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이 산화방지 및 유지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 of cumin seeds ethanol extract using in vitro assays and bulk oil system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3, 2018년, pp.286 - 291  

김민아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한창희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미자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합성 산화방지제에 대한 독성에 따른 사용 우려로 인해 천연 산화방지제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천연 산화방지제 역시 한정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쿠민 종자의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 방지 효과와 유지 산화에 대한 산화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산화방지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결과 0.5 mg/mL에서 73.4%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50.1% 소거하였다. 총 페놀함량의 결과 $61.0{\mu}M$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 FRAP 환원력 측정의 결과 $429{\mu}M$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측정되었다. $100^{\circ}C$에서 9시간 열산화 시킨 옥수수기름에 첨가 후 산화안정성 평가 결과 초기 산화생성물을 측정하는 CDA의 양은 대조군보다 100 ppm의 농도로 첨가한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 첨가군이 13.4% 적게 생성되었으며, 이차 산화생성물을 측정하는 ${\rho}-AV$는 대조군에 비해 59.1% 적게 생성되었다. 이러한 유지산화 안정성효과는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향기성분들에 의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향기성분에 의해 산화방지와 유지 산화안정성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유지가공식품 제조 시 불가피한 합성 산화방지제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산화방지제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bility of a cumin seeds ethanol extract (CE).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0.25, 0.5, and 1.0 mg/mL of CE were found to be 24.6, 41.4, and 73.4 and 14.5, 27.2, and 50.1%, respectively (p<0.05), suggesting a dose-dependent eff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방지와 유지 산화안정성을 측정하고 향기 성분분석을 통해 유지 가공식품 제조 시 인체에 무해한 천연 산화방지제로서의 사용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쿠민(Cuminum cyminum)이란? 쿠민(Cuminum cyminum)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씨앗으로 쿠민알데하이드,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파라시멘(ρcymene), 쿠민알코올(cumin alcohol), 싸이몰(thymol)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El-Sawi와 Mohamed, 2002). 이러한 쿠민은 알싸한 맛을 내고 강한 향기 성분이 특징인데 주로 양념의 원료로 쓰이며, 카레에도 사용된다.
발암 부작용이 있는 합성 산화방지제의 종류는? 산화방지제는 활성산소의 산화 과정을 늦추거나 과정 중 일부를 제한시켜 산화방지제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등의 천연 산화방지제의 경우 가격이 비싸며, 비교적 합성 산화방지제에 비해 낮은 산화방지력을 갖고 있다. 반면 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뷰틸하이드록시아니솔(BHA)과 같은 합성 산화방지제의 경우 천연 산화방지제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독성으로 인해 발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으며(Branen, 1975), 안전성의 이유로 상한 섭취량 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체에 무해하며 산화방지 효과도 우수한 천연물 유래 산화방지제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 향신료 중 하나인 쿠민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천연 산화방지제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중국에서는 쿠민을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가? 이러한 쿠민은 알싸한 맛을 내고 강한 향기 성분이 특징인데 주로 양념의 원료로 쓰이며, 카레에도 사용된다. 또한 고기의 비린내를 제거하면서 육질을 좋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특히 중국에서는 양고기 특유의 노린내 제거를 위해 함께 섭취한다. 이처럼 향신료는 육류의 특유한 잡내를 제거해주고, 맛도 증가시키며 부패 방지를 위한 저장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다(Van Hecke 등,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i V, Varadaraj M, Naidu KA.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bitter cumin (Cuminum Nigrum L.). Eur. Food Res. Technol. 224: 109-115 (2006) 

  2.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OCS. 3rd ed. Method Cd 18-90.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press, Champaign, IL, USA (1980) 

  3.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OCS. 4th ed. Method Ti la-64.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press, Champaign, IL, USA (1990) 

  4. Beis S, Azcan N, Ozek T, Kara M, Baser K. Production of essential oil from cumin seeds. Chem. Nat. Compd. 36: 265-268 (2000) 

  5.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1996) 

