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혁신클러스터의 진화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Innovation Cluster : Focusing on the Daedeok Innopolis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1 no.4, 2018년, pp.1207 - 1236  

황두희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정영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정선양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혁신클러스터의 수명주기에 관한 논의를 심화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혁신클러스터인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성장과 발전 과정의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특징을 살펴보고 혁신클러스터 수명주기 이론에 기반하여 특정한 혁신클러스터가 성장 단계별로 어떠한 정책을 통해 구축되고 활성화되었는지의 현상과 각 주기별 유형적 특성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성장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와 발전과정에서 제도 및 정책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대덕연구개발클러스터는 진화적 관점에서 잠재기, 출현기, 성장기, 성숙기의 단계(dimensions)적 특성을 가진다. 둘째, 대덕연구개발특구는 기본적으로 정부주도적 하향식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당히 포괄적이며 유연한 우산정책적 특성을 가진 혁신클러스터 정책 구조(governance), 조치(measurements), 도구(tools)가 적용되고 있다. 셋째, 이와 같은 수명주기의 각 분면과 단계에서 혁신장애로 인식되는 점을 대상으로 정책적 기조를 재조정하면서 적응적 발전하는 것이 포착된다. 이성에서 혁신클러스터의 성장측면에서 구조적 접근보다 미세하게 정책이 적용되어야 하고 발전과정에서 변형(transformation)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혁신클러스터의 진화론적 관점에서 각 단계별 유형적 특징 및 진화의 방향을 고찰하여 정부의 혁신클러스터 정책개입의 효과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plores the life cycle of innovation cluster, especially focussing on the Korean representative innovation cluster, Daedeok Innopolis. For this purpose, we review theoretically how an innovation cluster has been growing up. In particular, we discuss how a cluster has been formed and ac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혁신클러스터의 역할은 무엇인가? 혁신클러스터는 지역의 산업군집을 이끌어 내는 효과적인 단위일뿐만 아니라 혁신정책을 운용하는 단위로써 지난 30년간 혁신클러스터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어오고 있다. 혁신클러스터가 지역 및 산업성장에 있어서 구심적 공간으로써 작용하기도 하지만, 지역 내의 지식을 창출・확산・활용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혁신의 요람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논의의 가치가 크다. 이러한 이유로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는 혁신클러스터를 중요한 정책 대상과 수단으로 파악하고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정선양, 2018).
클러스트의 성숙기 및 지속 가능기의 막바지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이와 같은 성숙기 및 지속 가능기의 클러스터는 지역의 혁신・산업의 조형에 영향을 미치며, 환경을 조성하기도 하며, 이것의 발전과정에 매우 지배적인 위치에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단계의 막바지에는 클러스터 내의 다양성이 매우 낮아지고, 기술적 궤적이 고갈되어 쇠퇴되는 상황에 이른다. 이 단계에서 클러스터의 재생을 위한 새로운 이종성을 부여하거나 주도적 산업 및 기술경계에 대한 이동(shift)을 시도된다(Menzel and Fornahl, 2009: 226-227).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정부주도적 하향식 구조로 인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대덕연구개발클러스터는 진화적 관점에서 잠재기, 출현기, 성장기, 성숙기의 단계(dimensions)적 특성을 가진다. 둘째, 대덕연구개발특구는 기본적으로 정부주도적 하향식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당히 포괄적이며 유연한 우산정책적 특성을 가진 혁신클러스터 정책 구조(governance), 조치(measurements), 도구(tools)가 적용되고 있다. 셋째, 이와 같은 수명주기의 각 분면과 단계에서 혁신장애로 인식되는 점을 대상으로 정책적 기조를 재조정하면서 적응적 발전하는 것이 포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과학기술부.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 (2003), 대덕연구단지 30년사(1973-2003), 서울.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03), 대덕연구단지관리법, (개정 2003-06-30 대통령령 제18039호(공업배치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시행령), 개정 2004-02-25 대통령령 제18292호(산업집적활성화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시행령), 폐지 2005-07-27 대통령령 제18969호(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0가),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 2010.3.10.], [법률 제9763호, 2009.6.9., 타법개정].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0나),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 2018.4.17.], [법률 제15344호, 2018.1.16., 타법개정].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 2017.07.26.], [법률 제14839호]. 

