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사태 탐지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Landslide Detection and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Aerial Photo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6 no.1, 2010년, pp.47 - 57  

오현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06년 태풍 에위니아, 빌리스, 개미와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산사태가 발생한 진부면 지역을 대상으로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사태 탐지 및 인공신경망과 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산사태 위치는 산사태 발생 전후의 항공사진을 판독 후 현장에서 확인하였다. 취약성 분석을 위해 지형, 지질, 토양, 임상, 선구조, 토지이용도 등의 자료는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산사태와 관련 요인들간의 상대적 가중치는 인공신경망의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경사방향과 경사는 다른 요인들 보다 1.2~1.5배 높게 나타났다. 이 가중치를 이용하여 취약성도를 작성 후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산사태 위치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예측 정확도는 81.44%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ct landslide using digital aerial photography and apply the landslide to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t Jinbu area where many landslides have occurred in 2006 by typhoon Ewiniar, Bili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에 발생한 산사태 전후의 항공사진을 비교 . 탐지하여 정확한 산사태 발생지 선정하였다.
  • 하지만 위성 영상은 산사태 규모가 큰 경우에만 산사태 위치 판독이 가능하고, 아날로그 항공사진(8bit)은 디지털 항공사진(12bit) 에 비해 낮은 방사해상력을 갖고 있어 음영지에 대한 판독력이 낮으며 필름의 현상과 스캔과정으로 인한 이미지 왜곡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항공사진 이용한 산사태 발생지의 정확한 판독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및 교차검증을 수행하였다.
  • 이 논문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기본 연구사업인 , GIS 기반 국토지질정보시스템 실용화 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철민, 2008. 산림자원정보 인벤토리 구축과 활용. 농업환경자원 인벤토리 구축과 활용 전략 국제 워크숍, 농촌진흥청, 6월 26일, 320 p. 

  2. 워터저널, 2007. 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자. 6월호. 

  3.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 1962. 태백산 지구 지질도(1:50,000), 하진부 도폭, 대한지질학회. 

  4. Alman, D. H. and N. Liao, 2001. Overtraining in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 A CRT Color Calibration Example,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27: 122-125. 

  5. Beven, K. J. and M. J. Kirkby,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Bulletin, 24: 43-69. 

  6. Carrara, A., M. Cardinali, R. Detti, F. Guzzetti, V. Pasqui, and P. Reichenbach, 1991. GIS techniques and statistical models in evaluating landslide hazard,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16(5): 427-445. 

  7. Hines, J. W., 1997. Fuzzy and Neural Approaches in Engineering,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209. 

  8. Johnes, D. K., D. Brunsden, and A. S. Goudie, 1983. A preliminarly geomorphological assessment of part of the Karakoram highway, The Q. J. of Engineering Geology, 16: 331-355. 

  9. Lee, S., 2005. Application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its validation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6: 1477-1491. 

  10. Lee, S., 2007a.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the Gangneung area,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8: 4763-4783. 

  11. Lee, S., 2007b.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fuzzy algebraic operators to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Environmental Geology, 52: 615-623. 

  12. Lee, S., J. Choi, and K. Min, 2002.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and verification using the Bayesian probability model, Environmental Geology 43(1-2): 120-131. 

  13. Lee, S., J. W. Choi, and I. Woo, 2004. The effect of spatial resolution on the accuracy of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a case study in Boun, Korea, Geosciences Journal, 8: 51-60. 

  14. Lee, S., J. H. Ryu, K. Min, and J. S. Won, 2003.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using G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8(12): 1361-1376. 

  15. Lee, S., J. H. Ryu, J. S. Won, and H. J. Park, 2004a. Determi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weight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Engineering Geology, 71(3-4): 289-302. 

  16. Lee, S., Ryu, J. H., Lee, M. J., and J. S. Won, 2006.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at Janghung, Korea, Mathematical Geology, 38: 199-220. 

  17. Lee, S., J. H. Ryu, and I. S. Kim, 2007.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and its verification using likelihood ratio, logistic 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case study of Youngin, Korea, Landslides, 4: 327-338, 

  18. Lessing, P. and R. B. Erwin, 1977. Landslides inWest Virginia. In: Coates, D.R. (Ed.), Landslid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oulder, CO, Reviews in Engineering Geology, 3: 245?254. 

  19. Moore, I. D., R. B. Grayson, and A. R. Ladson, 1993. Digital terrain modeling: a review of hydrological, geomorphological, and biological applications. In: Beven KJ, Moore ID (eds) Terrain analysis and distributed modeling in hydrology. Advances in hydrological processes. Wiley, Chichester. 

  20. Ohlmacher, G. C., 2007. Plan curvature and landslide probability in regions dominated by earth flows and earth slides, Engineering Geology 91: 117-134. 

  21. Paola, J. D. and R. A. Schowengerdt, 1995. A review and analysis of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 for classification of remotely-sensed multi-spectral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6: 3033-3058. 

  22. Schneider, S. and M. Gruber, 2008. Radiometric quality of Ultracam-X images., In: Proceedings of ISPRS Congress, Beijing, p. 539. 

  23. Van Westen, C. J. and M. T. J. Terlien, 1996. An approach towards deterministic lan dslide hazard analysis in GIS: A case study from Manizales (Colombia),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1(9): 853-868. 

  24. Wilson, D. J. and J. C. Gallant, 2000. Digital terrain analysis. In: Wilson DJ, Gallant JC (eds.) Terrain analysi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Wiley, New York, 1-2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