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이 없는 비만 성인의 hs-CRP 수준과 FBG, Fructosamine 및 HbA1c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the hs-CRP Levels with FBG, Fructosamine, and HbA1c in Non-diabetic Obesity Adul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2, 2018년, pp.190 - 196  

오혜종 (한려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최철원 (한려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이 없는 성인 4,734명을 대상으로 비만 성인의 hs-CRP와 혈당조절 지표들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BMI가 증가할수록 혈당조절지표인 FBG와 fructosamine 및 $HbA_1c$가 증가하였으며, hs-CRP는 비만 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인슐린저항성의 지표인 HOMA-IR도 비만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hs-CRP 수준을 구분하여 혈당조절지표들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hs-CRP가 증가할수록 FBG, fructosamine 및 $HbA_1c$가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여러 관련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hs-CRP가 증가할수록 FBG, fructosamine 및 $HbA_1c$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비만과 hs-CRP, 혈당조절지표는 각각에서 연관성을 보여 당뇨병이 없는 성인 중 높은 BMI에서 증가된 hs-CRP에 의해 당뇨병의 주요한 병인인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혈당조절지표인 FBG, fructosamine 및 $HbA_1c$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도 올바른 식습관 및 규칙적인 운동으로 비만을 예방하여 당뇨병 발생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esity has been reported to be a cluster of risk factors in the pathological ecology, In particular,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inflammation-related factors are associated with diabet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s-CRP level and FBG, fructosamine, and $HbA_1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당뇨병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hs-CRP와 혈당조절지표인 FBG, fructosamine, HbA1c 세 가지 모두를 구분하여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국가 표본조사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이 없는 비만 성인의 hs-CRP와 혈당조절지표들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가 없는 성인 4,734명을 대상으로 hs-CRP와 혈당조절지표들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BMI가 증가할수록 혈당변동지표인 FBG와 2∼3주 전의 중기적인 혈당조절지표인 fructosamine, 2∼3개월 전의 장기적인 혈당조절지표인 HbA1c가 증가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이 없는 성인 4,734명을 대상으로 비만 성인의 hs-CRP와 혈당조절지표들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BMI가 증가할수록 혈당조절지표인 FBG와 fructosamine 및 HbA1c가 증가하였으며, hs-CRP는 비만 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인슐린저항성의 지표인 HOMA-IR도 비만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둘째,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 hs-CRP와 FBG, fructosamine과 HbA1c 측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저질환을 배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혈당조절지표를 제시하여 관련성을 분석함에 연구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 올바른 식습관 및 규칙적인 운동으로 비만을 예방하여 염증 및 당뇨병 발생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제2형 당뇨병환자의 hs-CRP 값과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련성 연구에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정상범위라 할지라도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hs-CRP는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관련성을 시사하며,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도 hs-CRP는 비만의 정도와 인슐린 저항성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25,26]. 현재 염증반응의 표지자와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를 설명하는가설은 만성화된 염증이 인슐린저항성의 유발인자로 작용하거나, 개인이 갖고 있는 기저질환에 의해 hs-CRP 합성을 자극하여 결국에는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27,2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질량지수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으로 체지방률을 잘 반영하며, BMI에 따라 질환의 이환율 및 사망률과의 관련성이 입증되어 있는 비만지표이다[1]. 비만은 제2형 당뇨병 발생의 가장 잘 알려진 위험인자이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고혈당증에 의해 당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우리나라의 고혈당에 의한 당뇨병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고혈당에 의한 당뇨병 유병인구는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추세에 있으며, 국제 당뇨병 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에서는2035년까지 세계 인구 10명 중 1명이 당뇨병에 걸리게 되어 유행병(epidemic)상태를 넘어 당뇨병 범 유행을 예상하고 있다[4]. 우리나라도 당뇨병의 유병률은 2016년에 남자 성인 8명 중 1명(12.9%), 여자 성인은 10명 중 1명(9.6%)이 당뇨병을 앓고 있어 전체 성인의 10%를 육박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제2형 당뇨병 발생의 가장 잘 알려진 위험인자는 무엇인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으로 체지방률을 잘 반영하며, BMI에 따라 질환의 이환율 및 사망률과의 관련성이 입증되어 있는 비만지표이다[1]. 비만은 제2형 당뇨병 발생의 가장 잘 알려진 위험인자이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고혈당증에 의해 당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elborn TA, Knuiman MW, Vu HT. Body mass index and alternative indices of obesity in relation to height, triceps skinfold and subsequent mortality: the Busselton health stud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24:108-115. 

  2. Carlsson S, Ahlbom A, Lichtenstein P, Andersson T. Shared genetic influence of BMI, physical activity and type 2 diabetes: a twin study. Diabetologia. 2013;56:1031-1035. doi: 10.1007/s00125-013-2859-3. 

