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벤조피렌의 급성독성시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cute Toxicity of Benzo[a]pyrene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8 no.1, 2018년, pp.43 - 50  

김미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이승길 (장안대학교 환경보건과) ,  조삼래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  김덕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toxicological changes caused by a single exposure to benzo[a]pyrene.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study, 300 mg/kg was set as the middle dose. A highest dose of 2,000 mg/kg and a lowest dose of 50 mg/kg were selected based on GH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벤조피렌의 경구 투여에 의한 독성학적 연구가 드물며, 오래 전에 이루어져 현재의 기준으로 볼 때 연구 방법 상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아 그 결과를 인용하기가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벤조피렌의 경구 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학적 연구를 시행하여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고 앞으로 내분비계 장애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란 무엇인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이하 PAHs)는 2개 이상의 벤젠고리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로 벤젠고리가 2~4개인 물질은 기체나 고체에 흡착된 형태로, 벤젠고리가 5개 이상인 물질은 주로 고체에 흡착된 형태로 자연계에 존재하게 된다(IARC, 1991). PAHs는 구성 성분에 따라 200여개의 물질이 있지만 US EPA(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나 NIOSH(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등에서 관심을 갖는 물질은 대표적으로 17개가 있다.
벤조피렌이 내분비계장애물질로 간주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 1997). 벤조피렌은 세포노출 실험을 통하여 돌연변이 유발성 및 발암성이 증명되었고, 에스트로겐 활성이 있다고 알려졌다(Walle et al., 2006).
IARC에 의한 발암물질 PAHs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이 중 Benzo[a]pyrene, Benzo[a]anthracene, Benzo[b] 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Indeno(1,2,3-c,d) pyrene, Dibenzo(a,h)anthracene은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 의한 발암물질인 PAHs는 산불, 유기화합물 분해, 화석연료 및 내연기관의 연소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환경에 오염이 되고 있는 물질로서 대부분 지방친화성이 매우 커서 체내 흡수 시 축적성이 매우 크며, 체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발암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shiwatani et al., 197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 YH. The role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epigenetic multi-transgenerational reproductive problem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p. 12-15 

  2. Hecht SS. Tobacco smoke carcinogens and lung cancer. J Natl Cancer Inst. 1999(91):1194-1210 

  3. Hoyer PB. Reproductive toxicology: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Biochem Pharmacol 2001(62):1557-1564 

  4.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1991. p. 43-53 

  5.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IARC). Polynuclear aromatic compounds part I: chemical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data.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1983. vol. 32 

  6. Irigaray P, Ogier V, Jacquenet S, Notet V, Sibille P, et al. Benzo[a]pyrene impairs beta-adrenergic stimulation of adipose tissue lipolysis and causes weight gain in mice. A novel molecular mechanism of toxicity for a common food pollutant. FEBS J. 2006;273(7): 1362-1372 

  7. Ishiwatani R, Takahisa H. Organic geochemistry of a 200-meter core sample from lake biwa( II ) vertical distribution of mono and dicarboxylic acids and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Proc. jpn acad. 1975(51):436 

  8. Izawa H, Kohara M, Watanabe G, Taya K, Sagai M. Diesel exhaust particle toxicity on spermatogenesis in the mouse is aryl hydrocarbon receptor dependent. J Repod Dev. 2007;53(5):1069-1078 

  9. Jerina, D. M, and Daly, J. W. Oxidation at Carbon. In: D. V. Parke and R. L. Smith(eds.), Drug Metabolism, PP. 15-33. London : Talyor and Francis,1976 

  10. Kim CM. Epigenetic actions of Benzo[a]pyrene on transgenerational effect in reproduct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09 

  11. Kuller LH, Garfinkel L, Correa P, Haley N, Hoffmann D, Preston-Martin S, Sandler D 1986 Contribution of passive smoking to respiratory cancer. Environ Health Perspect 70:57-69 

  12. Lewtas J, Walsh D, Williams R, Dobias L. Air pollution exposure-DNA adduct dosimetry in humans and rodents: evidence for non-linearity at high doses. Mutat Res. 1997(378):51-63 

  13. Maurice E.Knuckles, Frank I, Aramandla R. Acute and subchronic oral toxicities of benzo[a]pyrene in F-344 rats. Toxicological Sciences 2001(61):382-388 

  14. Phillips DH. Fifty years of benzo[a]pyrene. Nature. 1983(303):468-472 

  15. Santodonato J. Review of the estrogenic and antiestrogenic activity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relationship to carcinogenicity. Chemosphere. 1997(348):35-48 

  16. Thakker D, yagi H, Nordqvist M, Lehr R, Levin WW, et al.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carcinogenesis: the bay-region theory. In Chemical Induction of cancer. New York academic press. 1982. p. 727-747 

  17. Van de Walle I, De Smedt M, Taghon T, De Smet G, Leclercq G. Notch signaling induces cytoplasmic CD3 epsilon expression in human differentiating NK cells. Blood. 2006(110):2696-27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