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문제해결역량을 위한 평가 문항의 조건과 그 실제
Analysis of Mathematical Problem Based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7 no.2, 2018년, pp.111 - 136  

이선영 (경기북과학고등학교) ,  이지수 (성균관대학교) ,  한선영 (성균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for analyzing ite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show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istics, difficulty,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tual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Three mathematics educators' classificati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가 개인에 따라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예는 무엇인가? 문제는 개개인에 따라 상대적인 개념이다. 즉, 오늘의 점심 메뉴 결정은 어떤 사람에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다. 학교 식당에서 정해진 메뉴를 먹어야 하는 사람에게 점심 메뉴 결정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점심 메뉴 선택의 폭이 넓고, 현재 여행을 위해 저축을 결심하여 경제성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점심 메뉴 결정은 문제가 된다. 문제와 문제해결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는 조금씩 다르다.
NCTM에서 정의한 수학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수학교육에서는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NCTM(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은 ‘학교수학의 원리와 규준(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에서 수학교육의 목표로 수학적 힘을 기르는 것을 제시하고 수학적 문제해결역량과 수학적 연결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역량이란 수학을 실생활이나 타 교과에서 활용 하는 도구적 측면뿐 아니라 수학적 사고의 함양, 수학적 탐구 능력의 습득을 위해 강조되는 핵심역량이라고 하였다.
수학교육에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가? 생활 속에서 직면하는 많은 문제들은 다양한 조건과 제한사항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해결책만 존재하는 경우보다는 여러 가지 해결책이 존재하거나 명확한 해결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수학교육에서는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NCTM(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은 ‘학교수학의 원리와 규준(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에서 수학교육의 목표로 수학적 힘을 기르는 것을 제시하고 수학적 문제해결역량과 수학적 연결성을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옥기(2003). 수학과 학습 지도와 평가론(제2판). 서울: 경문사. Kang, O. K. (2003). Theories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in mathematics class, Seoul: Kyungmoon. 

  2. 고호경, 이현숙(2007). 고등학교 수리영역 시험의 난이도 예측 요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1), 113-127. (Ko, H. K. & Yi, H. S. (2007). Factors of predicting difficulty of mathematics test item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0(1), 113-127.) 

  3. 구자옥, 김성숙, 이혜원, 조성민, 박혜영(2016).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2018 예비검사 시행 기반 구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RRE 2016-2-1. (Gu, J. O., Kim, S. S., Lee, H. W., Jo, S. M. & Park, H. Y. (2016). Research on OECD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Establishing implementation basis of PISA 2018's preliminary tes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RRE 2016-2-1.) 

  4. 김미희, 김구연 (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 (Kim, M. & Kim, G. Y. (2013).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5(1), 37-59.) 

  5. 김민경, 박은정, 허지연 (2012). '맥락성' 관점에서 본 수학교과서의 문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1), 1-25. (Kim, M. K., Park, E. J., & Heo, J. Y. (2012). An analysis on mathematics textbook problems focusing on 'contextu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1), 1-25.) 

  6. 김부윤, 이영숙(2003). 우리나라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 연구. 수학교육 42(2), 137-157. (Kim, B. Y. & Lee, Y. S. (2003). A study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Kore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2), 137-157.) 

  7. 김선희, 박경미, 이환철 (2015). 수학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의 국제적 동향 탐색. 수학교육 54(1), 65-81. (Kim, S. H., Park, K. M. & Lee, H. C. (2015). An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trends about the core competenc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The Mathematical Education 54(1), 65-81.) 

  8. 김성준, 문정화(2006). 유형별 맥락문제의 적용과 그에 따른 유형별 선호도 조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2), 141-161. (Kim, S. J. & Moon, J. H. (2006).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ntext problems and preference for context problems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9(2), 141-161) 

  9. 김진호, 김인경(2011). 수학적 문제 해결 연구에 있어서 미래 연구 주제: 델파이 기법. 초등수학교육 14(2), 187-206. (Kim, J. H. & Kim, I. K. (2011). Future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Using delphi method,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4(2), 187-206.) 

  10. 김혜미(2016a). 수학 문제해결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831-850. (Kim, H. M. (2016)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in Korea regard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8), 831-850.) 

