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육대학원 예비공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서 일반화가능도 분석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Engineering Teacher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323 - 330  

김성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표준안으로 보급한 교직 적성 인성 검사를 교육대학원의 예비공학교사에게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살펴보며, 교직 적성 인성 검사가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한 교육대학원에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공학교육전공의 예비공학교사 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직 적성 인성 검사자료에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적성 인성 검사점수에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일반적으로 잔차, 영역 내 문항, 피험자, 피험자와 영역의 상호작용, 영역, 그리고 시행횟수 크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전검사이론을 바탕으로 한 Cronbach's ${\alpha}$는 측정 구조를 적합하게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과대추정 될 수 있으므로 준거참조검사에서는 의존도계수와 같은 보다 정밀한 신뢰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직 적성 인성 검사 표준안은 의존도계수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의 예비공학교사에게 적용 가능하다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넷째, 교직 적성 인성 검사가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은 총 문항 수를 기준으로 시행횟수는 2회, 영역은 12개, 그리고 영역 내 문항은 8개로 원자료인 총 210개 문항을 96개로 축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airness of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assigned to pre-service engineering teacher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measurement traits.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scores of 99 students enrolled in engine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교직 적성·인성 검사 표준안이 교원양성기관에 보급 된지 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된 검사 표준안이 상대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던 교육대학원의 공학교육을 전공하는 원생들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관심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측정학적 특성 중 하나인 신뢰도 산출 시 다중 오차 요인을 고려함과 동시에 준거참조검사에 적합한 신뢰도인 의존도계수를 산출하는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예비공학교사에게 교직 적성·인성검사 표준안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며,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을 바탕으로 교직 적성·인성 검사를 개선 및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에서 표준안으로 보급한 교직 적성·인성 검사[14]결과를 활용하여 교육대학원의 예비 공학교사 검사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교육대학원의 예비공학교사인 피험자(p)에게 14개 영역(d) 별로 서로 다른 15개 문항(i)이 포함되어 있는 총 210개 문항으로 구성된 교직 적성·인성 검사 표준안이 2회(o) 실시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G-연구설계를 분석하였다. 단, 피험자(p)는 무한한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추출되었으며, 영역(d)과 문항(i)은 무한한 영역과 문항 전집에서 표집되었다고 간주하여 모두 무선효과(random effect)로 가정하였다. 교육대학원의 예비공학교사마다 총 210개 문항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점수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이를 일반화가능도 분석 체계로 표현한 p×i 설계를, 예비공학교사마다 14개 영역 별로 서로 다른 15개 문항이 포함되어 있는 총 210개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점수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p×(i:d) 설계를, 그리고 예비공학교사마다 14개 영역 별로 서로 다른 15개 문항이 포함되어 있는 210개의 문항을 2회 실시한 총 420개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점수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p×o×(i:d) 설계를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 및 그 시행령이 발효됨에 따라 학교에 미친 영향은?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 및 그 시행령[1]이 발효됨으로써 각 급 학교의 장은 매년 자체적으로 인성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한다[2]. 이처럼 인성교육진흥법 제정을 통해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것은 인성교육 인식 재고와 활성화 등을 촉진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학생의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여부는 미지수다[3, 4].
특성화고가 일반고와 구별되는 이유는? 그 중 하나는 교원양성 단계에서부터 예비교사의 인성교육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5]. 특히 특성화고는 특정 전문 분야에 소질과 적성을 가지고 진로를 결정하여 일찍부터 해당 산업분야의 직업 준비교육을 받으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정 전문분야의 교육을 실시하는 고등학교로 정의[6]함으로써 일반고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특성화고 학생은 졸업 후 일자리 조기진입 비중이 높기 때문에 직장 구성원과 상호작용을 하는데 필요한 능력으로 올바른 의사소통 능력, 근면, 성실, 예절 등을 포함하는 사회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교육부에서 교원 적성·인성 강화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교원양성과정은 향후 교사로 복무할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들의 교직 적성·인성 수준은 장차 복무할 교육현장의 질적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인이 된다[12]. 구체적으로 교육과학기술부[13]는 각 교원양성기관에서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직 적성·인성 검사 표준안[14]을 개발하여 보급하였으며, 교원자격 검정령 제19조의 무시험검정 합격기준에 의해 예비교사들은 교원양성기관 재학 중에 해당 기관의 장이 실시하는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서 2회 이상의 적격 판정을 획득하여야만 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교직 적성·인성 검사 표준안은 타당화 과정을 거쳐 14개 영역의 영역 내 15문항을 포함하는 총 21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교급 또는 전공에 상관없이 많은 교원양성기관들에서 활용되고 있다[12,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5. 

  2. I. J. Lee, "Systematic Approach of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and Competences of Teachers",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vol. 39, pp. 271-300, 2016. DOI: https://doi.org/10.18850/JEES.2016.39.11 

  3. N. Kim, "A Critical Consideration on the Idea and Implic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39, pp. 55-102, 2016. 

