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 상호 동기화 현상을 이용한 사회지능 수준 추론 모델 개발
Estimation of Social Intelligence Levels Model using Autonomic and Central Nervous System Mutual Synchroniz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37 no.3, 2018년, pp.347 - 360  

박성언 (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이정년 (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박민지 (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황민철 (상명대학교 휴먼지능정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s of social intelligence based on physiological responses in emotional contagion. Background: The social intellig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understanding of others such as the emotional state, intention, and idea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로 생리반응 기반 사회지능 평가 모델을 개발했다. 객관적이고 편리한 사회지능 평가 도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기존 평가 도구의 단점을 극복하고, 한계점을 보완하며 추후 정량적 사회지능 평가 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 목적을 위해, 감성전이 과정에서 사회지능 수준에 따른 생리반응의 차이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대상자들에게 사회 감성전이를 유도하고, 동시에 중추신경계 반응과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지능 수준이 다른 연구대상자들에게 감성전이 반응을 유도하고, 이때 발생하는 생리반응 차이를 확인하여 사회지능 수준 평가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개인의 뛰어난 능력이 중요하게 평가되던 과거와는 달리 현대사회는 공동의 생산성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 본 연구를 통해 사회지능 수준에 따라 감성전이 과정에서 뇌파(EEG), 심전도(ECG), 피부전도도(GSR) 반응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아바타의 얼굴 표정과 몸짓의 긍정도(긍정, 부정), 친밀도(친밀, 불편), 공감도(공감, 비공감) 감성 표현에 따라 사회지능 수준이 다른 세 집단의 뇌파(EEG), 심전도(ECG), 피부전도도(GSR)가 유의미하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해외 연구 기반의 주관 평가 측정 지표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고려한 평가 지표의 재검증이 이루어져야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회지능 평가 도구의 한계점과 국내 적용의 단점을 보완하고, 나아가 생리반응을 기반으로 즉각적이고 객관적인 사회지능 평가 도구 개발에 기초가 되는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중지능이론은 모든 사람이 소요하고 있는 지능유형을 어떻게 분류하는가? 다중지능이론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학업지능의 범주에서만 다루는 것이 아닌 9종류의 상호 독립적 지능으로 구분하고 포괄적인 지능으로 확장시킨다. 모든 사람이 소요하고 있는 지능유형을 언어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논리수학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음악지능(Musical Intelligence), 신체운동지능(Bodily-kinesthetic),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 인간친화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자기성찰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 자연친화지능(Naturalistic Intelligence), 영적지능(Spiritual Intelligence)으로 분류한다. 인간친화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은 대인관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사회지능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사회지능은 무엇인가? 사회지능은 개인 간 관계에서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행동, 생각 그리고 감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행동을 하는 능력이다(Marlowe, 1986). 지능(Intelligence)은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고, 경험으로부터 학습할 수 있는 인간의 타고난 인지적 능력으로 설명된다(Neisser et al.
사회지능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어떤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는가? 사회지능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감성전이와 사회 감성의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선행 연구를 통해 감성전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 활동과 생리반응이 상대방을 파악하는 능력에 따라 다르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또한 다르게 발생하는 생리반응 차이를 이용하여 사회지능 수준을 추론할 수 있는 평가 모델 구축을 기대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tkinson, A.P., Dittrich, W.H, Gemmell, A.J. and Young, A.W., "Emotion Perception from Dynamic and Static Body Expressions in Point-Light and Full-Light Displays". Perception, 33(6), 717-746, 2004. 

  2. Barnes, M.L. and Sternberg, R.J., "Social Intelligence and Decoding of Nonverbal Cues". Intelligence, 13(3), 263-287, 1989. 

  3. Borg, J., Body Language: 7 Easy Lessons to Master the Silent Language. FT press, 2009. 

  4. Bernhardt, B.C., Klimecki, O.M., Leiberg, S. and Singer, T., "Structural covariance networks of the dorsal anterior insula predict females'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ic responding". Cerebral Cortex, 24(8), 2189-2198, 2013. 

  5. Christakis, N.A. and Fowler, J.H., Connected: The Surprising Power of our Social Networks and how they Shape our Lives. Little, Brown, 2009. 

  6. Collett, P., The Book of Tells: How to Read People's Minds from their Actions. Random House, 2004. 

  7. Crowne, K.A., "Cultural exposur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ultural intelligence an explorato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ross Cultural Management, 13(1), 5-22, 2013. 

  8. Ekman, P. and Friesen, W.V., Manual for the Facial Action Coding System,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8. 

  9. Ford, M.E. and Tisak, M., "A further search for social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 196-206, 1983. 

