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안전관리자 직무교육 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Education Process Improvement for Effective Job Training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r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20 no.1, 2018년, pp.23 - 31  

지준석 ((사)한국안전교육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ustrial disasters cause lots of damages from individuals to companies and country. Especially, damages caused by constructional disasters take very large portion in the whole industry and are accompanied by huge personal physical damages.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roles of safety manage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해율이 높은 건설업의 안전관리에 있어서 안전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안전관리자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시행되고 있는 직무교육의 개선방안과 교육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업 안전관리자 직무교육의 실시를 위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육대상자의 수준별 분류, NCS를 활용한 교과목의 선정과 중요도, 교과목별 교수법,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직무교육 모델을 설계하였는데 [Table 14]는 분석결과의 중요도에 따른 교과목별 교육시간의 배치이며 [Table 15]은 교과목별 교수법과 평가방법을 편성한 모델이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고 있는 개략적인 교육방법에 표준적인 교육모델을 적용하여 직무교육제도를 활성화시키고 안전관리자의 직무역량을 강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보건공단의 교육기관 관리의 한계는? 안전관리자 직무교육의 구체적 교육방법이 없다는 것은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에 따라 교육내용과 품질에 대한 편차가 심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안전보건공단에서는 교육기관의 관리를 위해 교육기관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기관에 대한 개선방안등을 마련하고 있으나 직무교육의 원할한 운영과 개선을 위한 교육방법의 제시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특징은? 특히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건설업은 그 사업장의 특성, 공사의 규모, 작업형태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재해형태를 보이고 있다. 박천식(2013)은 건설재해를 막기 위해서는 조직의 관심과 더불어 관리감독자의 안전의식과 안전관리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건설재해를 막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중요한가? 건설업은 그 사업장의 특성, 공사의 규모, 작업형태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재해형태를 보이고 있다. 박천식(2013)은 건설재해를 막기 위해서는 조직의 관심과 더불어 관리감독자의 안전의식과 안전관리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8] 특히 안전관리자의 직무능력은 재해예방의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안전관리자의 직무능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직무교육은 재해예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13), "Foreign Industrial Health and Safety Education System" 

  2. ko, Eun-jung.(2009),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Review of Alternatives for Optimizing Private Security Training in Korea" 

  3. kim Dong-Ha(1999), "Effective Safety Education Schemes at Construction Sites for Enhancing Safety Consciousness of Workers and Engineer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14 No.2, pp163-169 

  4. Gyu-Beom Shim(2003), "Safety Educaion and Accident Prevention in Construction Sites",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Kyung San University, Vol.8, pp.51-69 

  5. Kim, Dong Yeon(2015),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 Model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Major in Industr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6. EunJung Kim, (2008), "A Model for Applying Methods of Safety Education Reflecting Individual Properties of Construction Workers",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7. Park, Chun Sik, (2013), "A Study on Sense of Obligation Improvement of Construction Accident", Dept of Safety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8.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2015), "A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Management of Job Training Institutions of Safety and Health Mangers" 

  9. Oh, Yong-Ah(2006),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0. Clarke.s(1999),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Safet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afety Culture". Journal of Organization Behavior Vol.20, pp.195-198. 

  11. Gregg, L(1991), "Worker Training : An Investment in Safety", Occupational Hazard, Vol.53, No.8, pp. 23-26. 

  12. Jimmie H(2003), "Safety Training Practices for U.S.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5, pp. 31-44. 

  13. Saaty, T. L., Vargas, L. G. and Wendel, R. E.(1983), "Assessing Attribute Weingts by Ratios", omega, 11[1], pp. 9-13. 

  14. Vandenberg, R.J., Park, K.O., Dejoy, D.M., Wilson, M.G., Griffin-Blake, C.S.(2002), "The Healthy Work Organization Model : Expanding the View of Individual Health and Well Being in the Workplace.", Research in Occupational Stress and Well Beng, Vol. 2 pp. 57-1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