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 대한 측정의 동등성 분석
An Analysis of Measurement Equivalence in a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7 no.2, 2018년, pp.179 - 196  

김성연 (인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nd to suggest application ways i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result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cores of the te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의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신뢰도인 의존도계수를 바탕으로 학교 급별에 따라 교직 적·인성 검사가 교직 적·인성을 측정하는 정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공정성 측면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 또한 교직 적· 인성 검사 결과 활용방안으로 학교 급별에 따라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인성에서 차이가 나는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교직 적·인성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 않은 수학 교과에서 학교 급별에 따른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교직 적·인성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공정한지, 그리고 학교 급별에 따라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인성 수준은 어떠한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게 수행되어온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집단에서 교직 적·인성 검사결과에 대해 측정의 동등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급별에 따른 교직 적·인성 수준의 차이를 살펴봄과 동시에 신뢰도를 바탕으로 공정성 측면에서 두 집단에 동일한 교직 적·인성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예비수학교사에게 교직 적·인성 검사를 실시한 자료에 학교 급별로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 [그림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원에 의해 분할되는 부분은 분산 성분이, 그리고 실선과 점선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공분산 성분과 측정의 오차를 고려한 상관계수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국면의 분산 성분과 측정의 오차를 고려한 상관계수만을 제시하였다.
  • 다변량 G-연구 분석결과 산출되는 각 국면의 분산과 공분산 성분 추정치를 바탕으로 다변량 D-연구에서는 하위영역 별로 Cronbach’s α와 의존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실질 가중치와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대 가중치만을 제시하였다. 즉, 교직 적·인성 검사는 하위영역 별로 동일하게 15개의 문항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대 가중치는 0.
  •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예비수학교사에게 동일하게 실시된 교직 적·인성 검사 결과의 활용방안과 함께 신뢰도를 바탕으로 학교 급별에 상관없이 교직 적·인성 검사의 측정이 일관적이며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김성연(2018b)에서 단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의 한계점을 극복한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교직 적·인성 검사의 하위영역은 고정(fixed) 국면으로, 하위영역 별로 서로 다른 문항은 문항 전집에서 표집된 임의(random) 국면으로, 그리고 피험자는 학교 급별에 따라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으로 구분되어 있는 피험자 모집단에서 임의 추출된 것으로 가정하여 두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 역량은? 우리나라에서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부터 창의적 사고 능력, 문제해결 능력, 정보처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을 핵심역량으로 규정하여 미래 사회에 대비한 교과 교육의 변화를 꾀하였다. 또한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처리, 태도 및 실천을 6가지 수학 교과 역량으로 규정(교육부, 2015)함으로써 사회 구성원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학적 역량과 더불어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심어 주고자 하고 있다(김래영, 김은현, 2017).
교사의 지식과 질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그러나 교육의 변화를 통한 인재 양성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사 교육이 선결되어야 하며, 많은 연구들에서는 이미 교사의 지식과 질이 학생들의 학습과 태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Darling-Hammond, 2000; Hill et al., 2005; Kukla-Acevedo, 2009; Wayne & Youngs, 2003).
올바른 가치관과 인성을 갖춘 교사 평가를 위한 교육부의 방침은? 수학교육에서도 인지적 측면에서의 교육과 더불어 품성, 자질, 도덕성과 같은 인성이 최근 강조(신준국 외, 2015; Narvaez & Nucci, 2008)되고 있으며, 중등교육에서 수학을 담당할 예비교사가 이러한 교직 적성 및 인성(이하 “교직 적·인성”이라고 함)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수학교사를 선발 할 때부터 교직 적성·인성을 고려한 평가가 강조되어야 한다. 이에 2013년부터 교육부는 교직 적·인성을 갖춘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 모든 교원양성기관에서 2회 이상 교직 적·인성 검사 실시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교원양성 기관에서 자율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교직 적성·인성 검사 표준안(김정환 외, 2012, 이하 “교직 적·인성 검사”라고 함)을 보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교육부 (2015).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세종: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main particular of 2015 National curriculum draft for an integration of arts and science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 김래영, 김은현 (2017). 교원양성교육과정과 교원임용후 보자 선정경쟁시험에 나타난 중등수학교사에게 요구 되는 지식 분석: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1(5), 610-623. (Kim, R. Y. & Kim, E. H. (2017). An analysis of the expected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eacher employment tests for secondary mathematic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1(5), 610-623.) 

