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전기차 구매행태에 대한 시장분할 분석
Market Segmented Analysis of Electric Vehicle Purchasing Behavior in Seoul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6 no.2, 2018년, pp.129 - 140  

한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대기연구부) ,  이장호 (한국교통대학교 철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이항로짓모형 기반의 시장분할을 고려한 전기차 선택모형을 추정하여 전기차 잠재 수요층의 전기차 구매행태를 분석하였다. 모형 구축을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차량운전자를 대상으로 전기차 구매가격, 공용 충전인프라 구축 수준,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등의 가상 시나리오에 대하여 전기차 선택여부를 조사하였다. 차급별로 구분하면 경 소형 차급 보유자는 차량 구매가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중 대형 차급 보유자는 공용 충전인프라 구축 수준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으로 분할한 경우 공동주택 거주자는 전기차 선택 시 공용 충전인프라 구축 수준을 가장 크게 고려하지만, 단독주택 거주자는 차량 구매가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자동차 제작사의 전기차 보급 전략이 전략적 구매층을 어디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보여주며, 정부의 전기차 보급정책으로는 공용 충전인프라의 확대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lectric vehicle (EV) purchasing behavior with market segmentation in Seoul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For the model estim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of SP survey generated 24 scenarios with purchase price, charging station availability, and driving range of EV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 차량보유자의 전기차 선택여부에 대한 진술선호(State Preference, SP)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항로짓모형 기반의 전기차 선택모형을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시장분할된 모형을 바탕으로 전기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관련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 차량보유자의 전기차 선택여부에 대한 진술선호(State Preference, SP)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항로짓모형 기반의 전기차 선택모형을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시장분할된 모형을 바탕으로 전기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관련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 검토 결과 국내의 경우 전기차 등의 친환경차를 선택대안으로 고려하여 차량보유자의 구매행태를 분석하는 연구 사례가 많지 않은 반면, 국외의 경우 단순한 기술통계량 분석 뿐 아니라 다양한 모형 추정을 통하여 전기차 구매요인, 구매시기, 수용성 분석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전기차의 선택행태를 모형화하는 데에 있어서 선행연구는 대부분 구매자의 개인속성은 변수로 반영되었지만, 주요한 속성별로 시장분할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지는 못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보유차급, 소득수준, 주택종류, 연령대에 따라 시장을 분할하고, 분할된 시장별로 전기차 선택속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선행연구를 정리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가 추진한 친환경차 시장 활성화 정책은 무엇인가? 최근 정부의 친환경차 시장 활성화 정책은 전기차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7년부터는 전기차 충전시설을 대폭 확충하고 전국 충전소 위치, 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충전소 누리집 운영 등으로 전기차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전기차 특례요금제 시행, 생활 주변 충전인프라 개선,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산 캠페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기차 이용 편의를 개선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으로 2017년 지방자치단체 전기차 보조금 접수는 매우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전기차 구매가 대중화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전기차 구매보조금에 대해 검토해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 또한 2017년 전기차 구매보조금 대상차종의 평균 차량가격이 약 4,000만원인 점을 감안할 경우 현행 전기차 구매보조금 수준은 전기차 구매요인으로 충분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전기차 구매보조금의 단계적 인하, 차량 성능에 따른 지원 차등화, 효율적 재정운용을 위한 지속가능한 형태의 전기차 지원체계 마련 등이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전기차 보급정책으로 공용 충전인프라를 확대해야 하는데, 서울시는 어떤 방법을 시행할 수 있는가?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정부의 전기차 보급정책으로는 공용 충전인프라의 확대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공동주택 주거비율이 높은 서울시의 경우 주거지 및 직장 등이 집중된 지역을 중심으로 충전 인프라를 설치하여야 하겠다. 또한, 승용차 통행자의 하루 중 통행사슬 내 도착지점 유형 비중 등을 분석하여 적정설치지점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 외에도 현행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민간기업 대상 전기차 급속충전기 설치를 위한 업무협약의 지속적 확대,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및 「녹색기업지정제도 운영규정」에 근거하여 기업의 자발적 환경개선을 유도하는 녹색기업 지정제도,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을 근거로 하는 녹색건축인증제도 등에서 전기차 충전인프라 반영 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egirmenci K., Breitner M. H. (2017),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for Electric Vehicles: Is Green More Important than Price and Rang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51, 250-260. 

  2. Egbue O., Long S. (2012), Barriers to Widespread Adoption of Electric Vehicles: An Analysis of Consumer Attitudes and Perceptions, Energy Policy, 48, 717-729. 

  3. Glerum A., Stankovikj L., Themans M., Bierlaire M. (2014), Forecasting the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Accounting for Attitudes and Perceptions, Transportation Science, 48(4), 483-499. 

  4. Gwon O. S., Kim Y. G., Jung J. H. (2012), Analysis on the Impacts of a Bonus-malus System for New Car in Korea Using Discrete-continuous Choice Model,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21(2), 237-269. 

  5. Hackbarth A., Madlener R. (2013), Consumer Preferences for Alternative Fuel Vehicles: A Discrete Choice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25, 5-17. 

  6. Hafner R. J., Walker I., Verplanken B. (2017), Image, Not Environmentalism: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Vehicle Purchasing Decis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97, 89-105. 

  7. Hahn J. S., Gong S. Y., Park J. E., Song H. H. (2015), The Effects of Green Vehicle Incentives on Greenhouse Gas Reduc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8. Hahn J. S., Lee J. H. (2016), Analysis of Green Vehicle Purchasing Behavior Using Logit Model, J. Korean Soc. Transp., 34(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35-145. 

  9. Junquera B., Moreno B., Alvarez R. (2016), Analyzing Consumer Attitudes Towards Electric Vehicle Purchasing Intentions in Spain: Technological Limitations and Vehicle Confidence,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109, 6-14. 

  10. Kim J., Rasouli S., Timmermans H. (2014), Expanding Scope of Hybrid Choice Models Allowing for Mixture of Social Influences and Latent Attitudes: Application to Intended Purchase of Electric Ca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69, 71-85. 

  11. Knez M., Jereb B., Obrecht M. (2014),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ing Decisions of Low Emission Cars: A Study of Sloveni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30, 53-61. 

  12. Lieven T., Muhlmeier S. Henkel S., Waller J. F. (2011), Who Will Buy Electric Cars? An Empirical Study in German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6, 236-243. 

  13. Park S. J., Kim S. S. (2007a), Estimation of a joint Model on Households' Car Ownership and Vehicle Type Choices and the Vehicle use and Policy Implications of fuel prices, The 55th Conference of KST,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41-50. 

  14. Park S. J., Kim S. S. (2007b), A Nested Logit Model of Auto Ownership and Vehicle Type Choices, J. Korean Soc. Transp., 25(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33-141. 

  15. Rudolph C. (2016), How Many Incentives for Electric Cars Affect Purchase Decisions?, Transport Policy, 52, 113-120. 

  16. SchmalfuB F., Muhl K., Krems J. F. (2017), Direct Experience With Battery Electric Vehicles (BEVs) Matters When Evaluating Vehicle Attributes, Attitude and Purchas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46, 47-69. 

  17. Xu G., Miwa T., Morikawa T., Yamamoto T. (2015), Vehicle Purchasing Behaviors Comparison in Two-stage Choice Perspective Before and After Eco-car Promotion Policy in Japa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34, 195-207. 

  18. Zhang Y., Yu Y., Zou B. (2011), Analyzing Public Awareness and Acceptance of Alternative Fuel Vehicles in China: The Case of EV, Energy Policy, 39, 7015-70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