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격특성이 통원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들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ersonality Trait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Out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2, 2018년, pp.25 - 36  

문종훈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ersonality trait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out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therapy. Methods : The current study included 52 outpatients who received occupational therapy in a rehabilitative and general ho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격특성이 통원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들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성격특성은 문화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인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성격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지만 국내에서는 우울과 불안에 대해서만 연구되었으며(Hwang 등, 2011; 문정환 등, 2014),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성격특성이 통원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들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 성격특성은 문화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인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성격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지만 국내에서는 우울과 불안에 대해서만 연구되었으며(Hwang 등, 2011; 문정환 등, 2014),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성격특성이 통원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들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인지기능이 정상범위에 속해 있는 대상자들이었기 때문에 심각한 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들은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외래를 통해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므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와 같은 입원환자의 특성과는 다를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횡단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종단연구를 통하여 성격특성과 삶의 질을 측정해야 명확한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quality of life)이란 개인의 건강, 정신적인 상태, 자립수준과 사회 및 환경적 관계에 의해 다양하게 영향을 받는 포괄적인 개념이다(WHOQOL group, 1995). 뇌졸중은 개인의 질병부담을 가중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질환이다(Bays, 2001).
뇌졸중후 임상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졸중은 개인의 질병부담을 가중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질환이다(Bays, 2001). 뇌졸중 후 임상 증상은 편측마비, 운동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삼킴장애와 같은 신경학적 장애가 손상위치, 영역에 따라서 달리 나타날 수 있으며, 장애가 심할수록 우울증과 같은 정신의학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Langhorne 등, 2000). 우울증은 의욕 저하 및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생활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이다.
McCrae와 Costa 성격특성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성격특성(personality trait)은 개인과 개인을 구별하는 특징적이며, 지속적인 모습을 말한다. McCrae와 Costa(1997)는 5개의 성격요인을 외향성(extraversion), 친화성(agreeable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 신경증 (neuroticism), 개방성(openness)으로 구분하였다. 외향성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을 갖는 성향이며, 친화성은 편안하고 조화로운 대인관계에 관한 특성 이며, 성실성은 사회적인 규칙 및 규범을 지키려는 특성 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문정환, 김선영, 김재민 등(2014). 뇌졸중 환자에서 성격특성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생물치료정신의학, 20(2), 151-159. 

  2. 문정인(2004). SS-QOL 척도를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등(1995).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표준화 연구 1: 신뢰도 및 요인분석. 정신병리학, 4(1), 77-95. 

  4. 한홍무, 염태호, 신영우 등(1986).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정상집단을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회지, 25(3), 487-500. 

  5. Aben I, Denollet J, Lousberg R, et al(2002). Personality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a 1-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Stroke, 33(10), 2391-2395. 

  6. Aben I, Lodder J, Honig A, et al(2006). Focal or generalized vascular brain damage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after stroke: a 1-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Int Psychogeriatry, 18(1), 19-35. 

  7. Bays CL(2001).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a research synthesis. J Neurosci Nurs, 33(6), 310-316. 

  8. Beck AT, Ward CH, Mendelson M, et al(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4(1), 561-571. 

  9. Branje SJ, van Lieshout CF, van Aken MA(2004). Relations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support in adolescents’ families. J Pers Soc Psychol, 86(4), 615-628. 

  10. Camisa KM, Brockbrader MA, Lysaker P, et al(2005). Personality traits in schizophrenia and related personality disorders. Psychiatry Res, 133(1), 23-33. 

  11. Carson AJ, MacHale S, Allen K, et al(2000). Depression after stroke and lesion location: a systematic review. Lancet, 356(9224), 122-126 

  12. Diener E, Seligman ME(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 Sci, 13(1), 81-84. 

  13. Elmstahl S, Sommer M, Hagberg B(1996). A 3-year follow-up of stroke patients: relationships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rch Gerontol Geriatr, 22(3), 233-244. 

  14. Fallahpour M, Jonsson H, Taghi Joghataei M, et al(2013). "I am not living my life": Lived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veryday occupations after stroke in Tehran. J Rehabil Med, 45(6), 528-534. 

  15. Gonzalez-Abraldes I, Millan-Calenti JC, Lorenzo-Lopez L, et al(2013). The influence of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on the perceived burden of dementia caregivers. Arch Gerontol Geriatr, 56(1), 91-95. 

  16. Greenop KR, Almeida OP, Hankey GJ, et al(2009). Premorbid personality traits are associated with post-strok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 three-month follow-up study in Perth, Western Australia. Int Psychogeriatr, 21(6), 1063-1071. 

  17. Hackett ML, Anderson CS(2005). Predictors of depress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Stroke, 36(10), 2296-2301. 

