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학 수업의 질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Classroom Qual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1 no.2, 2018년, pp.151 - 162  

박성선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의 인식 검사(SPOCQ)'의 구인들은 학습의 동기부여 및 학업성취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평가하고, 수업의 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학생의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밝히고, 수학성취 수준 및 성별에 따른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수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학업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학수업에 대한 시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가 수학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수학성취수준과 성별에 따라 수학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s mathematical belief and student's mathematical performance, sex on the perception of mathematics classroom quality. And this study also detailed the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perception of mathematics 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 측면은 수업 방법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교실에서 수업을 어떻게 진행하는 교수 학습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수학교육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많은 실패를 경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 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교사의 수학적 신념,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성별과의 관련성을 밝히고, 나아가서는 수학학습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의 인식 검사’를 적용하여 매력성, 도전성, 선택권, 유의미성, 자기효능감의 관점에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환경 구성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으며, 교사의 수학적 신념, 학생의 수학성취수준 및 성별,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가설 설정

  • 넷째, 학생의 성별에 따라 수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 둘째, 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따라 수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검사는, 학생들의 인식을 어떻게 구분하여 측정하는가? 이 검사 도구는 수업 활동에 대한 3학년부터 8학년 학생들의 인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이 검사 도구는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매력성, 도전성, 선택권, 유의미성, 학문적 자기효능감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의 인식 검사’의 구인들은 학습의 동기부여 및 학업 성취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평가하고, 수업의 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
수학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변화가 필요하다 본 세가지 측면은? , 2010). 이 세 가지 측면은 교육과정, 평가 방법, 수업 방법이다.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적 변화에 대비한다는 관점에서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하였다.
최근 평가 방법에 관해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나? 수학 교과 역량을 구체화하여 강조하게 된 배경을 보면, 급속하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융합 인재를 길러내기 위함이다(박경미 외, 2015; 교육부, 2015). 평가 방법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관한 것으로 얼만 전까지만 해도 수행평가에 대한 연구 많았으나 최근에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마지막 측면은 수업 방법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권성룡 (2017). 수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초등수학교육, 20(4), 253-266. (Kwon, S. Y. (2017).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20(4), 253-266.) 

  2. 김명희 (2010). Blended-Learning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M. H. (2010). The Effects of Blended-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3. 김용성 (2000). 문제상황을 기초로 한 수학화 경험이 수학적 신념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Kim, Y. S. (2000). Effects of mathematising Experiences based on Problem Situations on Mathematical Belief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4. 박경미?김동원 (2011).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 연구. 수학교육, 50(1), 89-102. (Park, K. M., Kim D. W. (2011). A survey research to diagnose the problem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1), 89-102.) 

  5. 박경미 외 31명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과학 창의재단 연구보고서. (Park Kyung Mi et al. (2015).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development study.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Creativity Research Report.) 

  6. 박성선 (2007). 수학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교사의 역할. 초등수학교육, 10(2), 151-161. (Park, S. S. (2007). The role of teachers in reform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0(2), 151-161.) 

  7. 교육부 (2015). 초 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80 (Ministry of Education(2015). Introduction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80.) 

  8. 이학식, 임지훈 (2008). SPSS 14.0 매뉴얼. 서울: 범문사. (Lee, H. S., Lim, J. H. (208). SPSS 14.0 manual. Seoul: Bobmunsa.) 

  9. 정미영 (2007).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한 수학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ung, M. Y. (2007). Study on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mathematics through cyber home stud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0. Abbott, M., Baker, D., Smith Karen., & Trzyna, T. (2010). Winning the math wars: No teacher left behind.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Seattle, WA. 

  11. Artzt, A., Armour-Thomas, E., Curcio, F. (2009). Becoming a reflective mathematics teacher. Routledge. New York. 

  12. Ames, C. (1992). Classroom: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261-271. 

  13. Ball, D.L. (1998). Unlearning to teach mathematic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8(1), 40-48. 

  14. Bau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5. Bransford, J. D., Vye, N. Y., Kinzer, C., & Risko, V. J. (1990). Teaching thinking and content knowledge toward an integrated approach. In B. Jones (Ed.), Teaching thinking(pp. 381-413). Hillsdale, NJ: Erlbaum. 

  16. Chae, Y., Gentry, M. (2011). Gifted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perceptions of learning and motivational construc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igh Ability Studies, 22(1), 103-118. 

  17. Csikszentmihalyi, M. (1990). Literacy and intrinsic motivation. Deadalus, 119, 115-140. 

  18.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19. Dewey, J. (1933). How we think (Rev. ed.). New York: Heath. 

  20. Eccles, J. S., Midgley, C. (1989). Stage-environment fi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lassrooms for young adolescents. In C. Ames & R. Ames(Eds.),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Goals and cognition(pp. 13-44). New York: Academic. 

  21. Gardner, H. (1991). The unschool mind: How children think and how schools should teach. New York: Basicbooks. 

  22. Gentry, M., & Owen, S. V. (2004). Secondary student perceptions of classroom quality: Instrumentation and differences between advanced/honors and nonhonors classe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6, 20-29. 

  23. Gentry, M., Rizza, M. G., & Owen, S. V. (2002). Examining perceptions of challenge and choice in classroom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nd comparisons among gifted students and other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6, 145-155. 

  24. Glassers, W. (1996). Then and now: The theory of choice. Learning, 25, 20-22. 

  25. Goodlad, J. I. (1984). A place called school. New York: McGraw-Hill. 

  26. Gottfried, A. E. (1985).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631-645. 

  27. Haladyna, T., & Thomas, G. (1979). The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ward school and subject matter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48, 18-23. 

  28. Lampert, M. (1988). The teachers' role in reinventing the meaning of mathematical knowing in the classroom. In M.J. Behr, C.B. Lacampagne, & M.M. Wheeler(Eds.), Proceedings of the tenth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pp. 433-480). DeKalb, IL: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29. Lepper, M. R., & Hodell, M. (1989). Relation of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istenc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356-362. 

  30.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1. NCTM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32.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33. Piaget, J. (1970). Piaget's theory. In P. H. Mussen (Ed.), Carmichael's manual of child psychology: Vol. 1(pp. 703-732). New York: Wiley. 

  34. Pintrich, P., Schrauben, B. (1992). Students' motivational beliefs and their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ademic tasks. In D. H. Schunk & J. L. Meece (Eds.), Student perceptions in the classroom(pp. 149-183). Hillsdale, NJ: Erlbaum. 

  35. Popham, W. J. (2001). The truth about testing: An educator's call to ac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