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Kochujang with Add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y-product Extract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3, 2018년, pp.388 - 394  

김진경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과학기술학과) ,  강순아 (호서대학교 보건산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chujang following the addi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product extract powder.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total level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the activities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미자 열매의 생리활성 물질 중에 대부분은 오미자 씨앗에 집중되어있는데, lignan계 물질은 주로 지용성 성분이므로 열수처리과정만으로는 오미자열매의 지용성 생리활성 물질을 추출하지 못하고, 오미자 박에 남아서 그대로 버려지고 있다(Choi 등2006; Kim 등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새로운 식물 소재를 탐색하고자 오미자박 항산화성과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Schizandra chinesnsis)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의 효능은 무엇인가? 오미자는 유기산 및 피토케미칼 성분인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등이 풍부하며(Sung KC 2011), 한방에서는 진해거담, 강장, 자양제 등으로 이용되었다. 또한 혈당 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항비만, 고지혈증 완화, 알코올 해독, 면역 조절, 항암 등의 활성을 지니고 있다(Oh 등 1990; Mok CK 2005; Song 등 2013, Park & Sim 2017, Byun & Lee 2017).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균수에 차이를 보이는가?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않은 고추장 모두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세균 수는 증가하였다. 저장초기에는 많은 수의 세균이 존재하였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고추장보다 세균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은 저장 기간이 증가하여도 세균수의 큰 증가 없이 오히려 저장 초기보다 세균수가 감소되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아 고추장 제조초기 세균의 제어만 조금 개선된다면 저장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은 대조군에 비하여 항산화 활성능 차이를 보이는가? 001). 그리고 DPPH 소거능에서도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고추장은 25.8%의 소거능을 보이고,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에서는 27.1~39.7%으로 오미자박 압착액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에서 DPPH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 Ahn TW. 2016. Effects of supplemental Omija meal on growth performance in weaned pigs. Master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3. Benzie IFF, Strain JJ. 1999.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ogy 299:15-27 

  4. Byun JB, Lee JS. 2017.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rye sourdough containing Omija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9:168-172 

  5. Chang MI, Kim JY, Kim US, Baek SY. 2013. Antioxidant,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gochujang added with cheonggukjang powder made from sword 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221-226 

  6. Cho HE, Choi YJ, Cho EK. 2010.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481-486 

  7. Choi WS, Lee KT. 2002. Quality changes and shelf-life of seasoned pork with soy sauce or Kochujang during chill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240-246 

  8. Choi YW, Takamatsu S, Khan SI, Srinivas PV, Ferreira D, Zhao J, Khan IA. 2006. Schisandrene a dibenzocyclooctadien lignin from Schisandra chinensis: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dibenzocyclooctadien lignans. J Nat Prod 69:356-359 

  9.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3 

  10. Ham SS, Kim SH, Yoo SJ, Oh HT, Chung M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deep sea water salt and sea tangle. Korean J Food Preserv 15:214-218 

  11. Jin SK, Kim CW, Lee SW, Song YM, Kim IS, Park SK, Hah KH, Bae DS. 2004.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seasoning on growth of pathogenic in ferment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103-107 

  12. Jeong EJ, Cha YJ. 2018. Processing of onion vinegar beverage containing omija extract and its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Korean J Food Nutr 31:109-116 

  13. Jeong HS, Joo NM. 2003. Optimiz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processing of omija-pyun (omija jell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429-438 

  14. Kim CH, Kwon MC, Kim HS, Bae GJ, Ahn JH, Chio GP, Choi YB, Ko JR, Lee HY. 2007.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Kadsura japonica Dunal. through conventional fermentation process. Korean J Med Crop Sci 15:162-169 

  15. Kim JS, Choi SY.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Nutr 21:35-42 

  16. Kim MJ, Jeong MK, Chang PS, Lee JH. 2009.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poptotic effect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of black sesame seed extract. Int J Food Sci Technol 44:2106-2112 

  17. Kim MS, Sung HJ, Park JY, Sohn HY. 2017.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fruit, seed and pomace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Life Sci 27:131-138 

  18. Kim OR, Kim DH. 2012. Effects of red-potato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805-1812 

  19. Kim YS, Park G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sauce with concentrated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939-946 

  20. Kim YS, Park YS, Lim M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s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893-897 

  21. Koh JY, Kim KB, Choi SK.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ersimmon syrup. Korean J Culin Res 19:139-150 

  22. Kwon HJ, Park CS.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Preserv 15:587-592 

  23. Lee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with various water types. J Korean Soc Food Cult 26:706-712 

  24. Lee JS, Lee MG, Lee SW. 1989. A study on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ary Culture 4:173-176 

  25. Lee SK. 2015. Supplementary effect of fermented Schisandra chinensis meal,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and Allium tuberosum on the productivity of laying hens. Master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6. Lim SI, Choi SY, Cho GH. 2006.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779-784 

  27. Lim SI, Song SM. 2010.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licorice (Glycyrrhiza glabra), mustard (Brassica juncea), and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560-566 

  28. Mok C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grape juice mixture. Food Eng Prog 9:226-230 

  29.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 71: 109-114 

  30.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M,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6-81 

  31. Oh YS, Baek JW, Park KY, Hwang JH, Lim SB. 2013.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Kochujang with broccoli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675-681 

  32. Park BN, Lee JW. 2017. Antioxidation activity of residue after omija (Schisandra chinensis) juice extract. J Appl Biol Chem 60:95-100 

  33. Park EJ, Ahn JJ, Kim JS, Kwon JH. 2013. Antioxidant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t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667-674 

  34. Park SH, Sim KH.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Omija-pyun (Schizandra chinensis jelly) added with stevia leaf powder. Korean J Food Nutr 30:653-664 

  35. Song YO, Lee SJ, Park HJ, Jang SH, Chung BY, Song YM, Kim GS, Cho JH. 2013. Hepatoprotective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on high-fat diet-induced fatty liver in rat. Korean J Vet Serv 36:45-52 

  36. Sung KC. 2011.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28:290-2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