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만공사용 사석 고르기 수중로봇의 제어 및 지형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trol and Topographical Recognition of an Underwater Rubble Leveling Robot for Port Co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2 no.3, 2018년, pp.237 - 244  

김태성 (창원대학교 메카트로닉스 연구원) ,  김치효 (창원대학교 메카트로닉스 연구원) ,  이진형 (창원대학교) ,  이민기 (창원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중에서 로봇으로 사석 고르기 작업을 실시할 경우 로봇 주위의 지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원격조종이 가능하다. 현 위치로부터 주변지형의 높낮이를 보여줘야 운전자가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전복과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지형인식은 멀티 빔 소나에 의해 이뤄졌는데 이는 작업 전후의 품질을 평가하는 용도만 사용되었지 원격조종에서 필요한 실시간 정보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작업을 위한 실시간 지형인식 방법을 개발한다. 버킷이 지면을 누를 때 전달되는 힘을 측정해 접촉여부를 판단하고, 실린더의 길이를 읽어 접촉위치를 계산한다. 버킷의 위치제어를 위해 가변 뱅뱅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숙련된 굴삭기 운전자의 작업패턴을 프로그램화해 지형인식, 긁기, 밀기, 전진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개발된 방법은 로봇 몸체로부터 버킷의 거리에 따라 3차원 격자 지형을 상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지형을 인식하고 지형에 따라 작업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underwater rubble leveling work is carried out by a robot, real-time information on the topography around the robot is required for remote control. If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is displayed as a 3D graphic image, it allows the operator to 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수중 고르기 작업 중 버킷을 이용해 지형을 인식하는 방법과 제어에 대해 기술한다. 지금까지 지형인식은 멀티 빔 소나에 의해 작업 전후에 이뤄졌는데 이는 작업결과를 평가하는 데이터로 사용될 뿐 로봇이 작업하는데 필요한 실시간 정보는 제공하지 못했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중건설 로봇은 굴삭기를 개조한 것이다. 따라서 로봇 굴삭기와 같이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 지형인식 방식과 제한점은? 본 논문은 수중 고르기 작업 중 버킷을 이용해 지형을 인식하는 방법과 제어에 대해 기술한다. 지금까지 지형인식은 멀티 빔 소나에 의해 작업 전후에 이뤄졌는데 이는 작업결과를 평가하는 데이터로 사용될 뿐 로봇이 작업하는데 필요한 실시간 정보는 제공하지 못했다. 로봇으로 고르기 작업을 실시할 경우 작업 전방의 지형을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작업 계획을 세우고,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수중사석 고르기 작업에서 8족보행로봇의 특징은? 상기 로봇의 경우 효율성 면에서 개선해야할 점이 많다. 8족보행로봇의 경우 갈퀴와 롤러를 로봇 프레임에 설치해 사석을 긁고, 다지면서 고르기 작업을 실시하나, 다자유도로 시스템이복잡하고 보행속도가 느리다. 일본의 수중굴삭기의 경우 버킷에 힘 센서를 부착해 전달되는 힘만으로 장비를 조종하므로고도의 숙련이 필요하지만 잠수부에 비해 8배 이상 빠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ST, 2014).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중건설 로봇은 굴삭기를 개조한 것으로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은? 따라서 로봇 굴삭기와 같이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관성과 중력의 변화가 크고, 유압액추에이터의 비선형성, 시간지연, 데드존이 존재하며, 버킷의 접촉에 의한 외란이 크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으나 대부분 이론 연구이며, 실제 적용한 사례는 많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ndrade-Cetto, J., Kocaoglan, E., Koivo, A. and Thoma, M(1996), "Modeling and control of excavator dynamics during digging operation," J Aerospace Eng, Vol. 9, No. 1, pp. 10-18. 

  2. Bradley, D. A. and Seward, D. W.(1998), "The Development, Control and Operation of an Autonomous Robotic Excavator," Journal of Intelligent and Robotic Systems, Vol. 21 pp. 73-97. 

  3. Durrant-Whyte, H., Ha, Q., Nguyen, Q. and Rye, D.(2000), "Force/position tracking for electrohydraulic systems of a robotic excavator", in Decision and Control, 2000. Proceedings of the 39th IEEE Conference on, pp. 5224-5229. 

  4. Hirabayashi, T., Iwata, H., Yamamoto, T. and Yano, H.(2006), "Experiment on teleoperation of underwater backhoe with haptic inform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Proceedings 23rd Int. Sym. ISARC, pp. 36-41. 

  5. Hong, D., Lee, S., Park, H. and Shin, J. O.(2007), "Optimal path planning for backhoe based on excavation environment", in Proceedings of the 2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 Robotics in Construction, pp. 169-174. 

  6. KIMST, (2014), Development of unmanned automated equipment for underwater construction of ports, Oceans and Fisheries R/D report. 

  7. Katsura, S., Matsumoto, Y., and Ohnishi, K.(2007), "Modeling of force sensing and validation of disturbance observer for force control," Industrial Electronics, IEEE Transactions on, Vol. 54, No. 1, pp. 530-538. 

  8. Kim, C. H., Kim, T. S. and Lee, M. K.(2015), "Study on the design and the control of an underwater construction robot for port construction",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9, No. 3, pp. 253-260. 

  9. Kim, C. H., Kim, T. S. and Lee, M. K.(2012), "Development of a pressure based observer to measure the length of an underwater robot for harbour construction", JMST, Vol. 36, No. 10, pp. 865-871. 

  10. Iida, K., Naruse, T. and Sawano, T.(1988), "Rubble leveling robot in underwater construction", Tokyo. Japan. The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ics in construction, 5th ISARC pp. 727-735. 

  11. Masory, O.(1986), "Improving contouring accuracy of nc/cnc systems with additional velocity feed forward loop", Journal of Engineering for Industry, Vol. 108, No. 3, pp. 227-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