  3. 김명화 (2005). 채점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수학 구성형 문항 채점의 일반화 가능도 연구, 교육문제연구 22, 205-222. (Kim, M. H. (2005). An application of the generalizability to constructed-response items in mathematics ofr computer automated scoring.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2, 205-222.) 

  4. 김성숙, 김양분 (2001). 일반화가능도 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Kim, S. S. & Kim, Y. B. (2001). Generalizability theory, Seoul: Kyoyookgwahaksa.) 

  5. 김성숙, 전경희 (2018). 정의적 성취특성 측정의 오차요인 및 성취수준별 척도의 동등성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1(1), 153-172. (Kim, S. S. & Chon, K. H. (2018). An Analysis of measurement errors and invariance properties by proficiency level in the non-cognitive measure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1), 153-172.) 

  6. 김성연 (2016). 수학적 창의성 검사의 채점 영역별 가중치 분석. 수학교육 55(2), 147-169. (Kim, S. Y. (2016). Analysis of weights depending on scoring domains of the mathematical creativity test,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2), 147-169.) 

  7. 김성연 (2017a). 교직 인성 검사에서의 문항 프로파일 분석, 중등교육연구 65(4), 705-729. (Kim, S. Y. (2017a). Item profile analysis of the personality test for teaching profession, Second Education Research 65(4), 705-729.) 

  8. 김성연 (2017b).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에서 수학영재 와 일반학생의 다집단 일반화가능도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31(1), 49-70. (Kim, S. Y. (2017b). Multigroup geveralizability analysis of creativity attitude scale-Korea for mathemat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middle school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1(1), 49-70.) 

  9. 김성연(2018a).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 서 분할점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신뢰도 탐색. 수학교육 60(1), 55-74. (Kim, S. Y. (2018a). Investigation of various reliability indic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based on setting cut scores, The Mathematical Education 60(1), 55-74.) 

  10. 김성연 (2018b).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에서 교직 적성. 인성 검사의 일반화가능도 분석. 교원교육 34(2), 1-17. (Kim, S. Y. (2018b).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2), 1-17.) 

  11. 김정환 (2004). 초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교육능력 관련 요소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17(1), 121-139. (Kim, J. H. (2004). An investigation on casual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al competence-related factors of period - limit teachers in primary school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7(1), 121-139.) 

  12. 김정환, 남현우, 염시창, 임진영 (2012). 교직 적성.인성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Kim, J., Nam, H., Yeom, S., & Im, J. (2012).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3. 김진영, 이기종 (2013).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직인.적성과의 관계, 한국교육 40(3), 5-25. (Kim, J. Y. & Lhee, K. J.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strategies and teaching personalities and aptitude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0(3), 5-25.) 

  14. 김현진 (2013). 교사.학교장 신념과 중학생의 자율성 및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교육학연구 51(2), 117-143. (Kim, H. J. (2013). An analysis of relations among teacher and principal's beliefs and 8th grade students' autonomy,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2), 117-143.) 

  15.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Park, J. (2007).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1), 19-31.) 

  16. 백인순 (2000). 교육대학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Paek, I. S. (2000). A study o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an's University.) 

  17. 신준국, 부덕훈, 서보억 (2015). 수학수업에서 인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9(2), 241-265. (Shin, J. K., Boo, D. H., & Suh, B. E.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charac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2), 241-265.) 

  18. 안도희, 김유리 (2015). 교직이수 학생들의 교직핵심역량, 교수능력 및 교직전문성 열망 간의 관계. 교원교육 31(1), 203-226. (Ahn, D. H. & Kim, Y. R. (2015). The relationships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teaching, teaching ability and professional aspirations for teaching among student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203-226.) 

  19. 안재희, 이숙정 (2012).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 분석, 열린교육연구 20(2), 27-49. (Ahn, J. & Lee, S. (2012). Analysis of career choices made by student teacher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2), 27-49.) 

