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udum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udum Causing Fusarium Wilt of Sunn Hemp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6 no.1, 2018년, pp.58 - 68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홍성준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  홍성기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이영기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김점순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클로탈라리아는 국내에서 토양개량을 위한 질소고정, 토양침식 감소, 잡초 및 선충 억제를 위해 풋거름작물로 이용하고 있다. 2014년, 클로탈라리아를 풋거름작물로 재배하는 완주 지역의 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이 관찰되었다. 감염된 식물체의 잎은 아래잎부터 황화 되면서 시들기 시작하였고, 위쪽 잎도 황화 되었으며, 결국 식물체는 완전히 고사하였다. 감염된 식물체 줄기에서 어두운 색의 자낭각이 다수 관찰되었고, 이 자낭각으로부터 자낭포자를 단포자 분리하여 6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균학적 특성에 의해 분리균은 Fusarium udum(완전세대: Gibberella indica)로 동정되었다. 대형포자의 정단세포는 대부분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고, 소형포자는 단경자에서 false head 상으로 형성되었다. 후벽포자는 균사에서 단일 혹은 무리지어 풍부하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동정 결과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TEF), calmodulin (CAL), histone 3 (HIS3)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재확인되었다. 그 결과, 분리 균주는 NCBI GanBank에 등록된 F. udum과 TEF 유전자는 94.4~96.2%, CAL 유전자는 99.7%, HIS3 유전자는 99.6~99.8%의 상동성을 보였다. 클로탈라리아와 두 품종의 콩을 대상으로 포자현탁액을 토양에 관주 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접종 14~21일 이내에 접종한 클로탈라리아와 태광콩에서 병징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병을 F. udum에 의한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하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nn hemp (Crotalaria juncea) is used as a nitrogen-fixing green manure in Korea to improve soil quality, reduce soil erosion, and suppress weeds and nematodes. In 2014, wilting sunn hemp plants were observed in green manure-cultivated fields in Wanju, Korea. Leaves of the infected plants began y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클로탈라리아와 태광콩에서 병원성이 확인되었으며, 국내에서 이 균의 분포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를 바탕으로 Fusarium udum Butler에 의한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 클로탈라리아와 두 품종의 콩을 대상으로 포자현탁액을 토양에 관주 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접종 14~21일 이내에 접종한 클로탈라리아와 태광콩에서 병징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병을 F. udum에 의한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하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균을 분리하였고, 균학적 특성과 DNA 염기서열분석을 이용하여 동정하였으며, 클로탈라리아를 비롯한 국내 재배 콩 품종을 대상으로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도에서 발견된 클로탈라리아에 발생하는 곰팡이병은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2005년부터 풋거름작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특히 토양 내 뿌리혹선충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이, 참외, 배추 재배 농가에서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2]. 클로탈라리아에 발생하는 곰팡이병으로 인도에서는 Fusarium udum에 의한 시들음병과 Colletotrichum curvatum에 의한 탄저병의 피해가 심각하다고 하였으며, 그 외에 녹병, 균핵병 및 흰가루병 등을 언급한 바 있다[3]. 대만에서도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균으로 F.
클로탈라리아의 다른 명칭은 무엇이 있는가? 클로탈라리아(Crotalaria juncea L.)는 brown hemp, sunn hemp, Indian hemp 혹은 Madras hemp로 불리며, 인도와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남아프리카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섬유작물 혹은 풋거름작물로 재배되어 왔다[1]. 국내에서는 2005년부터 풋거름작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특히 토양 내 뿌리혹선충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이, 참외, 배추 재배 농가에서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2].
Fusarium udum에 의한 병의 징후는 식물체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초기에는 클로탈라리아의 아래 잎부터 서서히 시들면서 황화되기 시작한다(Fig. 1A). 병이 계속해서 진전되면 위쪽잎도 시들어 황화되고, 점차 식물체 전체가 시들다가 결국 말라 죽는다(Fig. 1B). 말라 죽은 줄기의 아래 부분에는 짙은 보라색 내지 검정색의 자낭각이 관찰되기도 한다(Fig. 1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ripathi MK, Chaudhary B, Sarkar SK, Singh SR, Bhandari HR, Mahapatra BS. Performance of sunn hemp (Crotalaria juncea L.) as a summer season (pre-monsoon) crop for fibre. J Agric Sci 2013;5:236-42. 