  10. Gardner, H., Frame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cial Books, 1983. 

  11.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2006. 

  12. Goleman, D. and Boyatzis, R., "Social intelligence and the biology of leadership". Harvard Business Review, 86(9), 74-81, 2008. 

  13. Hatfield, E., Cacioppo, J.T. and Rapson, R.L., "Emotional Contag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3), 96-100, 1993. 

  14. Iacoboni, M., Mirroring People: The New Science of how we Connect with Others. Farrar, Straus and Giroux, 2009. 

  15. Jabbi, M., Bastiaansen, J. and Keysers, C., "A common anterior insula representation of disgust observation, experience and imagination shows divergent functional connectivity pathways", PLoS One, 3(8), e2939, 2008. 

  16. Kelly, K.R. and Moon, S.M., "Personal and Social Talents". Phi Delta Kappan, 79(10), 743-746, 1998. 

  17. Kim, H.K., "Interactional Functions of Nodding in Conversat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1), 1-26, 2012. 

  18. Kosmitzki, C. and John, O.P., "The implicit use of explicit conceptions of soci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5(1), 11-23, 1993. 

  19. Lee, E.C., Whang, M., Ko, D., Park, S. and Hwang, S.T., "A New Social Emotion Estimating Method by Measuring Micro-movement of Human Bust". In: Watada J., Shiizuka H., Lee KP., Otani T., Lim CP. (eds) Industrial Applications of Affective Engineering. Springer, Cham. 2014. 

  20. Lee, W.R. and Whang, M.C., "The Accuracy of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Standard Facial Express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9), 476-483, 2014. 

  21. Lischke, A., Pahnke, R., Mau-Moeller, A., Behrens, M., Grabe, H.J., Freyberger, H.J. and Weippert, M.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Heart Rate Variability Are Associated with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and Alexithymia". Frontiers in Psychology, 9, 229, 2018. 

  22. Neisser, U., Boodoo, G., Bouchard Jr, T.J., Boykin, A.W., Brody, N., Ceci, S.J. and Urbina, S., "Intelligence: Knowns and unknowns", American Psychologist, 51(2), 77, 1996. 

  23. Marlowe, H.A., "Social Intelligence: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ity and Construct Independ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1), 52, 1986. 

  24. Nelson, A. and Golant, S.K., You Don't Say: Navigating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exes, Prentice Hall, 2004. 

  25. Oatley, K. and Johnson-Laird, P.N., "Towards a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Cognition and Emotion, 1(1), 29-50, 1987. 

  26. Parkinson, B., "Emotions are Social."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7(4), 663-683, 1996. 

  27. Park, M.J., "The Effects of Congruence between Facial Expression and Body Gesture on Emotion Recognition", M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2017. 

  28. Park, N.J., Yang, S.H. and Cho,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and its effect".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0(1), 107-130, 2005. 

  29. Park, S.W., "Original Articl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of The Tromso-Social Intelligence Scale in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2), 190-197, 2007. 

  30. Pease, B. and Pease, A., The Definitive Book of Body Language: The Hidden Meaning Behind People's Gestures and Expressions, Bantam, 2008. 

  31. Riggio, R.E., Messamer, J. and Throckmorton, B., "Social and academic intelligence conceptually distinct but overlapping constru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2(7), 695-702, 1991. 

  32. Shin, C. and Hwang, S.H., "The Influences of Social Intelligence of Hotel Employees on Social Support and Work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4(6), 437-456, 2010. 

  33. Silk, J.B. "Social Components of Fitness in Primate Groups". Science (New York, N.Y.) 317.5843, 1347-1351, 2007. 

  34. Silvera, D., Martinussen, M. and Dahl, T.I., "The Tromso Social Intelligence Scale, a self­report Measure of Social Intelligence",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2(4), 313-319, 2001. 

  35. Stein, P.K., Bosner, M.S., Kleiger, R.E. and Conger, B.M., "Heart rate variability: a measure of cardiac autonomic tone". American Heart Journal, 127(5), 1376-1381, 1994. 

  36. Teplan, M., "Fundamental Of EEG Measurement", Measurement Science Review, 2(2), 1-11, 2002. 

  37. Thorndike, E.L.,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140, 1920. 

  38. Wong, C.T., Day, J.D, Maxwell, S.E and Meara, N.M., "A Multitrait-Multimethod Study of Academic and Social Intelligenc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7(1), 117-133, 1995. 

  39. Zaki, J., Ochsner, K.N., Hanelin, J., Wager, T.D. and Mackey, S.C., "Different circuits for different pain: patterns of functional connectivity reveal distinct networks for processing pain in self and others", Soc Neurosci, vol. 2, 276-29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