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가정생활의 갈등과 몰입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Work-Family Conflict and Engagement: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6, 2018년, pp.113 - 121  

이정언 (배재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이 개인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차원뿐만 아니라 기업경영의 실무적인 측면에서 시사점 발견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연구를 위해 일과 삶의 갈등을 독립변수로 몰입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두 변수의 관계에서 의미 있는 조절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자료의 분석 결과,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은 개인의 일과 조직의 몰입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기효능감은 일 삶의 갈등과 개인의 몰입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과 가정생활 갈등 분야의 이론적인 기여와 기업의 성과향상과 유지를 위한 관리자의 실질적인 역할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conflict, workers' individual engagement and self-efficacy.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work-life conflict has a great importance on workers' individual engagement. The results highlight the role of work-family conflict in helping to en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과 생활의 균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영역은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일과 가정의 갈등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차원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측면에서 실질적인 시사점 발견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과 가정생활 갈등의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일ㆍ 가정생활의 갈등에 따른 인과적 관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제시하여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성과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일과 가정생활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과 개인성과의 관계를 변화시킨다는 가정 아래 실증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 구에서는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이론적 시사점과 관리적 차원의 의미를 확인하고 해당 분야의 기여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이 개인의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영역은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측정변수의 내적 일관성과 개념구성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의 검증은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여 이루어졌으며, 타당도는 주성분분석을 통한 타당성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 본 연구에서는 기업 구성원의 일과 가정생활의 병립으로 발생하는 갈등이 조직과 일에 대한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와 더불어 두 변수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의미 있는 조절 역할을 하는지 이론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실증적인 방법으로 검증함으로써 관련된 인사제도의 적용여부와 필요성에 대한 유의미한 기반을 제공하였다.

가설 설정

  • H1-1: 일ㆍ가정생활의 갈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일ㆍ가정생활의 갈등은 업무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가정생활ㆍ일의 갈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가정생활ㆍ일의 갈등은 업무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은 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자기효능감은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과 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과 가정생활 갈등의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일ㆍ 가정생활의 갈등에 따른 인과적 관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제시하여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성과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일과 가정생활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과 개인성과의 관계를 변화시킨다는 가정 아래 실증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 구에서는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이론적 시사점과 관리적 차원의 의미를 확인하고 해당 분야의 기여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ㆍ가정생활의 균형이란 무엇인가? 일ㆍ가정생활 또는 가정생활ㆍ일과 관련된 논의는 해당 두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과 균형 (wok-life conflict/balance)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일ㆍ가정생활의 균형은‘직장과 가정생활의 역할 병행 에 의해 나타나는 갈등상태를 최소로 유지하는 가운데 만족과 성과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2][4]. 또한 일 과 생활의 균형은‘직장에서의 일과 일상생활 간의 갈등 이 상호 받아들여질 수 있는 정도’[3]와 일에 대한 전반 적인 통제가능성을 나타낸다[6].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자에게 구성원들의 개인자원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제도화하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개인자원의 증가는 일과 삶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줄여주며 개인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인자원은 육체적, 정신적, 인지적, 사회적 자원 네 가지의 핵심적인 요소로 구성된다.
일과 삶의 균형은 무엇으로 실현될 수 있는가? 또한 일 과 생활의 균형은‘직장에서의 일과 일상생활 간의 갈등 이 상호 받아들여질 수 있는 정도’[3]와 일에 대한 전반 적인 통제가능성을 나타낸다[6]. 따라서 일과 삶의 균형 은 조직 자원의 확보와 함께 이를 효과적으로 배분함으 로써 실현될 수 있다[3].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일ㆍ가 일ㆍ가정생활의 갈등과 몰입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115 정생활의 갈등(work-family conflict)이며, 일과 가정생활이 병립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상호역할의 갈등을 말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De Cheri, B. Holmes, J. Abbott, and T. Pettit, "Achievements and Challenges for Work/Life Balance Strategies in Australian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6, No.1, pp.90-103, 2005. 

  2. 김주엽, 박상언, 지혜정,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4권, 제1호, pp.1-29, 2011. 