  11. 김혜미(2016b). 수학 문제해결 역량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Kim H. M. (2016 b).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2. 나미영, 권오남(2012년 4월). 실생활 맥락 문제에 대한 이해를 위한 중학교 교과서 분석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단원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1), (pp. 159-163) 서울. Na, M. Y. & Kwon, O. N. (2012, April). Analysis of middle school textbook for understanding of question with real life context - focusing on grade 7's letter and equation chapter-,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Mathematics Education 2012 Spring Conference on Mathematical Education, Seoul (159-163). 

  13. 나귀수(2003). TIMSS-R 국제성취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분석 -교육과정, 교과서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383-401. (Na, G. S. (2003). Korea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IMSS-R international benchmarks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3(3), 383-401.) 

  14. 남진영, 정연준(2011).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학교수학 13(1), 1-17. (Nam, J. Y. & Joun, Y. J. (2011). A study on the Chinese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3(1), 1-17.) 

  15. 박정미, 이중권(2013). 동일한 수학적 상황에서 문제해결 능력 분석 연구: 방정식 부등식과 함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883-898. (Park, J. M. & Lee, J. K. (2013). An analysis of students'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equivalent mathematics situations - Focused on equations, inequalities, and functions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6(4), 883-898.) 

  16. 범아영, 이대현(2012). 분수의 연산과 크기 비교에서 맥락 문제와 비맥락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문제해결 방법 분석. 초등수학교육 15(3), 219-233. (Beom, A. Y. & Lee, D. H. (2012). Analysis on the problem-solving methods of students on contextual and noncontextual problems of fractional computation and comparing quantitie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3), 219-233.) 

  17. 성창근(2012). 구조화정도가 다른 수학적 문제의 해결 능력과 인지적 변인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Sung, C. G.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olving ability on mathematical problems with different level of sturucturedness and cognitive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송미영, 김성숙, 구자옥, 임해미, 박혜영, 한정아(201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PISA2012 컴퓨터기반 평가 결과 분석,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 보고 RRE 2014-4-2. (Song, M. Y., Kim, S. S., Koo, J. O., Lim, H. M., Park, H. Y. & Han, J. A. (2014). Research on OECD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Analysis of result of PISA 2012 computer-based assess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RRE 2014-4-2.) 

  19. 양은경, 황우형(2005). 시리즈 A: 수학 학습유형과 문제 해결 전략. 수학교육 44(4), 565-586. (Yang, E. K. & Whang, W. H. (2005). Series A: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and the selection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Focused on the 1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4(4), 565-586.) 

  20. 이정무, 유진수, 이정아, 이경화(2016).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SAT 통계 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6(3), 527-542. (Lee, J. M., You, J. S., Lee, J. A. & Lee, K. H. (2016). A study on KSAT for assessing statistical literacy by a comparative analysis with SA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3), 527-542.) 

  21. 이상하, 박도영, 박상욱, 최인봉, 구남욱, 이은경(2014). 미래사회 핵심역량 교수 학습 지원을 위한 교육평가 정책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4-14. (Lee, S. H., Park, D. Y., Park, S. W., Choi, I. B., Goo, N. W., Lee, E. Y. (2014).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policy to support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RRE 2014-14). 

  22. 이광호, 고호경(2010). 고등학교 수학 문제의 난이도 요 인 분석을 위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323-343. (Lee, G. H. & Ko, H. K. (2010). A study on cases of difficulty variables in high school mathematics item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3(2), 323-343.) 

  23. 임해미(2013). OECD PISA 수학 소양 평가의 특징 및 문항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4), 971-990. (Lim, H. (2013). The trends and what's the new in the OECD PISA and its item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7(4), 971-990.) 

  24. 조미영(2010). 창의적 문제 해결력 문항의 평가 기준 개발 및 적용. 교육과정평가연구 13(2), 309-333. (Cho, M. Y., Mun, K. J., Kim, S. W. (2010). The devo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ng standard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item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3(2), 309-333.) 

  25. 조윤동, 남진영, 고호경(2009). 한,중,미,일의 전국단위 대학입학시험 수학과 출제체제 비교를 통한 수리 영역 개선 방안 연구. 학교수학 11(4), 547-565. (Jo, Y. D., Nam, J. Y. & Go, H. K. (2009).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s in mathematics by comparing examinations in mathemat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t a nationwide level in Korea, China, America, and Japan, School Mathematics 11(4), 547-565.) 

