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와 미래
History and Future of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0 no.2, 2018년, pp.65 - 71  

안덕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  한희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stern medicine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by Christian missionaries and then by the Japanese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out its historical, philosophical, cultural,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values being communicated. Specific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nly ideologically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사양성을 위한 교육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의료환경으로부터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오늘날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실체와 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 체제의 수립에 영향을 준 다양한 인문사회적 요인을 역사적으로 조망하고 이어서 현재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래 의학교육이 고려하여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 여기에서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은 의사를 전문직업인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지칭하고 의학교육에 포함되는 교육과정에는 의사가 되기 위한 첫 단계의 교육인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ion),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역량을 배양하는 과정(intern, foundation years, transition years), 그 후 특정 전문과목 영역의 수련과정(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어서 이 전문과목 내에서 세부 영역의 전공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 수련과정(subspecialty training), 그리고 이후 의사활동을 종료하는 시점까지 계속되는 평생전문직업성 과정(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이 있다. 이처럼 의사양성체제는 의학교육체제 또는 의학교육체계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여러 단계에 걸쳐서 시행되지만 이 논문에서는 첫 단계의 의학교육인 기본의학교육에 국한하여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적 배경과 미래 의학교육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학전문대학원을 출범시킴으로써 이루고자 한 목적은 무엇인가? 보수와 진보의 정권교체를 거치면서도 정부는 지속적으로 의사양성체제를 변화시켰고 노무현 정부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을 출범시켰다. 이를 통하여 정부는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과 관련된 고등교육의 기본방향을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및 전문대학원으로 구분하고 의학, 법학, 경영학 등의 분야를 미국과 같은 방식으로 전문대학원체제로 개편하고자 하였고, 이는 과열된 입시경쟁을 해소하고 사교육비를 절감하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본래 미국식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 현재 의학전문대학원의 미래는 매우 불투명하다.
의사양성체제이란 무엇인가? ‘의사양성체제’(medical education system)는 이 개념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뜻하듯이 의사를 만들어내기 위한 의학교육 및 이와 관련된 제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은 의사를 전문직업인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지칭하고 의학교육에 포함되는 교육과정에는 의사가 되기 위한 첫 단계의 교육인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ion),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역량을 배양하는 과정(intern, foundation years, transition years), 그 후 특정 전문과목 영역의 수련과정(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어서 이 전문과목 내에서 세부 영역의 전공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 수련과정(subspecialty training), 그리고 이후 의사활동을 종료하는 시점까지 계속되는 평생전문직업성 과정(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이 있다.
의학교육에는 어떠한 과정이 있는가? ‘의사양성체제’(medical education system)는 이 개념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뜻하듯이 의사를 만들어내기 위한 의학교육 및 이와 관련된 제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은 의사를 전문직업인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지칭하고 의학교육에 포함되는 교육과정에는 의사가 되기 위한 첫 단계의 교육인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ion),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역량을 배양하는 과정(intern, foundation years, transition years), 그 후 특정 전문과목 영역의 수련과정(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어서 이 전문과목 내에서 세부 영역의 전공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 수련과정(subspecialty training), 그리고 이후 의사활동을 종료하는 시점까지 계속되는 평생전문직업성 과정(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이 있다. 이처럼 의사양성체제는 의학교육체제 또는 의학교육체계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여러 단계에 걸쳐서 시행되지만 이 논문에서는 첫 단계의 의학교육인 기본의학교육에 국한하여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적 배경과 미래 의학교육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Standards [Internet]. London: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cited 2018 Jun 21]. Available from: http://wfme.org/standards/. 

  2. Skochelak SE, Hawkins RE, Lawson LE, Starr SR, Borkan JM, Gonzalo JD, et al. Health systems science. Philadelphia (PA): Elsevier; 2016. 

  3. Park HW. The early history of modern medical education in Korea. Seoul: Cheongnyeonuisa; 2008. 

  4. Han YR.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unpublished dissertation].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52. 

  5. Lee S. The emergence of the modern university in Korea. High Educ. 1989;18(1):87-116. 

  6. Yeo IS, Lee HS, Kim SS, Shin KH, Park YH, Park YJ.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 p. 307-308. 

  7. U.S. Foreign Operations Administration. The Minnesota Project (1954-1962): University of Minnesota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hington (DC): U.S. Foreign Operations Administration; [1954]. 

  8. China Medical Board. China Medical Board: 100 years of philanthropy for health: 1914-2014. Bangkok: China Medical Board: 2014. 

  9.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SDGs [Internet].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2017 [cited 2018 Jun 21]. Available from: http://ec.europa.eu/environment/sustainable-development/SDGs/index_ en.htm.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rategy on human resources for health: Workforce 2030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ited 2018 Jun 2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hrh/resources/pub_globstrathrh-2030/en/. 

  11. Schwab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NY): Crown Business; 2017. 

  12. Canguilhem G. Power and limits of rationality in medicine. In: Canguilhem G, editor. Studies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s. 7th ed. Paris: Vrin; 1994. p. 400. 

  13. Beauchamp TL, Childress JF.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7th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4. Cabanis PJ. Overview on revolutions and reform of medicine. In: Lehec C, Cazeneuve J, editors. Philosophical works of Cabanis. Paris: University Press of France; 1956. p. 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