  20. 오유진 (2016). 영어과 임용준비생들의 서답형 영어쓰기 답안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비한 각 교육기관 교육과정의 효율성에 관한 인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Oh, Y. J. (2016). A study on the awareness of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writing answer shiit by preliminary teacher and efficacy of curriculum of each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an's University.) 

  21. 원혜경, 이소정 (2017).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간편형 교직 적.인성 척도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1(1), 133-165. (Won, H. K. & Lee, S. J. (2017). 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aptitude and personality as a teacher scal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1(1), 133-165.) 

  22. 이규민, 황경현 (2007). 초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의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 방식에 대한 일반화가능도 분석, 아동교육 16(4), 169-184. (Lee, G, M. & Hwang, K. H. (2007). A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 toward investigating the generalizability of scores from holistic and analytic scoring methods in performance assessments of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16(4), 169-184.) 

  23. 이문수, 차동춘 (2016). 수학 창의력 문제 해결 검사에 서의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다국면 라쉬모형의 비교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9(2), 251-279. (Lee, M. & Cha, D. (2016). A comparis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and many facet Rasch measurement in an analysis of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9(2), 251-279.) 

  24. 이선정, 신혜원 (2008).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가정교육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실태와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교원교육 20(4), 173-186. (Lee, S. J. & Shin, H. W. (2008). The operation of home ecnomomics education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graduate students' percep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0(4), 173-186.) 

  25. 이현숙, 송미영 (2015). PISA 2012 수학 성취도를 설명하는 학생의 정의적 특성 및 교사 특성 분석을 위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의 적용. 교과교육학연구 19(1), 137-158. (Yi, H. S. & Song, M Y. (2015). A multi-level SEM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math-related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and math literacy of PISA 2012.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9(1), 137-158.) 

  26. 전경희, 조안나 (2017). 예비교사의 입학전형 유형별 교직 적.인성 특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315-334. (Chon, K. H. & Cho, A. (2017).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ptitude, character traits of preservice teachers by college admission typ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7), 315-334.) 

  27. 조운주 (2014).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적성.인성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개선방안, 육아지원연구 9(2), 101-123. (Cho, W. (2014). Validation and modification of teaching aptitude tes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9(2), 101-123.) 

  28. 한혜숙, 최계현 (2011).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4), 491-518. (Han, H. S. & Choi, K. H. (2011).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ffective domain and analysis of condition in mathematics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4(4), 491-518.) 

  29. 황혜정 (2011).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 소 탐색-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학 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Hwang, H. J. (2011).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4(3), 241-263.) 

  30. Abedi, J. & Lord, C. (2001). The language factor in mathematics test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4(3), 219-234. 

  31. Baxter, G. P. Shavelson, R. J., Herman, S. J., Brown, K. A., & Valadez, J. R. (1993).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Technical quality and diverse student impac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4, 190-216. 

  32. Brennan, R. L. (2001a). Generalizability Theory, New York, NY: Springer-Verlag. 

  33. Brennan, R. L. (2001b). Manual for mGENOVA, Iowa City: Iowa Testing Programs, University of Iowa. 

  34. Christ, T. J., Johnson-Gros, K. N., & Hintze, J. M. (2005). An examination of alternate assessment durations when assessing multiple-skill computational fluency: The generalizability and dependability of curriculum-based outcomes with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decisions, Psychology in the Schools 42(6), 615-622. 

  3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36. Cronbach, L. J., Linn, R. L., Brennan, R. L., & Haertel, E. H. (1997). Generalizability analysis for performance assessments of student achievement or school effectivenes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7(3), 373-399. 

  37. Darling-Hammond, L. (2000). Teacher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A review of state policy evidence, Education Policy Analysis Archives 8(1), 1-44. 

  38. Dunbar, S. B., Koretz, D. M., & Hoover, H. D. (1991). Quality control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4(4), 289-303. 

  39. Fyans, L. J. (1983). Generalizability theory: Inferenc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Jossey-Bass Inc Pub. 

