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가족, 조직 관련 요인이 일-삶 균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and Well-Being on the Individual, Family, and Organization: A Study Focused on Working Couples with a Double Income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2 no.4, 2018년, pp.33 - 60  

최환규 (한국워라밸연구소) ,  김성희 (여주대학교 사회복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among married working couples with a double income. To this en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0 married working coup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ponses using the SPS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삶의 균형의 다른 표현은 무엇인가? 일보다 개인이나 가정생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문화체육관광부, 2018), 저녁이 있는 삶의 기대와 함께 일과 가정의 양립이나 여가생활 및 자기 계발에 대한 직장인들의 욕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ʻ워라밸(WLB)ʼ 이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ʻ일-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 WLB)ʼ이 강조되고 있다(강민우·홍영현·서용원, 2018; Taşdelen-Karçkay & Bakalım, 2017). ʻ휴식있는 삶을 위한 일과 생활의 균형 실현ʼ이 2017년 국정자문기획위원회가 제시한 현 정부의 국정 운영 5개년 계획에 담긴 100대 과제에 포함될 정도로 일과 삶의 균형은 나이, 성별, 교육수준, 가족구조, 직업과 관계없이 모든 직장인에게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McMillan, Morris & Atchley, 2011; Ugwu et al.
2017년 우리나라는 일-삶의 균형 부분에서 38개국 중 몇 위를 차지하였는가? 우리나라는 2017년 더 나은 삶의 지수(BLI: Better Life Index) 중 일-삶의 균형 부분에서 38개국 중 35위를 차지하였지만(OECD, 2017), 2018년 7월 ʻ주 52시간 근무제ʼ가 시행되면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안주엽, 2017; 헤럴드경제, 2018). 일보다 개인이나 가정생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문화체육관광부, 2018), 저녁이 있는 삶의 기대와 함께 일과 가정의 양립이나 여가생활 및 자기 계발에 대한 직장인들의 욕구가 늘어나고 있다.
일-삶의 균형과 관련된 정책은 무엇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안되었는가? ʻ일과 삶의 균형ʼ과 관련된 정책은 취업 여성의 증가, 출산율의 감소, 가족 형태의 다양화, 이혼율의 증가, 고령화 사회와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안되었다(송혜림, 2012; Hill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0)

  1. 강민우.홍영현.서용원(2018). 일과 삶의 갈등이 조직 몰입과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1(3), 583-610. 

  2. 경향신문(2017.11.22). 성장의 결과보다 방향 중요...분배 잘되는 나라가 행복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711220600015 

  3. 고영남(2017). 생애목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3), 423-446. 

  4. 김난주.권태희(2009).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여성연구, 76(1), 43-70. 

  5. 김선아.김민영.김민정.박성민(2013). '일과 삶 균형' 정책과 정책 부합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7(1), 201-237. 

  6. 김유경.구혜령(2016). 일-가정 균형의 개념과 일-가정 갈등 및 향상과의 관계. 가족과 문화, 28(3), 1-31. 

  7. 김은영.박정윤(2013). 가족의례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가족역할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미혼남녀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105-124. 

  8. 김은희.김철원(2017). 일과 삶의 균형에 따른 사회적 계층이 주관적 행복감. 관광연구, 32(7), 1-24. 

  9. 김정운.박정열(2008).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5(3), 53-69. 

  10.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11. 김주엽(2006). 일과 가정의 균형에 관한 문헌적검토. 인적자원개발연구, 8(1), 83-117. 

  12. 김주현.문영주(2010).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13. 김진욱.박은영(2018). 미취학자녀를 둔 기혼 남성의 일-가정 균형이 자녀 관계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5(1), 211-236. 

  14. 남기섭(2017). 일-생활의 균형 (WLB)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 경영경제연구, 39(2), 135-161. 

  15. 뉴스핌(2018.10.23). '주52 시간 근무제' 도입 이후... 직장인 워라밸 '빈익빈 부익부'. http://www.newspim.com/news/view/20181023000429 

  16. 문화체육관광부(2018). 2018 삶의 질 여론조사보고서. 1-51. 

  17. 박예송.박지혜(2013).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년 이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HRD 연구, 15(1), 1-29. 

  18. 박연숙.박정윤(2017). 유자녀 맞벌이 남녀의 일-가족 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2), 51-72. 

  19. 박은선.손은영.임지숙(2016).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193-1216. 

  20. 박정열.손영미(2016). 일과 삶의 균형 조직문화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693-705. 

  21. 박정열.전은선.손영미.신규리(2016).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국내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여가학연구, 14(4), 1-22. 

  22. 변신원(2010). 일과 가정의 양립 정책 교육 프로그램. 한국양성평등진흥원. 

