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의 개선방향 연구
Improvement Direction on the Assignment of Safety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Sit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0 no.3, 2015년, pp.73 - 79  

김호민 (인천대학교 대학원) ,  우인성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onsideration of current circumstances which management activities for safety performance on construction sites are mostly controlled by safety personnel, it is necessary to maintain qualified safety personnel those who are experienced and have adequate ability. This is a major factor in order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내 건설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이 갖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외 선임기준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공사금액 중심의 선임기준을 투입되는 상시근로자수와 공사 난이도를 고려한 선임기준으로 전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사례중심의 연구이기에 정량적인 선임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좀 더 구체적인 선임기준을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보다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는 현재의 제도가 공사금액 중심으로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을 정하고 있어 갖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상시근로자수와 공사 난이도 등을 반영한 선임기준으로 전향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Policy Division,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Status in 2013", pp.22, 2014. 

  2. S. H. Tae and Y. S. Kim,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System between Inside and Outside Coun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17, No. 4, pp. 80-86, 2002. 

  3. H. S. Ahn, K. J. Lee and E. J. Kim, "A Study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onstruction Amount and Numbers of Workers Assessing the Required Numbers of Safety Managers", Repor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p. 122-125, 2013. 

  4. W. M. Gal, K. S. Son, S. G. Jeong and J. N. Choi, "Improving Qualification of Safety Manager at Construction Sit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1, No. 2, 2009. 

  5. Y. S. Lee and Y. K. Park, "A Study on the Criteria for Appoint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5, pp. 110-11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