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Married Immigrant Women on Marriag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2 no.4, 2018년, pp.61 - 74  

박현식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최미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옥진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relation to marriage satisfaction and the social support of immigrant women. The research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us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iheung of Gyeonggi-do and An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낮은 자기효능감 특성에 의해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 간 메커니즘이 달라질 수 있음을 착안,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가족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실천적, 정책적 접근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도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를 직접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즉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려진 연령, 학력, 종교유무, 직업유무, 가구 총 월 소득(김미정ㆍ염동문, 2015; 이은주ㆍ전미경, 2014)을 통제변수로 선정하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결혼만족도에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여 관련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려 한 것이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 사회적 지지를 얻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이더라도 결혼만족도 또한 높지 않을 수 있으며(신유경ㆍ장진경,2010), 일부 결혼이주여성은 가족지지를 자원으로 갖추었음에도 결혼만족도가 낮을 수 있었다(송복희,2012). 여기에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달라지게 할 요인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았고, 한국 사회에 유입된 결혼이주여성의 낮은 자기효능감 특성을 언급한 연구들(김미영, 2017; 김진ㆍ이종운ㆍ김영숙, 2015:83)에 주목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 향상 필요성을 결혼만족도 면에서 논의하려 하였다.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낮은 자기효능감 특성에 의해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 간 메커니즘이 달라질 수 있음을 착안,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가족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실천적, 정책적 접근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도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를 직접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즉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려진 연령, 학력, 종교유무, 직업유무, 가구 총 월 소득(김미정ㆍ염동문, 2015; 이은주ㆍ전미경, 2014)을 통제변수로 선정하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자기효능감이 결혼만족도에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여 관련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려 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사회 다문화로의 변화에 대한 핵심적 요인으로 거론되는 사유들은 무엇인가? 한국사회 다문화로의 변화에 대한 핵심적 요인으로는 저출산ㆍ고령화에 대한 이슈와 경제위기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 고학력화와 경제활동의 증가로 인한 초혼연령의 상승, 독신미혼 여성의 증가에 따른 만혼화 현상, 외국인에 대한 거부감 감소, 그리고 결혼수급 불균형 등으로 인한 농촌과 도시 저소득층 남성의 외국인 여성과의 결혼(김유경, 2009: 29-30) 등이 거론된 바 있다.
2005년 국제결혼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국제결혼 비율은 2005년에 13.5%로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국내 체류 외국인 중 결혼이민자수는 2009년 56,205명에서 2015년 147,382명(8.5%)에 이르고 있다(행정자치부,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기정.정천석(2009). 다문화 가정의 가정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3(2), 153-167. 

  2. 공미혜.오세자(2010).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2, 95-120. 

  3. 계선자.강혜경.정미선(2009). 다문화 가정의 결혼 생활에 관한 분석-용산구 다문화 가정 사례 연구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31-57. 

  4. 김미영(2017).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 자기효능 감, 생활만족도를 위한 가정생활 교육프로그램 개발.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미정.염동문(2015).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31(3), 1-25. 

  6. 김순연(2012).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경제적, 관계적 요인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와 이혼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순옥.김현숙(2016).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가족지지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462-473. 

  8. 김순옥.임현숙.정구철(2015).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185-186. 

  9. 김유경(2009).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151(0), 29-52. 

  10. 김정아.김인경(2011),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52-61 

  11. 김진.이종운.김영숙(2015).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41(2), 79-103. 

  12. 김희숙(2011).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 실증적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나동석.박종인(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과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1(4), 1-20. 

  14. 남인숙.안숙희(2011), 도시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도 비교.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7(2): 99-108. 

  15.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사업단(2010).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경진. 

  16. 서홍란.정한나(2010). 경남지역 거주 국제결혼 한국남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6(3), 27-48. 

  17. 송복희(2012). 아시아 지역 가정생활문화를 통해서 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적응전략.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송태연(2017).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허용성 및 자기효능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신유경.장진경(2010).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3), 109-122. 

  20. 양정빈.이종환(2011). 지역사회 성인중도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재활동기간의 인과관계 모형분석. 

  21. 유은광.김혜진.김명희(2012).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2(2), 171-179. 

  22. 이상균(2007). 사회복지연구에서의 매개효과 검증 :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검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리뷰. 12(0), 19-36. 

  23. 이신동.김진호.이상희.이경숙.차재경. 이영(2017). 다문화와 교사교육. 학지사. 

  24. 이애련(2010).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이해 및 적응에 관한 사례 연구-서울지역 어린이집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299-321. 

  25. 이은주.전미경 (2014).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변인 메타분석. 한국사회정책, 21(4), 9-44. 

  26. 이정희(2013).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창운(2017).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중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혜경.전혜인(2013).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4), 413-432. 

  29. 이훈(2016).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임수진(2010). 배우자의 사회적 지지가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의정.하규수(2012). 다문화가족 남성배우자의 이중문화스트레스,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222-231. 

  32. 채옥희.한은진.송복희(2012). 캄보디아 결혼 이주여성 부부의 결혼동기와 한국가정생활 경험 및 지원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6 (4), 111-129. 

  33. 행정자치부(2016). 주민등록인구 대비 외국인주민 수. 

  34. 현경자.김연수(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4), 653-677. 

  35. Bandura, A.(1977).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s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6. Bandura, A. (2000). Exercise of human agency through collective efficac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9(3), 75-78. 

  37. Baron, R. M. and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8.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9. Proulx, C. M., Helms, H. M., Milardo, R. M., & Payne, C. C. (2009). Relational support from friends and wives' family relationships: The role of husbands' interference.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6(2-3), 195-210. 

  40.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d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290-312. Washington DC :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