 

  25. ME (1997) 2nd National Pilot study of Natural Environment: Geomorphology of Pohang area.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75p. 

  26. ME (2003a) 2002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National Inland Wetland - Han river regio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557p. 

  27. ME (2003b) 2002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National Inland Wetland - Upstream and downstream of Geum river and Sabgyo river regio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370p. 

  28. ME (2009) Nakdong Estuary Master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Wise Us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409p. 

  29. MOCT (1997) A Study on Seismic Design Code (II).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493p. 

  30. MOIS (2018) Report on the 2017 Pohang earthquak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Korea, 503p. 

  31. MPSS (2015) Development of Socio-economic Seismic Loss Predection Model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Korea, 463p. 

  32. MPSS (2017) Report on the 9.12 earthquak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Korea, 405p. 

  33. NDMI (2011)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Korea, 96p. 

  34. NEMA (2012)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zard map.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Korea, 899p. 

  35. NEMA (2013) Public Announcement of National Seismic Hazard Map.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Korea, 10p. 

  36. NIDP (2000) Program Development of Seismic Hazard Map.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Korea, 45p. 

  37. Oh, H.J., Im, J.E., Lee, Y.L. and Yoon, S.H. (2018) A Method for Creating Real-Time Earthquake Hazard Map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v.18, n.1, p.193-198. 

  38. Pailoplee, S. and Palasri, C. (2014). CU-PSHA: a Matlab software for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Journal of Earthquake and Tsunami, v.8, n.4, 1450008. 

  39. Park, H.J., Kim, D.S. and Kim, D.M. (2013) Seismic risk assess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s in Gyeongju considering local site effects.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v.13, n.2, p.251-262. 

  40. Park, J.-Y. (2012) An Assessment of Seismic Disaster Risk for the Seoul Metropolitan City. M.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p.1-70. 

  41. Park, N.W. (2011) Integration of Categorical Data using Multivariate Kriging for Spatial Interpolation of Ground Survey Dat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9, n.4, p.81-89. 

  42. Park, N.-W. and Jang, D.-H. (2008) Mapping of Temperature and Rainfall Using DEM and Multivariate 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3, n.6, p.1002-1015. 

  43. Park, Y.K., Yang, J.-S. and Kim, S.D. (2016) Social and Economic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Urban Characteristics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6, n.1, p.337-345. 

  44. Schneider, P.J. and Schauer, B.A. (2006) HAZUS - Its Development and Its Future. Natural Hazards Review, v.7, n.2, p.40-44. 

  45. Shin, D.H., Hong, S.-J. and Kim, H.-J. (2016) Investigation on Effective Peak Ground Accelerations Based on the Gyeongju Earthquake Record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0, n.7, p.425-434. 

  46. Siagian, T.H., Purhadi, P., Suhartono, S. and Ritonga, H. (2014) Social vulnerability to natural hazards in Indonesia: driving factors and policy implications. Natural Hazards, v.70, n.2, p.1603-1617. 

  47. Silva, V., Crowley, H., Varum, H. and Pinho, R. (2015). Seismic risk assessment for mainland Portugal.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v.13, n.2, p.429-457. 

  48. Song, K.Y. (2006) Earthquake Hazard Analysis us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Ph.D. thesis, Yonsei university, p.1-120. 

  49. Song, Y.W., Chung, C.K., Park, K.H. and Kim, M.G. (2018) Assessment of Liquefaction Potential Using Correlation between Shear Wave Velocity and Normalized LPI on Urban Areas of Seoul and Gyeong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8, n.2, p.357-367. 

  50. Sun, C.-G. (2010) Seismic Site Classes According to Site Period by Predicting Spatial Geotechnical Layers in Hongseo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3, n.4, p.32-49. 

  51. Sun, C.-G. and Kim, H.-S. (2016) Site Classification for Incheon According to Site- Specific Seismic Response Parameters by Estimating Geotechnic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4, p.17-35. 

  52. Sun, C.-G., Chun, S.H., Ha, T.-G., Chung, C.-K. and Kim, D.-S.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tool for earthquake-induced hazard prediction. Computers and Geotechnics, v.35, n.3, p.436-449. 

  53. Tyagunov, S., Grunthal, G., Wahlstrom, R., Stempniewski, L. and Zschau, J. (2006) Seismic risk mapping for Germany.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 v.6, n.4, p.573-586. 

  54. USGS (2014) Documentation for the 2014 update of the national seismic hazard maps. USGS open file 2014-1091.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nited States, 243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