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ive cases of post-stroke vision disorders are presented. The patients had no distinctive change in vision disorders before Korean medical treatment, which included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After 11 to 28 day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the patients ex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한의치료를 시작하면서 시야장애의 호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면 강력한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본 증례집적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한의치료를 시작하면서 시야장애의 호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사례 5건을 관찰하여 뇌졸중 후 시야장애에 대한 한의치료의 가능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 시야장애의 치료법 현황은 어떠한가? 직업 활동에도 영향을 미쳐 생활에 직접적인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뇌졸중 후 시야장애는 보편적인 재활치 료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영역이며 유의한 치료법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2 .
시야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62-71%가 시야장애를 호소하고 있다1 . 시야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는 보행 시넘어질 위험이 커지고 계단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 생활 반경이 제한된다. 직업 활동에도 영향을 미쳐 생활에 직접적인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뇌졸중 후의 시야장애는 어떤 상태로 발현되는가? 뇌졸중 후 시야장애가 나타나는 경우 대개 그병소가 후대뇌동맥 경색으로 인해 후두엽에 있는 경우가 많다12 . 병소의 위치에 따라 동측반맹, 동측사분맹, 양이측반맹, 편맹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후두엽에 뇌졸중 병소가 있는 경우 시각 경로에 따라 동측반맹이나 동측사분맹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13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epworth LR, Rowe FJ, Walker MF, Rockliffe J, Noonan C, Howard C, et al. Post-stroke Visual Impairmen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ypes and Recovery of Visual Conditions. Ophthalmology Research: An International Journal 2016;5(1):1-43. 

  2. Pollock A, Hazelton C, Henderson CA, Angilley J, Dhillon B, Langhorne P, et al. Interventions for visual field defects in patients with stroke. Stroke 2012;43(4):e37-8. 

  3. Rowe F, Brand D, Jackson CA, Price A, Walker L, Harrison S, et al. Visual impairment following stroke: do stroke patients require vision assessment? Age and Ageing 2009;38(2):188-93. 

  4. Noh HS, Kim SM, Ha YK, Yi CS, Choi DJ. Case Report of a Brain-stem Infarction Patient with Complaints of Diplopia and Eye-movement Impairment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6;37(2):345-51. 

  5. Baek HJ, Park EK, Bhang YH, Kim KI, Lee BJ, Jung SK, et al. A Case Report of Paramedian Pontine Infarction Patient with Diplopia and Eye Movement Impairment. J Int Korean Med 2015;spr:235-41. 

  6. Eom YJ, Hong CH. A Case Study of Ocular Motility Disorders caused by Thalamus, Midbrain and Pontine Infarction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4):130-41. 

  7. Rhee JH, Kim YE, Kim IW, Lee KS, Lee SG. Case of Monocular Partial Oculomotor Nerve Palsy in a Patient with Midbrain and Thalamus Hemorrhag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4(2):333-7. 

  8. Kim DJ, Oh MK, Yun HY, Shin HS. One Case of Cerebral infarction patient with Diplopia prescribed by herbal medication and Jugeo-hwan. J Int Korean Med 2008;fal:140-7. 

  9. Rhim EK, Lee YJ, Lee JS et al. One Case of Dizzness and Diplopia from Pontine Infarction Treated with Joganiknoe-tang. J Int Korean Med 2005;26(4):881-8. 

  10. Jeong EJ, Yang DJ, Chung KH, Roh JH, Moon SK, Cho KH. A Case of the Oculomotor Nerve Palsy in Benedikt’s Syndrome. J Korean Oriental Med 2000;21(3):225-30. 

  11. Ey YL, Son JH, Park MJ, Cho KH, Moon SK, Jung WS. Case Study of Right-side Homonymous Hemianopia in a Stroke Patient Treat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J Int Korean Med 2016;37(2):237-42. 

  12. Trauzettel-Klosinski S. Current Methods of Visual Rehabilitation. Dtsch Arztebl Int 2011; 108(51-52):871-8. 

  13. Chung KC. Anatomy and Physiology of Eye and Visual Pathway. Journal of the KSCN 2001;3(1):55-61. 

  14. Sand KM, Midelfart A, Thomassen L, Melms A, Wilhel, H, Hoff JM. Visual Impairment in Stroke Patients - A Review. Acta Neurol Scand Suppl 2013;196:52-6. 

  15. Pollock A, Hazelton C, Henderson CA, Angilley J, Dhillon B, Langhorne P, et al. Interventions for Visual Field Defects in Patients with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10:CD008388. 

  16. Ali M, Hazelton C, Lyden P, Pollock A, Brady M; VISTA Collaboration. Recovery from poststroke visual impairment: evidence from a clinical trials resourc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3 Feb; 27(2):133-41. 

  17. Celebisoy M, Celebisoy N, Bayam E, Kose T. Recovery of visual-field defects after occipital lobe infarction: a perimetric stud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11 Jun;82(6):695-7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