  2. Cho HS, Seong KY, Park TS, Seo MC, Kim MH, Kang HW, Lee HJ. Effect of seeding rate of crotalaria (Crotalaria juncea L.) on green manure yield and nitrogen production in upland soil. Kor J Soil Sci Fert 2013;46:445-51. 

  3. Chaudhury J, Singh DP, Hazra SK. Sunnhemp (Crotalaria juncea L.). Barrackpore: Central Research Institute for Jute and Allied Fibres; 1997. 

  4. Zhang Z, Ji Z, Zhang H, Huang A, Li J. Identification of the pathogens of crotalaria fusarium wilt and their pathogenicity. Acta Agric Bor Sin 1986;1:72-7. 

  5. Raj SK, Singh R, Pandey SK, Singh BP. Association of a geminivirus with a leaf curl disease of sunn hemp (Crotalaria juncea) in India. Eur J Plant Pathol 2003;109:467-70. 

  6. Kiprop EK, Baudoin JP, Mwang'ombe AW, Kimani PM, Mergeai G, Maquet A. Characterization of Kenyan isolates of Fusarium udum from pigeonpea [Cajanus cajan (L.) Millsp.] by cultural characteristics, aggressiveness and AFLP analysis. J Phytopathol 2002;150:517-25. 

  7. Dhar V, Datta S, Chaudhary RG, Upadhyay JP, Saifulla M, Mishra S, Prajapti RK, Shamim Md. Pathogenic and molecular characterisations of pigeonpea wilt pathogen Fusarium udum. Arch Phytopathol Plant Prot 2012;45:423-36. 

  8. Gerlach W, Nirenberg H. The genus fusarium: a pictorial atlas. Berlin: Paul Parey; 1982. 

  9. Leslie JF, Summerell BA. The fusarium laboratory manual. Ames: Blackwell; 2006. 

  10. Choi HW, Kim JM, Hong SK, Kim WG, Chun SC, Yu SH. Mating types and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sexual state formation of Fusarium fujikuroi isolates. Mycobiology 2009;37:247-50. 

  11. O'Donnell K, Kistler HC, Cigelnik E, Ploetz RC.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the fungus causing Panama disease of banana: concordant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genealogies. Proc Natl Acad Sci USA 1998;95:2044-9. 

  12. Glass NL, Donaldson GC. Development of primer sets designed for use with the PCR to amplify conserved genes from filamentous ascomycetes. Appl Environ Microbiol 1995;61:1323-30. 

  13. Agrawal SC. Diseases of pigeonpea. New Delhi: Concept Publishing; 2003. 

  14. Rai B, Upadhyay RS. Gibberella indica: the perfect state of Fusarium udum. Mycologia 1982;74:343-6. 

  15. Booth C. The genus fusarium. Richmond: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1971. 

  16. Geiser DM, Jimenez-Gasco MM, Kang S, Makalowska I, Veeraraghavan N, Ward TJ, Zhang N, Kuldau GA, O'Donnell K. FUSARIUM-ID v. 1.0: a DNA sequence database for identifying Fusarium. Eur J Plant Pathol 2004;110:473-9. 

  17. Steenkamp ET, Wingfield BD, Coutinho TA, Wingfield MJ, Marasas WF. Differentiation of Fusarium subglutinans f. sp. pini by histone gene sequence data. Appl Environ Microbiol 1999;65:3401-6. 

  18. O'Donnell K, Sutton DA, Rinaldi MG, Sarver BA, Balajee SA, Schroers HJ, Summerbell RC, Robert VA, Crous PW, Zhang N, et al. Internet-accessible DNA sequence database for identifying fusaria from human and animal infections. J Clin Microbiol 2010;48:3708-18. 

  19. O'Donnell K, Humber RA, Geiser DM, Kang S, Park B, Robert VA, Crous PW, Johnston PR, Aoki T, Rooney AP, et al. Phylogenetic diversity of insecticolous fusaria inferred from multilocus DNA sequence data and their molecular identification via FUSARIUM-ID and Fusarium MLST. Mycologia 2012;104:427-45. 

  20. Laurent B, Moinard M, Spataro C, Ponts N, Barreau C, Foulongne-Oriol M. Landscape of genomic diversity and host adaptation in Fusarium graminearum. BMC Genomics 2017;18:203. 

  21. Mishra S, Dhar V. Efficient method of inoculation by Fusarium udum, the incitant of pigeonpea wilt. Indian Phytopathol 2005;58:33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