  3. E. Greenblatt, "Work/Life Balance: Wisdom or Whining," Organizational Dynamics, Vol.31, No.2, pp.177-193, 2002. 

  4. J. Sturges and D. Guest, "Working to Live or Living to Work? Work/Life Balance Early in the Caree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Vol.14, No.4, pp.5-20, 2004. 

  5. C. Loughlin and J. Barling, "Young Workers' Work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4, No.4, pp.543-558, 2001. 

  6. S. Fleetwood, "Why Work-Life Balance Now?"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8, No.4, pp.387-400, 2007. 

  7. 임효창, 김오현, 이봉세, "기혼 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계획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제18권, 제1호, pp.421-442, 2005. 

  8. C. Sullivan and J. Smithson, "Perspectives of Homeworkers and Their Partners on Working Flexibility and Gender Equ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8, No.3, pp.448-461, 2007. 

  9. M. R. Frone and J. K. Yardley, "Workplace Family-Supportive Programmes: Predictors of Employed Parents' Importance Rating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69, No.4, pp.351-366, 1996. 

  10. 고용노동부, "2016년도 일.가정양립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2016. 

  11. 박상언, 최민오, "가정친화제도의 효과성과 직장-가정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경영학연구, 제42권, 제2호, pp.355-381, 2013. 

  12. J. H. Greenhaus and N. J. Beutell,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1, pp.76-88, 1985. 

  13. S. Parasuraman, Y. S. Purohit, and V. M. Godshalk, "Work and Family Variables, Entrepreneurial Career Succ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8, No.3, pp.275-300, 1996. 

  14. M. R. Frone, M. Russell, and M. L. Cooper, "Prevalence of Work-Family Conflict: Are Work and Family Boundaries Asymmetrically Permeabl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3, No.7, pp.723-729, 1992. 

  15. D. E. Guest, "Is the Psychological Contract Worth Taking Seriousl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9, No.S1, pp.649-669, 1998. 

  16. D. Carlson and P. Perrew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Stressor-Strain Relationship: An Examination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nagement, Vol.8, No.4, pp.411-420, 1999. 

  17. S. J. Lambert, "Added Benefits: The Link between Work-Life Benefit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No.5, pp.801-815, 2000. 

  18. J. D. Goodstein, "Institutional Pressures and Strategic Responsiveness: Employer Involvement in Work-Family Issu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2, pp.350-382, 1994. 

  19. M. P. O'Driscoll, D. R. Ilgen, and K. Hildreth, "Time Devoted to Job and Off-Job Activities, Interrole Conflict, and Affective Experien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7, No.3, pp.272-279, 1992. 

  20. G. M. Bellavia and M. R. Frone, Work-family Conflict. In J. Barling, E. K. Kelloway, and M. R. Frone(Eds.), Handbook of Work Stress (pp.113-147), Thousand Oaks, CA: Sage, 2005. 

  21. 이정언, 스벤 노이만, "가족 친화적 경영을 위한 유연적 근로시간제도," 인재경영, 제25호, pp.70-71, 2007. 

  22.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23. A. O. Mensah and A. Lebbaeus, "The Influence of Employees' Self-Efficacy on Their Quality of Work Life: The Case of Cape Coast, Ghana,"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Science, Vol.4, No.2, pp.195-205, 2013. 

  24. I. Prilleltensky and O. Prilleltensky, Promoting Well-being: Linking Person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Change, John Wiley & Sons, 2007. 

  25. A. O. Mensah and A. Lebbaeus, "The Influence of Employees' Self-Efficacy on Their Quality of Work Life: The Case of Cape Coast, Ghana,"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Science, Vol.4, No.2, pp.195-205, 2013. 

  26. R. A. Matthews, L. M. Kath, and J. L. Barnes-Farrell, "A Short, Valid, Predictive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Item Selection and Scale Valid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15, No.1, pp.75-90, 2010. 

  27.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Normative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No.1, pp.1-18, 1990. 

  28. H. F. Kaiser,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Vol.39, No.1, pp.31-36, 1974. 

  29. 강현철, "구성타당성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5호, pp.587-594, 2013. 

  3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