  23. 브레이크뉴스(2018.10.18). 문화센터, 주52시간 도입 후 '함박웃음'..매출 쑥쑥 $\uparrow$ .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607777& section sc3 

  24. 손영미.박정열(2014a).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조직문화와 지원제도의 영향력 비교. 한국웰니스학회지, 9(4), 111-125. 

  25. 손영미.박정열(2014b).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 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9(2), 161-190. 

  26. 손영미.박정열(2015).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조직, 지역사회 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국가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51-74. 

  27. 손영미.박정열.양은주(2017). 일과 삶의 균형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신념과 정서명료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3), 333-359. 

  28.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29. 송혜림(2015).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81-99. 

  30. 심철현.이규태(2013). 호텔 직원의 일-생활 균형(WLB)이 주관적 경력 성공 및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8(3), 307-325. 

  31. 안주엽(2017).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실근로시간 단축. 노동리뷰, 3, 52-61. 

  32. 오세숙.김종순.신종화(2016). 기혼 직장 남성의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2), 87-100. 

  33. 원두리.김교헌.권선중(2005). 한국판 삶의 의미 척도의 타당화 연구-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34. 유계숙(2008).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7-37. 

  35. 윤대혁(2008). 맞벌이 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5(1), 87-109. 

  36. 이병찬(2016).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일과 삶의 균형(WLB)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5(5), 549-557. 

  37. 이세훈(2018).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2(3), 117-135. 

  38. 이숙정.오재림(2010). 여성친화적 조직문화, 조직유효성, 직장 및 가정생활 갈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아시아여성연구, 49(1), 7-39. 

  39. 이은주.이지연(2016). 중년기 직장인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은퇴불안 및 건강한 부부관계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3(1), 71-94. 

  40. 이종만(2014). 직장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4(1), 400-408. 

  41. 이주일.유경(2010). 직장-가정 갈등의 세대 차이와 직장-가정 갈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3), 471-501. 

  42. 임영진.고영건.신희천.조용래(2012).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69-386. 

  43. 장윤옥.정서린(2014). 유자녀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전이과정과 전이발생영역.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5), 145-161. 

  44. 전서영.박정윤.김양희(2008). 기혼 남녀의 일-가족 갈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9-79. 

  45. 정민영.최한나(2015). 직장인의 소명존재 및 소명실행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삶의 의미와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6), 279-295. 

  46. 정서린.장윤옥(2017). 맞벌이부부의 배우자 지지, 직장 지지 및 일-가족 전이가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97-119. 

  47. 채로.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48. 천혜정.이지선(2010). 취업여성의 일과 삶의 조화에 관한 연구: 경험과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3), 25-41. 

  49. 천혜정.한나(2009). 근로자의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및 조직문화가 일과 삶의 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53-72. 

  50. 최환규(2018). 일의 의미가 직장인의 안녕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와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1. 최환규.이정미(2017).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K-WAMI)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사회및 성격, 31(4), 1-25. 

  52. 통계청(2017). 2016년 맞벌이 가구 현황. 

  53. 한국심리학회(2014).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54. 허지연.손은정(2009). 청년기와 중년기 집단에서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한국사회과학연구, 28(2), 105-128. 

  55. 헤럴드경제(2018.10.08). 주52시간 근로제 100일.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008000079 

  56. Beauregard, T. A. & Henry, L. C.(2009). Making the link between work-life balance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9(1), 9-22. 

  57. Bowling, N. A,, Eschleman, K. J. & Wang, Q. (2010).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3(4), 915-934. 

  58. Carlson, D. S., Kacmar, K. M., Wayne, J. H. & Grzywacz, J. G. (2006). Measuring the positive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family enrichment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1), 131-164. 

  59. Carlson, D., Grzywacz, J. & Zivnuska, S. (2009). Is work-family balance more than conflict and enrichment? Human Relations, 62(10), 1459-1486. 

  60. Cegarra-Leiva, D., Sanchez-Vidal, M. E. & Gabriel Cegarra-Navarro, J.(2012).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work life balance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 SMEs: The mediating effect of a supportive culture. Personnel Review, 41(3), 359-379. 

  61. Cohen, K. & Cairns, D.(2012). Is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associated with reduced subjective well-being? Confirmation and possible moderato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2), 313-331. 

  62. Crouter, A. C. & Helms-Erikson, H(2000). Work and family from a dyadic perspective: variations in inequality. In Milardo, R. M. & Duck, S.(Eds), Family as relationship(pp100-133).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63. Debats, D. L., van der Lubbe, P. M. & Wezeman, F. R. A.(1993). 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ife Regard Index(LRI): A Measure of Meaningful Lif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2), 337-345. 

  64. Dubin, R.(1956). Industrial workers' worlds: A study of the 'central life interests' of industrial workers. Social problems, 3(3), 131-142. 

  65. Eby, L. T., Casper, W. J., Lockwood, A., Bordeaux, C. & Brinley, A.(2005). Work and family research in IO/OB: Content analysi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1980-2002).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1), 124-197. 