  6. 국토교통부 (2018),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시행 2018.3.27.], [법률 제15309호, 2017.12.26., 타법개정]. 

  7. 김선근.정지복 (2005), 대덕밸리 IT 및 BT 클러스터의 Global Value Chain 실증분석,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박준병 (2005), "혁신클러스터 성공전략- 대덕밸리 혁신클러스터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대한회계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움 추계학술논문발표대회, 5-32. 

  9. 송성수 (2009), "과학기술거점의 진화 : 대덕연구단지의 사례", 과학기술학연구, 9(1): 33-55. 

  10.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2), 2011년도 연구개발특구 통계조사 최종보고서, 대전. 

  11.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1), "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안)", 대전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12. 이상빈.한인수.오근엽.성을현.노준화.유병주 (2008),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기업네트워크 특성 분석", OUGHTOPIA, 23(2): 217-243. 

  13. 이선제.정선양 (2014), "혁신클러스터 내에서의 혁신주체들간 상호작용의 변화 : 대덕연구개발 특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7(4): 820-844. 

  14. 이선제 (2018), "혁신클러스터에서 혁신중개자가 기업의 흡수역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임덕순 (2008), "혁신클러스터 발전과정 및 성공요인 : 대덕특구 사례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연구, 1(1): 15-38. 

  16. 정선양 (2018), 기술과 경영, 서울 : 시대가치. 

  17. 정선양.황두희.임종빈 (2016), "혁신클러스터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9(4): 848-872. 

  18. 최종인 (2008), "혁신클러스터 성공 요인 :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학회지, 1(1): 67-90. 

  19. 최종인.장승권.홍길표 (2011), "혁신클러스터 지표개발", 2011년 혁신클러스터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 한세억 (2007), "혁신클러스터의 정책성취와 과제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2007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 Asheim, B., Cooke, P. and Martin, R. (2006), The Rise of the Cluster Concept in Regional Analysis and Policy: A Critical Assessment, Routledge. 

  22. Asheim, B. (2007), "Differentiated Knowledge Bases and Varietie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novation: The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20(3): 223-241. 

  23. Bathelt, H. (2001), "Regional Competence and Economic Recovery: Divergent Growth Paths in Boston's High Technology Economy",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13(4): 287-314. 

  24. Boekholt, P. and Thuriaux, B. (1999), "Public Policies to Facilitate Clusters: Background, Rationale and Policy Practice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in: OECD (Ed.),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OECD: Paris, 381-412. 

  25. Benneworth, P. and Henry, N. (2004), "Where Is the Value Added in the Cluster Approach?, Hermeneutic Theorising, Economic Geography and Clusters As a Multiperspectival Approach", Urban Studies, 41(5-6): 1011-1023. 

  26. Brenner, T. and Schlump, C. (2011), "Policy Measures and Their Effects in the Different Phases of the Cluster Life Cycle", Regional Studies, 45(10): 1363-1386. 

  27. Cooke, P., Uranga, M. G. and Etxebarria, G. (1997),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ternati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 Research Policy, 26(4-5): 475-491. 

  28. Duranton, G. (2011), "California Dreamin: The Feeble Case for Cluster Policies", Review of Economic Analysis, 3: 3-45. 

  29. Ebbekink, M. and Lagendijk, A. (2013), "What's Next in Researching Cluster Policy: Place-Based Governance for Effective Cluster Policy", European Planning Studies, 21(5): 735-753. 

  30. Enright, M. J. (2003), "Regional Clusters: What We Know and What We Should Know", In: Brocker J., Dohse D., Soltwedel R. (eds) Innovation Clusters and Interregional Competition. Advances in Spatial Science. Springer, Berlin, Heidelberg, 99-129. 

