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법의간호 역량에 대한 진화론적 개념분석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Forensic Nursing Competency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2, 2018년, pp.34 - 50  

조나영 (부산지방경찰청 과학수사과)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  손연정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larify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forensic nursing competency. Method : Rodger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wenty nine articles on forensic nursing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f theology, medicine, psychology, and nursing 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자들은 각 논문마다 분석한 내용은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다시 점검하면서 개념과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속성의 집합이 다르게 표현되어 개념을 보다 잘 정의하는데 도움이 되는 대체용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념의 중요한 속성을 일부 포함하고 있거나 비슷하지만 그 개념과 동일하지는 않은 관련개념에 대해 서술하여, 개념을 둘러싸고 있는 개념의 네트워크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밝혔다.
  • 본 연구는 법의간호 역량의 개념을 파악하고자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관점에서 개념적인 속성을 고찰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법의간호 역량은 법의학적 문제에 대한 인지, 다학제간 통합적 지식, 법과학 교육 및 훈련, 전문 경력 개발, 법의간호에서 근거기반의 실무,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법의간호, 안전 및 보안,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지관계의 속성을 지니고, 이들 속성을 통해 역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법과학적 관심, 법과학적 경험, 법적 현장의 대상자에 대한 간호사의 견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법의간호 역량의 결과로 간호의 지식체 를 구축하고, 전문성을 향상시켜 사회정의와 인권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법의간호 역량이라는 개념의 속성과 맥락적 근거를 확인하기 위하여 첫 번째 단계로 법의간호 역량와 유사한 표현을 확인하고 논문 검색을 시행하였다. 법의 간호와 유사한 개념은 ‘법간호’, ‘법의간호’, ‘법 의학’, ‘법과학’ ‘forensic science’, ‘forensic nursing’, ‘legal nursing’이었으며, 역량은 ‘역량 competency and competence’, ‘역할 role’, ‘수행 performance’, ‘실무 practice’이었다.
  •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개념분석 방법에 따라 법의 간호역량의 속성, 선행요인, 결과를 도출하는 개념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법의 간호역량의 개념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개념 정의를 명확히 하여, 실무자들 간에는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제공하고,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향상을 위해 법의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방법에 따른 법의간호 역량 개념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사회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여 법의간호 역량의 속성, 선행요인, 결과를 확인하여 법의간호 역량의 개념을 파악한 것이다. 그러나 법의간호의 역사가 짧고 국내는 최근에야 관련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검색한 문헌 또한 임상간호에 국한한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있다.
  • 이를 위해서는 법의간호 역량의 속성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개념분석 방법으로 법의 간호역량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고 명확한 이해를 돕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포함 기준을 충족하는 연구 논문은 29개이며 이를 분석한 결과, 양적 연구가 16편, 질적연구 3편, 문헌고찰 8편, 이론 개발 1편, 사례 연구 1편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법의 간호 역량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역량의 속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의간호란 무엇인가 법의간호는 forensic nursing으로 ‘forensic’은 고대 로마시대의 ‘포럼(forum)의 또는 포럼 전에’라는 라틴어 ‘forensis’에서 유래 되었다. ‘법정의, 재판에 관한’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법정 변론을 위해 이용되는 과학, 즉 ‘법정과학’, ‘법과학’ 이라는 개념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의학에서는 ‘법의학-’, ‘법의학적인’의 의미로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forensic nursing을 ‘법간호’, ‘법정간호’로 해석되기도 하였으나 법의간호(法醫看學)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Kim et al.
간호사의 법의 간호학적 활동이란 무엇인가 간호사의 법의 간호학적 활동은 풍부한 생물학적, 심 리적, 사회적, 영적 교육을 근거로 한 전인간호에서 법률적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한 간호의 확대이며(Lynch, 2006), 국제법의간호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 IAFN)와 미국간호사협회(American Nurses Association, ANA)는 법의간호를 의료 및 법적 논쟁과 관련된 사망을 비롯하여 외상의 예방과 치료, 과학적 조사, 증거수집과 보존, 분석 등에 있어서 간호사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간호에 법과학 (forensic science)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ensic Nurse, 2017;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9).
법의간호 역량을 강화시켜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상에서 간호사들은 사건과 관련된 생체증거물, 흔적증거물, 물품 등 법적사례의 증거물을 수집, 보관, 보존하고 관련 (수사)기관에 인계를 하고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른 의료인, 구급대원, 관할 경찰관 및 기타 법서비스와 관련된 사람과 함께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으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Lynch, 2006). 이런 다양한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법의간호 역량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dool, N. N., & Brysiewicz, P. (2009). A description of the forensic nursing role in emergency department in Durban, South Africa.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5(1), 16-21. 