  66. Emslie, C. & Hunt, K.(2009), Live to work or work to live? A qualitative study of gender and work-life balance among men and women in mid-life.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16(1), 151-172. 

  67. Frone, M. R.(2000). Work-family conflict and employee psychiatric disorders: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6), 888. 

  68. Frone, M. R. (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t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9.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Conflict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1), 65-78. 

  70. Grawitch, M. J., Barber, L. K. & Kruger, M. H.(2010). Role identification, community socioeconomic status demands, and stress outcomes in police officers. Anxiety, Stress, and Coping, 23(2). 165-180. 

  71.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3), 5510-531. 

  72. Greenhaus, J. H. & Powell, G. N.(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73. Guest, D. E.(2002).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Social Science Information, 41(2), 255-279. 

  74. Haar, J. M.(2013). Testing a new measure of work-life balance: A study of parent and non-parent employees from New Zealan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4(17), 3305-3324. 

  75. Halbesleben, J. R. & Rotondo, D. M. (2007). Developing social support in employe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lessons from same-career couples.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9(4), 544-555. 

  76. Hill, E. J., Yang, C., Hawkins, A. J. & Ferris, M.(2004). A cross-cultural test of the workfamily interface in 48 countr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5), 1300-1316. 

  77. Julka, T. & Mathur, U.(2017). A Conceptual Study of Work-Life Balance among Women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Research in Management & Technology, 6(2), 74-78. 

  78. KBS(2018.3.15). 한국, 세계행복지수 156개국 중57위. http://news.kbs.co.kr/news/3618916 

  79. Keyes, C. L. M.(1998).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2), 121-140. 

  80. Keyes, C. L. M. & Lopez, S. J.(2002). Toward as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s. In Snyder, C. R. & Lopez., S. J. (Ed.). The Oxford Handbook of the Positive Psychology. NY: Oxford University Press. 

  81. Keys, C. L. M., Wissing, M., Potgieter, J., Temane, M., Kruger, A., & van Rooy, S.(2008).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in Setswana-speaking South African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5(3), 181-192. 

  82. Kirchmeyer, C.(2006). The Different Effects of Family on Objective Career Success Across Gender: A Tes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2), 323-346. 

  83. MacDermid, S. & Harvey, A.(2006). The workfamily conflict construct: Methodological implications. In M. Pitt-Catsouphes, E. Kossek & S. Sweet (Eds.), The work-family handbook: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and approaches. Mahwah, NJ: Erlbaum. 

  84. Maertz, C. P. & Boyar, S. L. (2011). Work-family conflict, enrichment, and balance under 'levels' and 'episodes' approaches. Journal of Management, 37(1), 68-98. 

  85. McMillan, H. S., Morris, M. L. & Atchley, E. K.(2011). Constructs of the work/life Interface: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and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work/life harmony.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10(1), 6-25. 

  86. Morris, M. & Madsen, S.(2007). Advancing Work-Life Integration in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9(4), 439-454. 

  87. Munn, S. L.(2013). Unveiling the Work-Life System: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on Meaningful Work.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15(4), 401-417. 

  88. Nitzsche, A., Pfaff, H., Jung, J. & Driller, E. (2013). Work-life balance culture, work-home interac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5(1), 67-73. 

  89. OECD(2017). Better Life Index. OECD. 

  90. Quinn, R. E., Dutton, J. E. & Cameron, K. S.(2003).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SF: Berrett-Koehler. 

  91. Rothbard, N. P.(2001). Enriching or depleting? The Dynamics of Engagement in Work and Family Rol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6(4), 655-684. 

  92.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93. Ryff, C. D. & Singer, B. H.(1998).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Psychological Inquiry, 9(1), 1-28. 

  94. Sanchez-Vidal, M. E., Cegarra-Leiva, D. & Cegarra-Navarro, J. G.(2012). Gaps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perceptions of work -life bala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3(4), 645-661. 

  95. Shapiro, A. & Keyes, C. L. M.(2008). Marital status and social well-being: Are the married always better off?. Social Indicators Research, 88(2), 329-346. 

  96. Smith, J. & Gardner, D.(2007). Factors affecting employee use of work-life balance initiatives. New Zealand Journal of Psychology, 36(1), 3-12. 

  97. Steger, M. F., Dik, B. J. & Duffy, R. D.(2012). Measuring meaningful work: The work and meaning inventory(WAMI).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3), 322-337. 

  98.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2006).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80-93. 

  99. Tasdelen-Karckay, A. & Bakalim, O.(2017).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Australian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6(1), 3-13. 

  100. Ugwu, D. I., Orjiakor, C. T., Enwereuzor, I. K., Onyedibe, C. C. & Ugwu, L. I.(2016). Business-life balance and wellbeing: Exploring the lived experiences of women in a low-tomiddle income country,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11(1), 1-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