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약지반 개량시 지오그리드 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Reinforcement Effect of Geogrid in Soft Ground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7 no.2, 2018년, pp.1 - 7  

함현수 (Department of Civil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Ajou Univ.) ,  이상덕 (Department of Civil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Ajou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안지대나 습지와 같은 연약지반에 도로나 철도 건설이 빈번해지면서 이를 위한 연약지반 개량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 개량시 작업조건만을 고려하거나 경제성만을 고려한 공법은 다수 존재하나 작업조건과 경제성을 함께 고려할 경우 적용 가능한 공법은 제한적이다. 이러한 경우 표층부와 심층부를 병용하여 개량하는 공법이 적용되어지는데,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서 표층부 개량과 심층부 개량을 병용하는 경우에 대해 모형시험을 수행하여 지오그리드 보강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때 표층부의 두께, 심층부 개량체의 직경 및 길이가 지오그리드 보강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표층부의 두께가 심층부의 직경보다 보강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표층부를 지오그리드로 보강한 경우 표층부의 강도가 증진되어 침하량이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construction of roads and railroads in soft ground such as coastal areas and wetlands is getting increased. For this reason cases that soft ground improvement is applied are increasing. In general, many ground improvement methods consider only the working conditions at the time or on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약지반에서 표층부와 심층부 보강체에 대하여 표층부의 두께, 심층부의 직경을 변화시켜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단계별 하중재하에 따른 보강체의 거동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표층부와과 심층개량이 병용될 경우 지오그리드 보강 유무에 따라서 표층부 및 심층부의 거동을 확인하고자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부구조물이 대형화와 고층화되면서 높은 연직지지력과 수평 저항력을 요구함에 따라 설치 및 시공되는 기초의 형상은? 최근 국내의 서해안 간척지와 낙동강 인근지역 및 동남아시아 해안지대와 습지 등에서 대규모 항만개발, 산업단지 조성, 신도시를 건설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상부구조물이 대형화와 고층화되면서 초고층 빌딩, 초장대교량 주탑 등의 기초는 높은 연직지지력과 수평 저항력(또는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요구하고 있어 대구경 현장타설말뚝 또는 고강도 기성말뚝이 군말뚝 형식으로 설계 및 시공된다. 해외에서는 연직력이 지배적인 기초의 경우, 말뚝지지전면기초(Piled raft)로 설계를 하여 연직하중에 대하여 무리말뚝을 연결하는 전면기초(바닥슬라브)로하중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Patilet al.
연약지반위에 성토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공법으로 최근 연구되고 있는 것은? 연약지반위에 성토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공법으로 최근에는 시멘트, 석회, 또는 플라이 애쉬 등으로 안정처리한 점토의 역학적 거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PET(Polyester), PP(Poly-Propylene), PVA(Polyvinyl alcohol), Nylon 등의 섬유로 보강한 시멘트/석회/플라이 애쉬-점토 혼합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Kumar et al., 2006; Jadhao and Nagarnaik, 2008; Rafalko et al.
본 논문으로 확인한 표층부의 두께, 심층부 개량체의 직경 및 길이가 지오그리드 보강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서 표층부 개량과 심층부 개량을 병용하는 경우에 대해 모형시험을 수행하여 지오그리드 보강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때 표층부의 두께, 심층부 개량체의 직경 및 길이가 지오그리드 보강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표층부의 두께가 심층부의 직경보다 보강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표층부를 지오그리드로 보강한 경우 표층부의 강도가 증진되어 침하량이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egenizadeh, A. and Nikraz, H. (2012).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clayey sand composite.", Frontiers of Structural and Civil Engineering, Vol.6, Issue2, pp.147-152. 

  2. Choi, C. L., Lee, K.W., Kim, E. H., and Jung, J. W. (2016), "A Study on the Pile Material Suited for Pile Supported Embankment Reinforced by Geosynthetics",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15, No.1, pp.21-35. 

  3. David (2005), The Overriding Aspects of the Design of Geosynthetic-Reinforced Pile Supported Embankments,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4. Fatahi, B., Khabbaz, H. and Fatahi, B. (2012).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oft clay treated with fiber and cement." Geosynthetics International, Vol.19, No.3, pp.252-262. 

  5. Jadhao, P. D. and Nagarnaik, P. B. (2008). "Performance Evaluation of Fiber Reinforced Soil-Fly Ash Mixtures." Proc.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omputer Methods and Advances in Geomechanics, Goa, India. 

  6. Japan Civi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2007), ALiCC method manual for ground improvement, Kashima publication, pp.3-10. 

  7. Jung, D. H., Cho, B. S., and Lee, Y. Y. (2017), "Flezural Performance of cement Treated clay-Sand Mixtures Reinforced with Synthetic Fibers",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16, No.1, pp.19-29. 

  8. Kim, J. H., Kim, S. G., and Chun, B. S. (2013), "A Study on Piled Raft Constrcted on Soft Ground Through Numer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4, No.3, pp.29-34. 

  9. Kumar, A., Walia, B. S., and Mohan, J. (2006). "Compressive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highly compressible clay.", journal of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20, pp.1063-1068. 

  10. Lee, S. D. (2011), Soil Test, Saeron publication, pp.90-110, 352-367. 

  11. Lee, S. D. (2014), Soil Mechanicss, CIR publication, pp.37-49. 

  12. Patil, J. D., Vasanvala, S. A., and Solanki, C. H. (2016), "An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ur of Piled Raft Foundation", Indian Geotechnical Journal, Vol.46, No.1, pp.16-24. 

  13. Phung, D. L. (2010) Piled raft a cost-effective foundation method forhigh-rises. Geotech Eng J SEAGS and AGSSEA, Vol.41, No.3, pp.1-12. 

  14. Shin, H. Y., KIM, and Kim, S. B. (2014), "A Comparative Study of Structural Analysis on DCM Improved by Pile and Block Typ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0, No.4, pp.5-19. 

  15. Shin, T. S and Song, J. H. (1994), "A Study n the Application of Improved Ground Techniques on Dredging-Reclainmed Soft Groud", Chosun University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Vol.30, No.4, pp.21-44. 

  16. Yilmaz, Y. and Karatas, K. (2011). "Effect of Polypropylene Fiber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Lightly Cemented Clayey Soil Mixtures.", Proceedings of Geo-Frontiers 2011: Advance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GSP 211, Dallas, Texas, USA, pp.707-71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