  3. Scragg R, Sowers M, Bell C,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rum 25-hydroxyvitamin D, diabetes, and ethnicity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Care. 2004;27:2813-2818. 

  4.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diabetes atlas, Sixth edition in chapter 2 the global burden. Basel, Switzerland,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3;6:29-49, http://hdl.handle.net/10536/DRO/DU:30060687.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Repor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6.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0. Diabetes Care. 2010;33(Suppl 1):11-61. doi: 10.2337/dc10-S011. 

  7. Di Mauro M, Lazzarini D, Fumelli P, Carle F, Kosmidis 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diabetes mellitus: which correlation among fructosamine, glycosylated haemoglobin and exchangeable potassium. Minerva Med. 2007;98:633-638. 

  8. Krishnamurti U, Steffes MW. Glycohemoglobin: a primary predictor of the development or reversal of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Clin Chem. 2001;47:1157-1165. 

  9. Choi KM, Lee J, Lee KW, Seo JA, Oh JH, Kim SG, et al. Comparison of serum concentrations of C-reactive protein, TNF-alpha, and interleukin 6 between elderly Korean women with normal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Diabetes Res Clin Pract. 2004;64:99-106. 

  10. Rohde LE, Hennekens CH, Ridker PM. Survey of C-reactive protei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pparently healthy men. Am J Cardiol. 1999;84:1018-1022. 

  11. Brook RD, Bard RL, Rubenfire M, Ridker PM, Rajagopalan S. Usefulness of visceral obesity (waist/hip ratio) in predicting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in healthy overweight adults. Am J Cardiol. 2001;88:1264-1269. 

  12. Hong AR, Lee KS, Lee SY, Yu JH. Association of current and past smoking with metabolic syndrome in 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9;42:160-164. 

  13. Madsen C, Nafstad P, Eikvar L, Schwarze PE, Ronningen KS, Haaheim LL. Association between tobacco smoke exposure and levels of C-reactive protein in the Oslo II Study. Eur J Epidemiol. 2007;22:311-317.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Repor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15. Thacher TD, Clarke BL. Vitamin D insufficiency. Mayo Clinic Proc. 2011;86:50-60. doi: 10.4065/mcp.2010.0567. 

  16. Jung HK. Clinical chemistry II. 2nd ed. Seoul: Chung Ku Publisher; 2015. p40-41. 

  17. Matth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rner RC.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man. Diabetologia. 1985;28:412-419. 

  18. Carlsson S, Ahlbom A, Lichtenstein P, Andersson T. Shared genetic influence of BMI, physical activity and type 2 diabetes: a twin study. Diabetologia. 2013;56:1031-1035. doi: 10.1007/s00125-013-2859-3. 

  19. Shin KA.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in abdominal obesity elderly women. Korean J Clin Lab Sci. 2017;49:121-127. https://doi.org/10.15324/kjcls.2017.49.2.121. 

  20. Barnes PJ. Immunology of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at Rev Immunol. 2008;8:183-192. doi: 10.1038/nri2254. 

  21. Papanicolaou DA, Wilder RL, Manolagas SC, Chrousos GP. The pathophysiologic roles of interleukin-6 in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1998;128:127-137. 

  22. Ford ES, Galuska DA, Gillespie C, Will JC, Giles WH, Dietz WH. C-reactive protein and body mass index in children: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1994. J Pediatr. 2001;138:486-492. 

  23. Moller DE. Potential role of TNF-alpha in the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Trends Endocrinol Metab. 2002;11:212-217. 

  24. Shoelson SE, Lee J, Goldfine AB.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 2006;116:1793-1801. 

  25. Temelkova-Kurktschiev T, Siegert G, Bergmann S, Henkel E, Koehler C, Jaross W, et al. Subclinical inflammation is strongly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but not to impaired insulin secretion in a high risk population for diabetes. Metabolism. 2002;51:743-749. 

  26. Festa A Jr. D'Agostino R, Howard G, Mykkanen L, Tracy RP, Haffner SM. Chronic subclinical inflammation as part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the Insulin Resistance Atherosclerosis Study (IRAS). Circulation. 2000;102:42-47. 

  27. Pickup JC, Crook MA. Is type II diabetes mellitus a disease of the innate immune system?. Diabetologia. 1998;41:1241-1248. 

  28. Endo M, Yanagisawa K, Tsuchida K, Okamoto T, Matsushita T, Higuchi M, et al. Increased level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aqueous humor of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Horm Metab Res. 2001;33:317-322. 

  29. Sato T, Iwaki M, Shimogaito N, Wu XG, Yamagishi S, Takeuchi M. TAGE (toxic AGEs) theory in diabetic complications. Curr Mol Med. 2006;6:351-3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