  18. Holahan CJ, Moos RH, Bonin L(1999). Social context and depression: An integrative stress and coping framework. In: Joiner T, Coyne J, editors. The interactional nature of depression: Advances in interpersonal approach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39-63. 

  19. Hwang SI, Choi KI, Park OT, et al(2011). Correlations between pre-morbid personality and depression scales in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35(3), 328-336. 

  20. John OP, Srivastata S(1999). The big 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theoretical perspertives. In: Pervin LA, John OP(eds): Handbook of Personality,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pp.102-138. 

  21. Jonsson AC, Lindgren I, Hallstrom B, et al(2005).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and their informal caregivers. Stroke, 36(4), 803-808. 

  22. Kaji Y, Hirata K, Ebata A(2006). Characteristics of post-stroke depression in Japanese patients. Neuropsychobiology, 53(3), 148-152. 

  23. Kim SY, Kim JM, Yoo JA, et al(2010). Standardization and validation of Big Five Inventory-Korean Version(BFI-K) in elders. Korean J Biol Psychiatry, 17(4), 15-25. 

  24. Langhorne P, Stott DJ, Robertson L, et al(2000). Medical complications after stroke a multicenter study. Stroke, 31(6), 1223-1229. 

  25. Lee-Baggley D, Preece M, Delongis A(2005). Coping with interpersonal stress: role of big five traits. J Pers, 73(5), 1141-1180. 

  26. Gosling SD, Rentfrow PJ, Swann WB(2003). A very brief measure of the Big-Five personality domains. J Res Pers, 37(6), 504-528. 

  27. McCrae RR, Costa Jr PT(1997). Personality trait structure as a human universal. Am Psychol, 52(5), 509-516. 

  28. Meyer B, Ringel F, Winter Y, et al(201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barachnoid haemorrhage. Cerebrovasc Dis, 30(4), 423-431. 

  29. Morris PL, Robinson RG, Raphael B(1990). Prevalence and course of depressive disorders in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Int J Psychiatry Med, 20(4), 349-364. 

  30. Morris PL, Robinson RG, Raphael B, et al(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for affective dis- order and poststroke depression in hospitalised stroke patients. Aust N Z J Psychiatry, 26(2), 208-217. 

  31. Morris PL, Robinson RG(1995). Personality neuroticism and depression after stroke. Int J Psychiatry Med, 25(1), 93-102. 

  32. Ormel J, Oldehinkel AJ, Brilman EI(2001). The interplay and etiological continuity of neuroticism, difficulties, and life events in the etiology of major and subsyndromal, first and recurrent depressive episodes in later life. Am J Psychiatry, 158(6), 885-891. 

  33. Paolucci S, Gandolfo C, Provinciali L, et al(2005). Quantification of the risk of post stroke depression: the Italian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DESTRO. Acta Psychiatr Scand, 112(4), 272-278. 

  34. Pervin LA, John OP(1999).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2nd ed, New York, Uilford. 

  35. Richter J, Schwarz M, Bauer B(2008).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etermin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an outcome indicator of geriatric inpatient rehabilitation. Curr Gerontol Geriatr Res, doi: 10.1155/2008/474618. 

  36. Robinson RG, Kubos KL, Starr LB, et al(1984). Mood disorders in stroke patients. Importance of location of lesion. Brain, 107(Pt 1), 81-93. 

  37. Schmitt DP, Allik J, McCrae RR, et al(2007).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big five personality traits: patterns and profiles of human self-description across 56 nations. J Cross Cult Psychol, 38(2), 173-212. 

  38. Steunenberg B, Braam AW, Beekman AT, et al(2009). Evidence for an association of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ith recurr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Int J Geriatr Psychiatry, 24(12), 1470-1477. 

  39. Stone J, Townend E, Kwan J, et al(2004). Personality change after stroke: some preliminary observation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75(12), 1708-1713. 

  40. Storor DL, Byrne GJA(2006). Premorbid personality and depression following stroke. Int Psychogeriatr, 18, 457-469. 

  41. Van De Ven MO, Engels RC(2011).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asthma: the role of personality, coping strategies, and symptom reporting. J Psychosom Res, 71(3), 166-173. 

  42. Visser-Meily JM, Rhebergen ML, Rinkel GJ, et al(2009). Long-ter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symptom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troke, 40(4), 1526-1529. 

  43. WHOQOL group(199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 Sci Med, 41(10), 1403-1409. 

  44. Williams LS, Weinberger M, Harris LE, et al(1999).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Stroke, 30(7), 1362-1369. 

  45. Yoo TY, Kim MU(1997). The big five personality test: Development and criterion-related validation. Korean J Ind Organ Psychol, 10, 85-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