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사회적 정서 유발 시각 자극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Affective Visual Stimuli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5 no.1, 2018년, pp.21 - 26  

석범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남범 (가천의과학대학교 뇌과학연구소) ,  민경하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박도현 (서울대학교병원) ,  김석주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게 적합한 사회적 정서를 유발하는 자극(한국형 사회적 정서 유발 시각 자극, Korean Social Affective Visual Stimuli, K-SAVS)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 법 : K-SAVS는 극동 아시아인이 등장하는 사회적 상황의 사진들로 구성되었다. 각 사진은 부정적 정서 자극, 긍정적 정서 자극, 혹은 중립 자극으로 구성하였다. 24명의 피험자에게 긍정적 자극과 부정적 자극을 보여주고 정서가 및 각성수준에 대한 자가 평가 마네킹 척도를 작성하게 한 후, 다른 24명의 피험자들에게 부정적 자극과 중립 자극을 보여주고 같은 척도를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 : 1차 실험에서 95개의 자극 사진 중 긍정적 정서자극 사진 1개 세트, 부정적 정서 자극 사진 2개 세트를 선정하였다. 각 세트는 18개의 사진으로 이루어졌다. 긍정적 정서 자극은 부정적 정사 자극 사진에 비해 호감도는 높았으며 (p < 0.001) 흥분도는 낮았다(p < 0.001). 2차 실험에서는 1차 선정된 사진들과 중립 자극 사진을 포함하여 79개의 사진 중 중립 자극 사진 1개 세트를 선정하였다. 중립 자극은 호감도는 높았으며(p < 0.001) 흥분도는 낮았다(p < 0.001). 결 론 : K-SAVS는 한국인에게 특정한 사회적 정서를 유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각 자극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aims to develop Korean Social Affective Visual Stimuli (K-SAVS) to arouse social affect. Methods: K-SAVS is composed of pictures of social situations among East Asians. Each picture contains a negative, positive, or neutral affect. Positive and negative stimuli were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게 적합한 사회적 정서를 유발하는 자극(한국형 사회적 정서 유발 시각 자극, Korean Social Affective Visual Stimuli, K-SAVS)을 개발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정서 자극 연구를 위한 시각 자극인 K-SAVS를 개발하였다. 사회적 상황에서 느끼는 정서는 인종이나 문화 차이에 영향을 받지만, 사회적 정서 연구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자극 사진들은 다양한 인종, 특히 백인이나 흑인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 사회적 상황에서 느끼는 정서는 인종이나 문화 차이에 영향을 받지만, 사회적 정서 연구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자극 사진들은 다양한 인종, 특히 백인이나 흑인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극동 아시아인들의 사회적 상황으로 이루어진 사진 자극으로 K-SAVS를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K-SAVS는 사회적 상황으로 구성된 정서 자극 사진 세트 중 한국인에 맞게 최초로 개발된 것이다.
  • 그러나, 정서 유발 사진 자극, 특히 사회적 상황에 대한 사진 자극을 한국형으로 구체적으로 개발하여 검증한 경우는 찾을 수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형 사회적 정서 유발 시각 자극(Korean Social Affective Visual Stimuli, KSAVS)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K-SAVS는 한국인 혹은 한국인과 구별할 수 없는 외모를 가진 극동 아시아인들이 등장 하는 다양한 인간 관계와 사회적 상황들로 이루어졌다.
  • 예를 들어, 한국형 얼굴 정서 자극 (Korean Facial Emotion Stimuli)과 K-SAVS를 함께 이용하여 얼굴 표정에서 유발되는 정서와 사회적 상황에서 유발 되는 정서를 비교할 수 있다. 정상군과 질환군에서 나타나는 두 자극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비교함으로 각 질환에서의 정서 반응에 중요한 요소가 어떤 것인지 연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서 언급한 fMRI, EEG, HRV 등의 검사를 동시에 이용한다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이 실험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자들의 수가 적은 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거의 비슷한 반응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한(p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특징은 ?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교류는 필수적이다 (Umberson과 Montez 2010). 인간은 사회적 교류 속에서 자신과 타인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에 따라 여러 가지 감정을 느낀다(Frith 2008 ; Olsson과 Ochsner 2008). 직접 타인과 어울릴 때도 다양한 감정을 느끼지만, 다른 이들이 서로 어울리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정서가 생길 수 있다(Alshamsi 등 2015 ; Yang 등 2016).
사람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에서 보여지는 특징들은 ? 그런데 인간은 외부 집단보다는 자기 집단의 사람들에게 공감을 더 강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Azevedo 등 2013). 즉, 자신과 비슷한 점이 많은 사람의 처지를 볼 때 자신과 전혀 다른 사람의 처지를 보는 것보다 더 강한 정서를 느낄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외국인 사진보다 한국인 사진에 더 강하게 공감하고 공감을 담당하는 뇌 영역 역시 더 강하게 반응했다(Cheon 등 2011).
사진 자극의 효과는 ? 사람들이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교류를 맺는 모습은 사진으로도 간접 제시할 수 있다. 실제로 사진 자극은 내용에 따라 특정 정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Lench 등 2011). 사진을 통해 특정 정서를 자극하는 방법으로 기능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연구와 같은 다양한 뇌과학적 연구들도 이루어지고 있다(Usnich 등 2015 ;Weisberg 등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shamsi A, Pianesi F, Lepri B, Pentland A, Rahwan I. Beyond Contagion: Reality Mining Reveals Complex Patterns of Social Influence. PLoS One 2015;10:e0135740. 