  31. Flanagan, K., Uyarra, E. and Laranja, M. (2011), "Reconceptualising the 'Policy Mix' for Innovation", Research Policy, 40(5): 702-713. 

  32. Flanagan, K. and Uyarra, E. (2016), "Four Dangers in Innovation Policy Studies and How to Avoid Them", Industry and Innovation, 23(2): 177-188. 

  33. Frenken, K., Cefis, E. and Stam, E. (2015), "Industrial Dynamics and Clusters: A Survey", Regional Studies, 49(1): 10-27. 

  34. Henry, N. and Pinch, S. (2006), "Knowledge and Clusters", In: Pitelis, C., Sugedn, R., and Wilson, J. R., Clusters and Globalisation, The Development of Urban and Regional Economies, Edward Elgar: Cheltenham, 114-132. 

  35. Hospers, G. J. and Beugelsdijk, S. (2002), "Regional Cluster Policies: Learning by Comparing?", Kyklos, 55(3): 381-402. 

  36. Howells, J. (2005), "Innovation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 Matter of Perspective?", Research Policy, 34(8): 1220-1234. 

  37. Lanahan, L. and Feldman, M. P. (2015), "Multilevel Innovation Policy Mix: A Closer Look at State Policies that Augment the Federal SBIR Program", Research Policy, 44(7): 1387-1402. 

  38. Martin, R. and Sunley, P. (2011), "Conceptualizing Cluster Evolution: Beyond the Life Cycle Model?", Regional Studies, 45(10): 1299-1318. 

  39. Martin, R. and Trippl, M. (2017), "The Evolution of the ICT Cluster in Southern Sweden-Regional Innovation System, Knowledge Basese and Policy Actions",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99(3): 268-283. 

  40. Menzel, M. and Fornahl, D. (2009), "Cluster Life Cycles: Dimensions and Rationales of Cluster Evolution",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9(1): 205-238. 

  41. OECD (1999),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OECD Proceedings: Paris. 

  42. OECD (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OECD. 

  43. Okamuro, H. and Nishimura, J. (2015), "Local Management of National Cluster Policies: Comparative Case Studies of Japanese, German, and French Biotechnology Clusters", Administrative Sciences, 5(4): 213-239. 

  44. Rehfeld, D. and Terstriep, J. (2012), "Socio-Cultural Dynamics in Spatial Policy: Explaining the On-Going Success of Cluster Politics", In: Cooke, P.(ed): Reframing Regional Development. Evolution, Innovation, and Transition, Routledge: New York, 274-294. 

  45. Saxenian, A. (1994), Regional Networks: Industrial Adaptation in Silicon Valley and Route 128. 

  46. Shohet, S. (1998), "Clustering and UK Biotechnology", GM Peter Swann, Martha Prevezer and Dav id S tout ( eds.), 194-224. 

  47. Ter Wal, A. L. and Boschma, R. (2011), "Co-Evolution of Firms, Industries and Networks in Space", Regional Studies, 45(7): 919-933. 

  48. Todtling, F. and Trippl, M. (2005), "One Size Fits All?: Towards a Differentiated Regional Innovation Policy Approach", Research policy, 34(8): 1203-1219. 

  49. Trippl, M., Sinozic, T. and Lawton Smith, H. (2015), "The Role of Univers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Conceptual Models and Policy Institutions in the UK, Sweden and Austria", European Planning Studies, 23(9): 1722-1740. 

  50. Uyarra, E. and Ramlogan, R. (2016), "The Impact of Cluster Policy on Innovation", In: Edler, J., Cunningham, P., and Shapira, P., Handbook of Innovation Policy Impact: Eu-SPRI Forum o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series, Edward Elgar Publishing: Cheltenhem, UK, 196-238. 

  51. Uyarra, E. and Ramlogan, R. (2017), "Cluster Policy in an Evolutionary World? Rationales, Instruments and Policy Learning", In: Formahl, D. and R., Hassink, The Life Cycle of Clusters: A Policy Perspective, Edward Elgar Publishing: Cheltenhem, UK, Chapter 2: 35-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