  2. Alsaif, D. M., Alfaraidy, M., Alsowayigh, K., Alhusain, A., & Almadani, O. M. (2014). Forensic experience of Saudi nurses; an emerging need for forensic qualifications. Journal of Forensic and Legal Medicine, 27, 13-16. 

  3. Asci, O., Hazar, G., & Sercan, I. (2015). The approach of prehospital health care personnel working at emegency stations towards forensic cases. Turkish Journal of Emegency Medicine, 15(3), 131-135. 

  4. Bowen, M., & Mason, T. (2012). Forensic and non-forensic psychiatric nursing skills and competencies for psychopathic and personality disordered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 3556-3564. 

  5. Cashin, A., Newman, C., Eason, M., Thorpe, A., & O'Discoll, C. (2010). An ethnographic study of forensic nursing culture in an Australian prison hospital.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1), 39-45. 

  6. Cole, J., & Logan, T. K. (2008). Negotiating the challenges of multidisciplinary responses to sexual assault victims: sexual assault nurse examiner and victim advocacy program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1(1), 76-85. 

  7. Cunh, M., Liborio, R., & Coelho, M. (2016). Knowledge questionnaire over forensics nursing practices.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17, 1089-1097. 

  8. Dash. S. K., Patel, S., & Chavali, K. (2016). Forensic nursing-global scenario and Indian perspective. Journal of Forensic and Legal Medicine, 42, 88-91. 

  9. Doyle, M., & Jones, P. (2013). Hodges' health career model and its role and potential application in forensic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7), 631-640. 

  10. Finn, C. (2011). Forensic nurses' experiences of receiving child abuse disclosure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6(4), 252-262. 

  11. Han, M. H., & Hong, H. S. (2012).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forensic nursing role in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4), 291-299. 

  12. Hong, H. S., Kim, D. J., Kim, H. J., Seong, H. J., Yoon, W. J., & Na, Y. K. (2013). Nursing student's awareness or the forensic nurse's role and needs of the forensic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3), 115-121. 

  13. Isil, K., Ozbek, Y. S., & Ahmet, K. (2014). Assesment of the knowledge level of nursing students on forensic nursing.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31, 130-134. 

  14. Kim, G. R., & Sung, M. H. (2014). Influencing factors on forensic nursing role performanc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 64-74. 

  15. Koskinen, L., Likitalo, H., Aho, J., Vuorio, O., & Meretoja, R. (2014). The professional competence profile of finnish nurses practising in a forensic sett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4), 320-326. 

  16. Martin, T. (2001). Something special: forensic psychiatric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8(1), 25-32. 

  17. Martin, T., Donley, M., Parkes, J., & Wilkins, C. F. (2007). Evaluation of a forensic psychiatric setting to provide a graduate nurse programme.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16(1), 28-34. 

  18. Mason, T. (2002). Forensic psychiatric nursing: a literature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of role tension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5), 511-520 

  19. Mason, T., Lovell, A., & Coyle, D. (2008). Forensic psychiatric nursing: skills and competencies: I role dimension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2), 118-130. 

  20. Mason, T., Coyle, D., & Lovell, A. (2008). Forensic psychiatric nursing: skills and competencies: II clinical aspect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2), 131-139. 

  21. McCracken, L. M. (1999). Living forensics: a natural evolution in emergency care.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7(4), 211-216. 

  22. McGillivray, B. (2005). The role of Victorian emergency nurses in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forensic evid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13(2), 95-100. 

  23. Meiner, S. E. (2005). The legal nurse consultant. Geriatric Nursing, 26(1), 34-36. 

  24. Miller, C. L., Leadingham, C., McKean, J. R., & McManus, C. (2010). Forensic nursing: An emerging competency for contemporary practice.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5(3), 98-103. 

  25. Rask, M., & Brunt, D. (2007). Verbal and social interactions in the nurse-patient relationship in forensic psychiatric nursing care: a model and its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foundation. Nursing Inquiry, 14(2), 169-176. 

  26. Rask, M., & Aberg, J. (2002). Swedish forensic nursing care: nurses’ professional contributions and educational need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5), 531-539. 

  27. Salzmann-Erikson, M., Rydlo, C., & Wiklund Gustin, L. (2016). Getting to know the person behind the illness-the significance of interacting with patients hospitalised in forensic psychiatric setting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5, 1426-1434. 

  28. Timmons, D. (2010). Forensic psychiatric nursing: a description of the role of the psychiatric nurse in a high secure psychiatric facility in Ireland.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7), 636-646. 

  29. Yoo, Y. S., Lee, S. K., Cha, K. S., & Cho, O. H. (2012). Emergency department nurses' recognition of and education needs for forensic nurs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ults Nursing, 24(5), 499-5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