  4. H. K. Park, "Discussions with the Issue of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The Journal of Law of Education, vol. 27, no. 3, pp. 77-100, 2015. DOI: http://doi.org/10.17317/tjle.27.3.201512.77 

  5. M. W. Kim, J. Y. Park, J. S. Choi, M. J. Kim, T. H. Kim, "The Effect of Social Emotion Learning on Teacher Character of Specialized Pre-service Teach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ol. 42, no. 2, pp. 47-66, 2017. 

  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7. C. R. Go, S. A. Bae, "Development of the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Program for Strengthen of Employment Capabil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ol. 36, no. 2, pp. 201-218, 2011. 

  8. K. M. Bae,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Skills of Specialized High School Based on NC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vol. 27, no. 1, pp. 133-158, 2017. DOI: https://doi.org/10.21024/pnuedi.27.1.201703.133 

  9. M. W. Kim, T. H. Kim, "Analysis of Personality Level of Students of Industrial-field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6, no. 1, pp. 23-46, 2017. DOI: http://doi.org/G704-000975.2017.36.1.004 

  10. H. S. Lim, Y. C. Jyung, "Relationships among Creativity,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tatu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42, no. 4, pp. 53-73, 2010. DOI: https://doi.org/10.23840/agehrd.2010.42.4.53 

  11. H. K. Kang, "Issues and Their Improve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2, pp. 1-25, 2004. 

  12. C. S. Park, "Validation Study of Teaching Aptitude-Personality Test for Alternative Modification of the Test",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vol. 19, no. 3, pp. 107-124, 2015. 

  1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fficial Approval Provision for Teacher Qualifi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14. J. H. Kim, H. W. Nam, S. C. Yeom, J. Y. Im,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15. S. Y. Kim, "Item Profile Analysis of the Personality Test for Teaching Profession", Second Education Research, vol. 65, no. 4, pp. 705-729, 2017. 

  16. W. J. Cho, "Validation and Modification of Teaching Aptitude Tes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 9, no. 2, pp. 101-123, 2014. 

  17. H. G. Won, S. J. Lee, "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Aptitude and Personality as a Teacher Scal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21, no. 1, pp. 133-165, 2017. 

  18. S. H. Kim, Unqualified Candidates were only 0.6% based on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Teachers, Available From: http://www.shinmoongo.net, (accessed Dec., 15, 2017) 

  19.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 Study on Directions to Improve Official Approval Provisions for Teacher Qualification in a Competency-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6. 

  20. Crick, J. E. Crick, R. L. Brennan, Manual for GENOVA: A Generalized Analysis of Variance System. Research and Development Division, American College Testing Program, 1983. 

  21. R. L. Brennan, Generalizability Theory, New York, NY: Springer-Verlag, 2001. DOI: https://doi.org/10.1007/978-1-4757-3456-0 

  22. S. B. Dunbar, D. M. Koretz, H. D. Hoover, "Quality Control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vol. 4, no. 4, pp. 289-303, 1992. DOI: https://doi.org/10.1207/s15324818ame0404_3 

  23. L. J. Fyans, Generalizability theory: Inferenc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Jossey-Bass Inc Pub, 1983. 

  24. R. J. Shavelson, G, P. Baxter, X. Gao, "Sampling Variability of Performance Assessment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vol. 30, no. 3, pp. 215-232, 1993. DOI: https://doi.org/10.1111/j.1745-3984.1993.tb00424.x 

  25. N. M. Webb, R. J. Shavelson, E. H. Haertel, "4 Reliability Coefficients and Generalizability Theory", Handbook of statistics, vol. 26, pp. 81-124, 2006. DOI: https://doi.org/10.1016/S0169-7161(06)26004-8 

  26. J. J. Norcini, Measurement Issues in the Use of Simulation for Testing Professionals: Test Development, Test Scoring, Standard Setting. In A. Tekian, C. H. McGuire, W. C. McGaghie, Innovative Simulations for Assessing Professional Competence, pp. 77-104, Chicago, IL: University of Illinois, 1999. 

  27.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es for the Soci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ni Associates, 1988. 

  28. L. J. Cronbach, R. L. Linn, R. L. Brennan, E. H. Haertel, "Generalizability Analysis for Performance Assessments of Student Achievement or School Effectivenes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57, no. 3, pp. 373-399, 1997. DOI: https://doi.org/10.1177/0013164497057003001 

  29. A. Nussbaum,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in Educational Measurement: An Empirical Study",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8, no. 2, pp. 219-230, 1984. DOI: https://doi.org/10.1177/014662168400800211 

  30. R. J. Shavelson, N. M. Webb, Generalizability theory: A primer, Sage, 1991. 

  31. A. Vallevand, C. Violato, "A Predictive and Construct Validity Study of a High-stakes Objective Clinical Examination for Assessing the Clinical Competence of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vol. 24, no. 2, pp. 168-176, 2012. DOI: https://doi.org/10.1080/10401334.2012.664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