  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7. Bourgou S, Pichette A, Marzouk B, Legault J. Bioactivities of black cumin essential oil and its main terpenes from tunisia. S. Afr. J. Bot. 76: 210-216 (2010) 

  8. Branen A.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 (1975) 

  9. Cho M, Kim H, Chae Y.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leaves and frui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 thoxylum Piperitum DC. by headspace SPME. Korean J. Med. Crop. Sci. 11: 40-45 (2003) 

  10. El-Ghorab AH, Nauman M, Anjum FM, Hussain S, Nadeem M. A comparative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and cumin (Cuminum Cyminum). J. Agric. Food Chem. 58: 8231-8237 (2010) 

  11. El-Sawi SA, Mohamed M. Cumin herb as a new source of essential oils and its response to foliar spray with some micro-elements. Food Chem. 77: 75-80 (2002) 

  12. Fellegrini N, Ke R, Yang M, Rice-Evans C.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 2-azin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999) 

  13.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912) 

  14. Heo YK, Sim KH. Dietary attitude of single households in metropolitan areas. Korean J. Food Nutr. 29: 735-745 (2016) 

  15. Hossain MB, Patras A, Barry-Ryan C, Martin-Diana AB, Brunton NP. Application of principal component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different spices based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individual polyphenolic antioxidant compounds. J. Funct. Food. 3: 179-189 (2011) 

  16. Houlihan CM, Ho C, Chang SS. Elucidation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a novel antioxidant, rosmaridiphenol, isolated from rosemary. J. Am. Oil Chem. Soc. 61: 1036-1039 (1984) 

  17. Ji CI, Byun HS, Kang JH, Lee TG, Kim SB, Park YH.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ices extracts on edible soybe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551-556 (1992) 

  18. Kim SG, Byun HD, Kim SC, Yang KW, Kim JH, Han JH.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arrot flower. Korea Soc. Biotechnol. Bioeng. J. 30: 77-81 (2015) 

  19.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012) 

  20. Kim JH, Lee KT.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 labeling re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domestically processed meat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56-1063 (2010) 

  21. Mariod AA, Ibrahim RM, Ismail M, Ismail N.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phenolic rich fractions obtained from black cumin (Nigella Sativa) seedcake. Food Chem. 116: 306-312 (2009) 

  22. Nadeem M, Riaz A. Cumin (Cuminum Cyminum) as a potential source of antioxidants. Pak. J. Food Sci. 22: 101-107 (2012) 

  23. Oh JS, Park JN, Kim JH, Lee JW, Byun MW, Chun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jerky added with Capsicum Annuum L. and Prunus mume Sieb. et Zuc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1-86 (2007) 

  24. Park CJ, Park CS.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icorice and spice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93-799 (2007) 

  25. Rebey IB, Bourgou S, Debez IBS, Karoui IJ, Sellami IH, Msaada K, Limam F, Marzouk B. Effects of extraction solvents and provenances on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umin (Cuminum Cyminum L.) seeds. Food Bioprocess Tech. 5: 2827-2836 (2012) 

  26. Ryu JY, Song YW, Moon JY, Jun NJ, Cho SK.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milk added with green tea and rosemary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24: 871-878 (2017) 

  27. Sartorelli P, Marquioreto AD, Amaral-Baroli A, Lima MEL, Moreno PRH.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from two species of eucalyptus. Phytother. Res. 21: 231-233 (2007) 

  28. Shan B, Cai YZ, Sun M, Corke H. Antioxidant capacity of 26 spice extracts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phenolic constituents. J. Agric. Food Chem. 53: 7749-7759 (2005) 

  29. Vallverdu-Queralt A, Regueiro J, Martinez-Huelamo M, Alvarenga JFR, Leal LN, Lamuela-R entos RM.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phenolic profile of widely used culinary herbs and spices: rosemary, thyme, oregano, cinnamon, cumin and bay. Food Chem. 154: 299-307 (2014) 

  30. Van Hecke T, Ho PL, Goethals S, De Smet S. The potential of herbs and spices to reduce lipid oxidation during heating and gastrointestinal digestion of a beef product. Food Res. Int. 102: 785-79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