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CT 융복합 기술 기반 건물 재난관리 연구동향 - 실내 화재·안전관리를 중심으로 -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3, 2018년, pp.65 - 68  

정수현 (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차희성 (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2년,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약칭, 초고층재난관리법)’을 제정하여 자연 재해뿐만 아니라 화재, 테러, 에너지, 통신 등 사회 재난(인위 재난)에 대한 포괄적인 관리를 강화하여 최소한의 안전 조건을 충족하고자 하였다.
  • 본고에서는 건물의 효율적인 재난 예방·대응의 발전을 위한 재난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 재난을 초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IT기술을 활용한 건물 재난관리 관련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센서를 이용한 화재 모니터링, 재실자 및 구조자의 재난대응을 위한 실내 위치추적 및 경로유도 시스템, 당사자 간 정보공유 통합시스템 중심으로 살펴보고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현장에는 소방, 경찰, 응급의료 등 여러 기관과 인력 및 장비가 출동하게 되며 각자의 임무를 유기적으로 수행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재난현장에는 소방, 경찰, 응급의료 등 여러 기관과 인력 및 장비가 출동하게 되며 각자의 임무를 유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현장지휘와 대응활동 관리가 원활해야 한다. 초기 재난대응력 확보를 위해 재실자와 구조자 간의 건물 및 주변의 실시간 상황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재난은 예방뿐만 아니라 재난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초동 대응이 가능해야 하기에 요구되는 것은? 재난은 예방뿐만 아니라 재난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초동 대응이 가능해야 한다. 재난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방대한 대응 정보를 선별적으로 수집하고 정보가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공유되기 위한 정보 전달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목적에 따라 IT기술을 연계하고 관련 기술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위치정보는 무엇인가? 그러나 기존에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위치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s)에 의존한다. GPS는 일부 응용프로그램이나 특정 위치, 특히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기에는 정확한 신호 수신에 한계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이권형 (2017). "효율적인 소방.재난분야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BIM 도입 방안."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건축환경설비, 11(2), pp. 23-34. 

  2. Boukerche, A., Oliveria, H., Nakamura, E., and Lureiro, A. (2008). "Vehicular Ad Hoc Networks: A New Challenge for Localization-Based Systems." Computer Communications, 31(12), pp. 2838-2849. 

  3. Hachkner, A., Oberpriller, H., Ohnesorge, A., Hechtenberg, V., and Muller, G. (2016). "Heterogeneous sensor array: Merging cameras and gas sensors into innovative fire detection system." Sensors and Actuators B, 231(2016), pp. 497-505. 

  4. Chen, A. and Chu, J. C. (2015). "TDVRP and BIM Integrated Approach for In-Building Emergency Rescue Routing." J. Comput. Civ. Eng., 30(5), pp. 1-11. 

  5. Golabchi, A., Akula, M. and Kamat, V. (2014). "Automat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in commercial HVAC systems." Facilities, 34(3/4), pp. 233-246. 

  6. Wu, C. H. and Chen, L. C. (2012). "3D spatial information for fire-fighting search and rescue route analysis within buildings." Fire Safety Journal, 48(2012), pp. 21-29. 

  7. Akcan, H. and Evrendilek, C. (2012). "GPS-free directional localization via dual wireless radios." Computer Communications, 35(9), pp. 1151-1163. 

  8. Tashakkori, H. Rajabifard, A. and Kalantari, M. (2015). "A new 3D indoor outdoor GIS model for indoor emergency response facilitation." Building and Environment, 89(2015), pp. 170-182. 

  9. Yoon, H., Shiftehfar, R. Cho, S., Spencer, B. F., Nelson, M. E., and Agha, G. (2015). "Victim Localization and Assessment System for Emergency Responders." J. Comput. Civ. Eng., 30(2). 

  10. Ko, B. C., Cheng, K. H., and Nam, J. Y. (2009). "Fire detection based on vision sensor and support vector machines." Fire Safety Journal, 44(3), pp. 322-329. 

  11. Yenumula, K. Kolmer, C.. Pan, J., and Su, X. (2015). "BIMControlled Signage System for Building Evacuation." Pro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stainable Desig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118(2015), pp. 284-289. 

  12. Zhang, L. Wang, Y., Shi, H., and Zhang, L. (2012). "Modeling and analyzing 3D complex building interiors for effective evacuation simulations." Fire Safety Journal, 53(2012), pp. 1-12. 

  13. Cheng, M. Chiu, K. Hsieh, Y., Yang, I., Chou, J. and Wu, Y. (2017). "BIM integrated smart monitoring technique for building fire prevention and disaster relief." Automation in Construction, 84(2017), pp. 14-30. 

  14. Li, N., Burcin, B. G., Krishnamachari, B. and Soibelman, L. (2014). "A BIM centered indoor localization algorithm to support building fire emergency response operations." Automation in Construction, 42(2014), pp. 78-89. 

  15. Haichao, R., Lihua, S. and Xiaozhi, G. (2014). "Influences of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on crowd evacuation in building fire." Automation in Construction, 41(2014), pp. 78-82. 

  16. Shiau, Y. C., Tsai, Y. Y., Hsiao, J. Y., and Chang, C. T. (2013). "Development of Building Fir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in BIM Environment." Studies in Informatics and Control, 22(1), pp. 15-24. 

  17. Wang, S., Wang, W., Wang, K., and Shih, S. (2015). "Apply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support fire safety manage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59(2015), pp. 158-167. 

  18. Glaser, S. D. and Tolman, A. (2008). "Sense of Sensing: From Data to Informed Decisions for the Built Environment." J. Infrastruct. Syst., 14(1), pp. 4-14. 

  19. Rueppel, U. and Stuebbe, K. M. (2008). "BIM-Based Indoor-Emergency-Navigation-System for Complex Buildings." Thinghua science and technology, 13(1), pp. 362-3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