  26. 조현영, 손민호(2014). 일상적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사용에 관한 연구 : 학교 학습에는 시사점 탐색. 교육문화연구 20(1), 5-17. (Cho, H. & Shon, M. (2014). Knowledge-in-action in routine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 5-17.) 

  27. 한인기(2001). 수학 문제의 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E 11, 279-290 (Han, I. K. (2001). Research on structure of mathematical problem, Communication of Mathematical Education, 11, 279-290.) 

  28. 한혜정, 권점례, 김영은, 이주연, 곽상훈, 김정윤, 한총희, 박은아, 김현경, 이영미, 강민규, 송민영, 배영권, 서영진 (2017). 2015 개정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IM 2017-5-1. (Han, H. J. & Gwon, J. R. (2017). 2015 curriculum outline and method of applying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PIM 2017-5-1).) 

  29.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07). 수학교육학신론, 서울:문음사. Hwang, H. J., Na, G. S., Choi, S. H., Park, K. M., Lim, J. H., & Seo, D. Y. (2007). Mathematical Education. Seoul: Moonumsa. 

  30. Altun, M., Bozkurt, I. (2017). A new classification proposal for mathematical literacy problems. Education and Science 42(190), 171-188. 

  31. Chambers, D.W. (1993). Towar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Journal of Dental Education, 57(11), 790-793. 

  32. Crawford, C. B. (1975). Determining the number of interpretable factors. Psychological Bulletin 82, 226-237. 

  33. El Masri, Y. H., Ferrara S., Foltz, P. W. & Baird, J. (2017).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science national curriculum tests: the case of key stage 2 assessments. The Curriculum Journal, 28(1), 59-82. 

  34. Freudenthal, H. (2002).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China lectures. Series: Mathematics Education Library, 9, New York : Springer. eBook Colleciont(EBSCOhost). 

  35. Gravemeijer, K. & Doorman, M. (1999). Context problems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A calculus course as an exampl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9, 111-129. 

  36. Gregory S., Michael E. D. & Lisa D. B. (1995). Cognitive processes in well-defined and ill-defined problem solving.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9, 523-538. 

  37.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William, B.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4th edition).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38. Hebel, F. L., Montpied, P., Tiberghien, A. & Fontanieu, V. (2017). Sources of difficulty in assessment: Example of PISA science i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4), 468-487. 

  39. Jonassen, D. H. (2000). Toward a design theory of problem solv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8(4), 63-85. 

  40. Jonassen, D. H. (2004). Learning to solve problems. San Francisco, CA: Pfeiffer. 

  41. Jurdak, M. (2006). Contrasting perspectives and performance of high school students on problem solving in real world, situated, and school context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3), 283-301. 

  42. Kitchener, K. S. (1983). Cognition, metacognition, and epistemic cognition: A three-level model of cognitive processing. Human Development 4, 222-232. 

  43. Krulik, S. & Rudnick, J. (1989). Problem solving: A handbook for senior high school teachers. Boston: Allyn & Bacon. 

  44. Lester, F. K, Jr. (2013). Thoughts about research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instruction, The Mathematics Enthusiast 10(1), 245-278. 

  45. Mwei, P. K. (2017). Problem solving: How do in-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mathematics make sense of a non-routine problem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and Science 3(1), 31-41. 

  4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47.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48. Pehkonen, E., Naveri, L. & Laine, A. (2013). On teaching problem solving in school mathematics, C E P S Journal 3(4), 9-23. 

  49. Pettersen, A. & Nortvedt, G.A. (2017). Identifying competency demands in mathematical task: Recognising what mat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1, 1-17. 

  50. Polya, G. (2005).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교우사. (원저 1945년 출판) 

  51. Puig, L. (1993). Elementos para la instruccion en resolucion de problemas de matematicas. Tesis doctoral inedita, Universitat de Valnecia, Espana. 

  52. Schoenfeld, A. H. (2013). Reflections on problem solving theory and practice, The Mathematics Enthusias 10(1), 9-33. 

  53. Selden, A., Selden, J., Hauk, S. & Mason, A. (1999). Do calculus students eventually learn to solve non-routine problems (Report No. 1999-5). Cookeville: Tennessee Technological University, 1-20. 

  54.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55. Zwick, W. R. & Velicer, W. F. (1986). Comparison of five rul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to retain. Psychological Bulletin 99, 432-4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