  40. Hill, H. C., Charalambous, C. Y., & Kraft, M. A. (2012). When rater reliability is not enough: Teacher observation systems and a case for the generalizability study. Educational Researcher 41(2), 56-64. 

  41. Hill, H. C., Rowan, B., & Ball, D. L. (2005). Effects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2(2), 371-406. 

  42. Ho, A. D. & Kane, T. J. (2013). The reliability of classroom observations by school personnel. Research Paper, MET Project,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43. Houchard, M. A. (2005). Principal leadership, teacher morale, and student achievement in seven schools in Mitchell county, North Carolina, Electronic Theses and Dissertations. 

  44. Klein, S. P., McCaffrey, D., Stecher, B., & Koretz, D. (1995). The reliability of mathematics portfolio scores: lessons from the Vermont experience,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8(3), 243-260. 

  45. Klieme, E., Pauli, C., & Reusser, K. (2009). The Pythagoras study: Investigating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Swiss and German mathematics classrooms, The power of video studies in investigating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137-160. 

  46. Kukla-Acevedo, S. (2009). Do teacher characteristics matter? New results on the effects of teacher preparation on student achievement,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8(1), 49-57. 

  47. Kunter, M., Tsai, Y. M., Klusmann, U., Brunner, M., Krauss, S., & Baumert, J. (2008). Students' an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enthusiasm and instruction, Learning and Instruction 18(5), 468-482. 

  48. Lakin, J. M. & Lai, E. R. (2012). Multigroup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verbal, quantitative, and nonverbal ability tests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72(1), 139-158. 

  49. Lane, S., Liu, M., Ankenmann, R. D., & Stone, C. A. (1996). Generalizability and validity of a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3(1), 71-92. 

  50. Lee, G. & Frisbie, D. A. (1999). Estimating reliability under a generalizability theory model for test scores composed of testlet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2(3), 237-255. 

  51. Li, D. & Brennan, R. (2007). A multi-group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a large-scale reading comprehension test, In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Chicago, IL. 

  52. Marty, M. C., Henning, J. M., & Willse, J. T. (2010). Accuracy and reliability of peer assessment of athletic training psychomotor laboratory skill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45(6), 609-614. 

  53. Mastergeorge, A. M. & Martinez, J. F. (2010). Rating performance assessm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study of reliability and bia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8(6), 536-550. 

  54. Matsumura, L. C., Slater, S. C., Junker, B., Peterson, M., Boston, M., Steele, M., & Resnick, L. (2006). Measur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mathematics instruction in urban middle schools: A pilot study of the Instructional Quality Assessment, CSE Technical Report 681.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CRESST). 

  55. McBee, M. M. & Barnes, L. L. (1998). The generalizability of a performance assessment measuring achievement in eight-grade mathematic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1(2), 179-194. 

  56. Mottus, R., Allik, J. & Realo, A. (2012). The effect of response style on self-reported conscientiousness across 20 countr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8(11), 1423-1436. 

  57. Narvaez, D. & Nucci, L. P. (2008).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New York, NY: Routledge. 

  58. Powers, S. & Brennan, R. L. (2009).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es of mixed-format advanced placement exams, CASMA Research Report. 

  59. Schnitzler, C., Button, C., Croft, J. L., & Seifert, L. (2015). A new qualitative typology to classify treading water movement patterns.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14(3), 530. 

  60. Shavelson, R. J., Baxter, G. P., & Gao, X. (1993). Sampling variability of performance assessment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0(3), 215-232. 

  61. Shavelson, R. J. & Webb, N. M. (1991). Generalizability theory: A primer, London: Sage Publications. 

  62. Sluijsmans, D. (2001). Peer assessm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27(2), 153-73. 

  63. Thompson, A. G. (1992). Teacher' belief and conceptions: A synthesis of the research,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64. Wayne, A. J. & Youngs, P. (2003).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tudent achievement gains: A review,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3(1), 89-122. 

  65. Wilhelm, A. G. & Kim, S. (2015). Generalizing from observations of mathematics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 using the instructional quality assessm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3), 270-279. 

  66. Yin, P. (2005).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the multistate bar examin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5(4), 668-6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