  2. Azevedo RT, Macaluso E, Avenanti A, Santangelo V, Cazzato V, Aglioti SM. Their pain is not our pain: brain and autonomic correlates of empathic resonance with the pain of same and different race individuals. Hum Brain Mapp 2013;34:3168-3181. 

  3. Cheon BK, Im DM, Harada T, Kim JS, Mathur VA, Scimeca JM, et al. Cultural influences on neural basis of intergroup empathy. Neuroimage 2011;57:642-650. 

  4. Dan-Glauser ES, Scherer KR. The Geneva affective picture database (GAPED): a new 730-picture database focusing on valence and normative significance. Behav Res Methods 2011;43:468-477. 

  5. Ekman P. What Scientists Who Study Emotion Agree About. Perspect Psychol Sci 2016;11:31-34. 

  6. Frith CD. Social cognition.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2008;363:2033-2039. 

  7. Gardener EK, Carr AR, Macgregor A, Felmingham KL. Sex differences and emotion regulation: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PLoS One 2013;8:e73475. 

  8. Gong X, Wang D. Applicability of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n Chinese older adults: A validation study. Psych J 2016;5:117-124. 

  9. Gruhn D, Scheibe S. Age-related differences in valence and arousal ratings of pictures from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do ratings become more extreme with age? Behav Res Methods 2008;40:512-521. 

  10. Hofstede G. The cultural relativity of organizational practices and theories. J Int Bus Stud 1983;14:75-89. 

  11. Huang J, Xu D, Peterson BS, Hu J, Cao L, Wei N, et al. Affective reactions differ between Chinese and American healthy young adults: a cross-cultural study using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BMC Psychiatry 2015;15:60. 

  12. Kang EH, Choi JE, Ham BJ, Seok JH, Lee KU, Kim W, et al.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modified self-assessment manikin for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manikin. Anxiety and Mood 2011;7:113-118. 

  13. Kim SM, Kwon YJ, Jung SY, Kim MJ, Cho YS, Kim HT,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facial emotion stimuli: Korea university facial expression collection 2nd edition. Front Psychol 2017;8:769. 

  14. Lang PJ, Bradley MM, Cuthbert BN.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Affective ratings of pictures and instruction manual. Technical Report A-6. Gainesville, FL: University of Florida;2005. 

  15. Lee KU, Kim J, Yeon B, Kim SH, Chae JH.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extended ChaeLee Korean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s. Psychiatry Investig 2013;10:155-163. 

  16. Lench HC, Flores SA, Bench SW. Discrete emotions predict changes in cognition, judgment, experience, behavior, and physiology: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emotion elicitations. Psychol Bull 2011;137:834-855. 

  17. Lungu O, Potvin S, Tikasz A, Mendrek A. Sex differences in effective fronto-limbic connectivity during negative emotion processing. Psychoneuroendocrinology 2015;62:180-188. 

  18. Marchewka A, Zurawski L, Jednorog K, Grabowska A. The nencki affective picture system (NAPS): introduction to a novel, standardized, wide-range, high-quality, realistic picture database. Behav Res Methods 2014;46:596-610. 

  19. Nisbett RE, Peng K, Choi I, Norenzayan A. Culture and systems of thought: holistic versus analytic cognition. Psychol Rev 2001;108:291-310. 

  20. Olsson A, Ochsner KN. The role of social cognition in emotion. Trends Cogn Sci 2008;12:65-71. 

  21. Umberson D, Montez JK.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a flashpoint for health policy. J Health Soc Behav 2010;51 Suppl:S54-66. 

  22. Usnich T, Spengler S, Sajonz B, Herold D, Bauer M, Bermpohl F. Perception of social stimuli in mania: an fMRI study. Psychiatry Res 2015;231:71-76. 

  23. Weisberg J, Milleville SC, Kenworthy L, Wallace GL, Gotts SJ, Beauchamp MS, et al. Social percep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impaired category selectivity for dynamic but not static images in ventral temporal cortex. Cereb Cortex 2014;24:37-48. 

  24. Yang Y, Jia J, Wu B, Tang J. Social role-aware emotion contagion in image social networks. Proceeding of the Thirtieth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AAI-16); 2016 Feb 12-17; Phoenix, USA. Palo Alto: AAAI Press;2016. p.65-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